|
보련들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신문리
보령시(保寧市)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서부 서해안에 있는 시.
1995년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해 도농통합시인 보령시가 되었다. 동쪽은 청양군·부여군, 서쪽은 서해에 면하며, 남쪽은 서천군, 북쪽은 홍성군과 접하고 있다. 서해안에 접해 있어 서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대천해수욕장이 있으며, 중서부 해안의 거점도시로서 각종 자원이 풍부해 발전 잠재력이 무한한 지역이다. 행정구역은 웅천읍·주포면·주교면·오천면·천북면·청소면·남포면·청라면·주산면·미산면·성주면·대천1동·대천2동·대천3동·대천4동·대천5동 등 1개읍 10개면 5개동이 있다(행정동 기준, 법정동 기준 10개동). 시청소재지는 성주산로이다. 면적 569.31㎢, 인구 100,249(2020).
자연환경
차령산맥의 남서단에 위치하여 장항선을 경계로 동북부는 주로 산지이고 서쪽은 대체로 평지이다. 그 사이는 남북으로 길게 산록완사면이 발달되어 산지와 평지의 점이지대를 이룬다. 차령산맥은 점차 낮아져 낮은 구릉을 형성하며, 미산면·청라면·성주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비옥한 평야가 펼쳐져 있다.
북동부에 오서산(791m), 동부에 성주산(680m)·성태산(631m), 중부에 옥마산(602m) 등이 솟아 서쪽 해안부로 갈수록 평지가 넓어진다. 오서산은 삽교천·무한천·대천천·광천천·진죽천의 발원지이며, 이 하천들은 시내 벼농사의 젖줄이 되고 있다. 대천천이 흘러드는 홍천저수지에서 지류인 복병천·의평천이 합류하여 서해롤 흘러든다. 대천천·주교천 유역에는 대천평야 등의 유역평야와 청천저수지를 비롯한 많는 소택지들이 분포하고 있어 농경지로 이용된다.
남동부 산악지대에는 웅천천·풍산천에 의해 협곡이 형성되었으며, 산간곡저를 따라 평야가 좁게 발달했다. 특히 보령시에서 제일 긴 하천인 웅천천은 성태산에서 발원하여 미산면 중서부를 지나 웅천평야를 이루고 서해로 유입한다. 대천동·내항동·갓바위 일대의 해안 간석지는 간척지로 조성되어 농경지화되었다. 보령시는 15개의 유인도와 63개의 무인도를 포함하고 있다. 해안일대는 리아스식 해안으로서 간만의 차가 크고(7.2m) 수심이 얕아 어족의 번식에 적합하여 각종 수산물 양식의 최적지이다. 신흑동의 대천해수욕장 일대에는 대규모의 해안사빈이 형성되어 있다.
지질은 중서부지역에 선캄브리아기의 편암 또는 화강암질 편마암과 쥐라기의 남포층군이 분포한다. 기후는 서해안에 면해 있어 대륙성기후와 해양성기후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난다. 통합 전 보령시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12.1℃ 내외, 1월평균기온 -2.2℃ 내외, 8월평균기온 26.2℃ 내외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128㎜ 정도이다. 쾌청일수는 약 200일로 전국적으로 보아 많은 편이고, 일조일수는 60~70% 내외로 해안지역일수록 높아져 염전과 여름철 해수욕에 좋은 날씨가 계속된다.
식생은 참나무·소나무·단풍나무 등 침엽수와 활엽수가 혼재되어 있으며 굴피나무·물푸레나무·팽나무 등 희귀한 나무들도 자란다. 인근 섬에는 후박나무·치자나무·동백나무 등이 자란다. 한편 통합 전 대천시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12.3℃ 내외, 1월평균기온 -6.1℃ 내외, 8월 평균기온 30.4℃ 내외이고 연평균강수량 1,170㎜ 정도이다.
장항선과 서해안고속도로가 연결된다.
연혁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옛 보령군(保寧郡)·남포군(藍浦郡)·오천군(鰲川郡)이 하나로 통합되어 보령군이 되었다. 옛 보령군은 백제시대에 신촌현(新村縣, 또는 沙村縣)으로 통일신라시대인 757년(경덕왕 16)에 신읍현(新邑縣)으로 개칭, 결성군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보령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018년(현종 9)에 홍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06년(예종 1)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으로 1413년(태종 13)에 현감이 설치되었으며, 1662~65년에 도호부로 승격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수군절도사영(水營)이 위치한 충청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였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홍주부 보령군,
-1896년에 충청남도 보령군이 되었다.
-1901년에 전에 수영이었던 지역을 중심으로 오천군을 신설해 금신면을 이관했다.
