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PF와 COS는 기 기능과 역할이 유사하면서도 다릅니다. 따라서 PF로 되어있는 것을 임의로 COS로 시공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입니다. 설계사무소에서 설계의도와 보호협조체계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신 후 판단하셔야 할 것입니다.
ㅇ PF와 COS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 외관상의 차이점
① 뚜렷한 구별을 보이는데 파워퓨즈가 외형 크기가 COS에 비하여 큽니다.
② 조작봉을 걸고자하는 고리(Pull Ring)를 보면 COS는 원형이나 PF는 원형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③ 퓨즈을 교체할 시에는 COS는 퓨즈선만 교체를 하지만 PF는 Fuse Unit 전체를 교체하여야 합니다.
-. 기능상의 차이점
① COS는 변압기의 과전류 보호와 선로의 개폐가 주목적이며 PF는 특고압기기의 단락전류차단과 역시 선로개폐가 주목적입니다.
② 일반적인 경우 COS는 주로 소용량에 PF는 대용량에 채용됩니다.
③ PF에서는 한류형과 비한류형으로 구별되는 데 이 또한 외형상의 크게 구별이 있습니다. 수변전설비의 PF는 비한류형입니다.
ㅇ PF와 COS의 차이점 및 실물사진은 협회 홈페이지의 특성상 File을 첨부할 수 없어 "자료실-전기기술자료1-내선 및 자동제어"에 등록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 F] |

[C O S] |
ㅇ PF와 COS의 차이점 및 실물사진은 전력기술인정보나눔터(http://www.ele119.co.kr)의 Q/A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첫댓글 와우~ 감사합니다. ^^ 전력용콘덴서 앞에는 COS 를 그려줘야 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