-그러나 1914년 군면 폐합 때 보령군의 주포면 일원과 장척면·목충면의 일부를 합하여 주포면으로, 청소면·장척면을 청소면으로, 우라면·목충면을 대천면으로, 청라면·오삼전면을 청라면으로, 남포군의 군내면·신안면·북내면을 남포면으로, 웅천면·고읍면을 웅천면으로, 불은면·습의면을 주산면으로, 북외면·심전면을 미산면으로, 오천군의 천북면은 그대로, 천동면·하남면·하서면을 오천면으로 통폐합하여 면적이 크게 넓어진 새로운 보령군이 되었다.
-1963년에 대천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1986년에 시로 승격, 분리되었다.
-1986년에 성주출장소가 성주면으로,
-1989년 주교출장소가 주교면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전국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던 보령군과 도시기능을 담당했던 대천시가 하나로 통합되어 보령시라는 새로운 형태의 도농통합시를 이루었다. 1999년 원동·대관동·대신동·흥덕동·현포동의 명칭이 각각 대천1동·대천2동·대천3동·대천4동·대천5동으로 변경되었다.
인구
통합 전 대천시의 인구는 1965년 2만 7,717명, 1970년 3만 3,437명, 1975년 4만 2,525명, 1980년 4만 7,199명, 1985년 5만 1,733명으로, 1965~85년의 20년 동안 무려 87%의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시로 승격한 이후 1986~90년의 인구는 5만 3,387명에서 5만 6,922명으로 5년 동안 7%의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1990년 이 지역의 인구 이동은 전입인구가 1만 1,139명, 전출인구가 9,654명으로 전입인구가 많았다. 또한 통합 전 보령군 지역의 인구는 1960년 13만 3,668명, 1970년 14만 6,187명, 1980년 15만 1,254명으로 20년 동안 약 1만 7,586명이 증가했다. 1960~65년에는 약 10.3%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특히 이촌향도 현상이 두드러졌던 1960년 후반에도 이 지역의 인구는 증가했다.
이는 공업발전과 성주탄광 등이 개발됨에 따라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에도 불구하고 군 전체의 인구는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0~90년에는 40% 이상의 감소율로 심각한 인구유출현상을 보였다. 1995년 대천시와의 통합으로 시의 인구는 12만 4,775명으로 증가했으며 2020년 현재 10만 249명으로 다소 감소했다. 읍·면 지역에 전체인구의 54.1%의 인구가 거주하고, 동지역에 나머지 인구가 분포한다. 인구 100,249(2020).
산업과 교통
농업은 주로 해안지방에서, 수산업은 해안과 도서 지방에서 이루어진다. 총경지면적 148.95㎢ 중 논 105.8㎢, 밭 43.15㎢로 논이 2배 정도 많으며, 경지율은 26.2%이다. 농업인구는 전체인구의 24%(2006)를 차지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인삼·엽연초 등이다. 축산은 임야지대를 중심으로 활발하며 특히 이 지역의 황소는 품종이 좋아서 씨소[種牛]로 잘 알려져 있다.
명천동의 도립종축장에서는 가축의 종자개량에 힘써 젖소·한우·돼지·사슴 등의 우량품종을 농가에 대량 보급하고 있다. 수산업은 죽도(竹島)와 녹도를 중심으로 도미·우럭·새우·꽃게·해삼·전복·조개류 등이 많이 잡히며, 미역과 김을 양식한다. 오천면은 홍합으로, 주포면 고정리는 김으로 유명하다. 중부해안에서는 제염업도 활발한 편이다. 2006년 현재 수산업인구는 1만 8,227명으로 전체인구의 16.8%를 차지한다. 지하자원은 무연탄·금·석면·규석·석재 등이 유명하며 무연탄은 전국생산량의 15%를 생산했으나 지금은 석탄합리화 정책에 따라 모두 폐광되었다. 웅천읍·남포면·미산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남포석은 상석과 비석·문패·벼루·완구 등의 재료로 널리 이용된다. 소창과 갈포를 생산하는 섬유공업, 도정공업 등은 규모가 영세하다. 대천항은 백제시대부터 서해방어의 요새였으며, 현재에도 서해안 어업전진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업활동은 상설시장과 5일 정기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패류와 청과류가 거래되고 있다. 시장으로 유명한 대천장은 과거에는 당진·서산·청양·부여 등의 주변지역에서 상인들이 모여들어 성시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자유·평화·중앙 등의 상설시장이 개설되어 그 기능이 쇠퇴했다. 이 지역은 중서부 해안의 교통중심지로서 장항선이 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석탄수송을 위해 남포선(남포-옥마)이 개설되었다. 천안·장항을 연결하는 국도가 장항선과 나란히 나 있으며, 대천해수욕장에서 청양·부여·공주를 연결하는 36번, 40번 국도가 동서로 지나고 있다. 도로총길이 532.4km, 도로포장률 76.5%이다(2006).
유물·유적·관광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3, 천연기념물 1, 사적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9, 기념물 6, 민속자료 1,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17점, 등록문화재 2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주산면 동오리·삼곡리와 주교면 관창리 등의 고인돌과 오천면 원산도리·삽시도리·녹도리 등에 조개무지가 있으며, 관창리에서는 간돌화살촉이, 남곡동에서 간돌칼이 발견되었다. 성곽으로는 진당산성(鎭堂山城)·보령성곽·남포읍성(충청남도 기념물 제10호)·아현산성(鵝峴山城)·오서산성·달산리산성 등 18개가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신라시대의 사찰 성주사지(사적 제307호)에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 : 8호)가 있으며, 그밖에 3층석탑 3기와 5층석탑·석등·석불입상이 있다. 건축물로는 보령경찰서망루(保寧警察署望樓: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72호)·보령향교대성전·남포향교대성전·오천향교대성전·화암서원·신안서원·남포관아문 등이 있으며, 사우로는 관성부원군사우, 이제현(李齊賢)을 봉안한 수현사(水鉉祠) 등이 있다. 능묘로는 최치원의 묘인 최고운유적(崔孤雲遺蹟: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5호), 이지함의 묘, 김좌진 장군 묘 등이 있다.
그밖에 오천면 외연도리에 외연도리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36호)이 있다. 서해안에 접해 있어 해안경관이 아름답고 교통이 편리하여 관광지로서 발전 가능성이 크다. 도서지역을 포함, 9곳의 해수욕장이 있다. 도로변의 경관과 울창한 송림으로 유명한 대천해수욕장과 웅천읍의 무창포해수욕장, 오천면의 원산도해수욕장은 백사장이 완만하고 모래가 고우며 바다낚시도 즐길 수 있어 많은 피서객들이 찾는다. 해수욕장 외에 계곡·폭포 등 경관이 뛰어난 성주산 일대와 남포면의 남포저수지를 개발해 종합관광지로 조성할 계획이며, 1986년 국민관광휴양지구로 지정된 무창포해수욕장은 1995년 관광지조성사업이 마무리되었다. 매년 7월 열흘간 열리는 보령머드축제는 보령시의 대표 축제이다.
교육·문화·의료·복지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남포면에 남포향교, 주포면에 보령향교, 청라면에 화암서원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5년 남포면에 세워진 남포학교가 최초의 민족계 사학으로서 민족교육에 힘썼으나, 1911년 일제에 의해 남포공립학교로 강제 개편되어 지금의 남포초등학교로 이어졌다. 1911년 주포공립학교, 1913년 오천공립학교, 1918년 대천공립보통학교, 1941년 중등교육기관으로 대천농업전수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2017년 기준 유치원 33개소, 초등학교 29개교,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9개교, 전문대학 1개교, 기타학교 1개교가 있다. 또한 1964년 개원한 문화원은 전통문화연구와 각종문화행사를 주관하고, 예술문화의 고장을 건설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명보·대천·원동 극장 등이 공연장으로 이용된다. 1988년 이래 만세보령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민속놀이로는 장고도의 등바루놀이와 등불써기놀이가 있으며, 그밖에 윷놀이·널뛰기·횃불놀이·줄다리기·씨름·닭잡기놀이와 고니·숨바꼭질·각시놀이 등의 아이들 놀이가 있다.
부락제로는 외연도의 전횡장군제·용왕제, 원산도의 지황제·서낭제 등이 유명했으나 점차 사라지고 있다. 설화로는 박문수·이지함(李之菡)·숙종 등의 인물설화와 〈호랑이황팔도전설〉·〈오진사전설〉·〈할매고개전설〉 등이 있으며, 풍수에 관한 민담으로 〈명당이야기〉가 있다. 민요로는 〈모심기노래〉·〈보리타작노래〉등의 농업노동요와 〈노젓는 노래〉·〈만선노래〉 등의 어업노동요가 있으며, 타령류의 비기능요인 〈달거리창부타령〉·〈흥타령〉·〈언문뒤풀이〉 등이 전한다.
2016년 기준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1개소, 병원 2개소, 의원 54개소, 특수병원 1개소, 요양병원 2개소, 치과병원 21개소, 한의원 31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8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399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12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7개소, 아동복지시설 2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3개소, 어린이집 64개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