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정책 및 규제 담당기관)
ㅇ 각료회의(The Council of Ministers)
- 대통령, 국무총리 및 각부처 장관들이 참석하는 모잠비크 행정부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모잠비크 광물자원 분야의 주요 법률을 심의하고 의결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음.
- 광물자원 분야 양허계약(Concession) 체결 및 광산면허(Mining License) 발급에 대한 사항도 관할하고 있음.
ㅇ 광물자원에너지부(MIREME)
- 모잠비크 광산업 분야 정책 입안 및 집행을 담당하고 있으며, 신규 광산개발 프로젝트 진행상황에 대한 규제 및 모니터링 업무 수행
- 양허계약(Concession) 및 면허(License) 발급 관리 및 광산업 분야 공공조달 프로젝트 감독 기능 수행
- 광산개발 프로젝트가 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모니터링, 광산 분야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표준 개발 및 집행, 광산업 분야 외국인 투자 유치 진흥 업무 수행
ㅇ 광업위원회(National Institute of Mines; INAMI) : 광산업 분야 규제기관
- 신규 광산 개발 프로젝트 평가, 분석 및 승인 업무
- 공공 및 민간부분의 광산업 분야 참여에 관한 가이드라인 작성 및 배포
(주요 법령)
ㅇ 신광업법(New Mining Law, Law No. 20/2014)
- 지난 2002년에 제정된 광업법을 개정하여 2014년 8월에 발효된 새로운 광업법으로서 모잠비크 광산업의 가장 기초가 되는 법령
- 모잠비크 영토 내에서 발견되는 모든 광물은 국가의 소유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채굴된 광물(Raw materials)의 가공 과정에 대한 사항은 별도의 법률로 규정하고 있음.
- 신광업법은 원유, 천연가스, 메탄가스 등은 동 법률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 석유법(Petroleum Law)의 적용을 받도록 하였음.
- 광산업 분야의 물품 및 서비스 구매시 모잠비크 현지인 및 기업을 우대해야 하며, 외국 기업들은 모잠비크 현지기업과 협력해야 한다는 소위 '로컬콘텐츠(Local Contents)'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정 금액 이상의 물품 및 서비스 조달은 반드시 공공입찰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명시
- 이 외에도 광산업에 투자하는 내국인 및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보호 조항을 신설하였으며, 공정한 경쟁, 지적재산권 보호에 대한 조항도 포함시킴.
ㅇ 광산업 세법(Decree Nr. 28.2015)
- 2016년 1월에 발효된 광산업 분야 세금에 관한 법률로서 광산업에 부과되는 각종 세금 및 세제 인센티브 등을 규정하고 있음.
- 생산세(Production Tax) : 생산되는 광물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부과되는 세금으로서 광종별로 살펴보면 다이아몬드 8%, 귀금속 6%, 석탄 등 기본 광물 3%, 모래/돌 1.5% 등
- 이 외에 지상세(Surface Tax), 법인세(Corporate Income Tax), 자원임차세(Resource Rent Tax) 등에 관한 사항도 규정하고 있음.
□ 최신 기술동향
ㅇ 3D 탐사기술 고도화
- 다양한 지하자원의 위치, 부존량, 매장 형태 등을 3차원 형태로 구현하여 보여주는 기술로서 3D 탐사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다양하게 확보하고 분석력을 높이면, 자원 개발 및 생산 단계보다 실패 가능성이 훨씬 높은 탐사 단계를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음.
ㅇ 교류 전류를 활용한 탐사 기술
- 그간 금속광산 탐사에 있어서는 주로 직류 전류를 사용해 왔는데, 직류 전류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출력 전류가 필요하여 때문에 탐사 깊이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는데, 교류 전류를 사용하게 되면 저출력을 사용해도 깊은 지역을 탐사할 수 있음.
ㅇ 혁신기술을 접목한 교육 프로그램
- 360도 파노라마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혁신기술을 도입한 프로그램을 통해 광업분야 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업체도 등장하고 있음.
□ 주요 이슈
ㅇ 석탄산업 경기 둔화 우려
- 석탄은 모잠비크 수출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 광물자원 중 하나인데, 그간 국제 석탄가격 회복세, 인도 등 신흥국의 석탄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면서 모잠비크 경기 급락을 막는 역할을 해왔음.
- 하지만, 최근 들어 국제 석탄 가격이 부진을 보이는데다, 주요 석탄 광산인 Moatize 광산 확충 프로젝트에 따른 생산 증가세 둔화, 취약한 SOC 인프라로 인한 운송비용 등 생산원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석탄산업이 부진을 보일 우려
ㅇ 영세한 금 채굴업 양성화
- 모잠비크는 중부 Manica 지역을 중심으로 금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상업적 규모의 금 광산은 매우 일부이며 영세하고 소규모인 소위 'artisanal miner'들이 대부분임.
- 이에 따라, 이러한 영세 업체들의 생산량은 공식 통계에도 잡히지 않고 있어, 모잠비크 정부는 이러한 소규모 금광들을 양성화하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음.
-주요 정책들로는 영세 업체들의 사업자 등록 유도, 영세 업체들의 채굴활동을 위한 별도의 장소 마련, 안전한 채굴기술 및 장비 도입 권고 등이 있음.
ㅇ 흑연(Graphite) 개발 붐
- 모잠비크에는 전기차 배터리 등 이차전지의 소재에 사용되는 흑연(Graphite)이 대량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호주 등 다국적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음.
- 이에 따라, 흑연이 다량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모잠비크 북부 까보델가두(Cabo Delgado)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흑연 생산지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
- 호주 자원기업인 Syrah Resources는 세계 최대규모의 흑연이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추정 매장량 : 1억1450만톤) Balama 광산을 개발하여 2018년부터 흑연을 생산하고 있음.
- Syrah Resources 외에 Triton Minerals, Mustang Resources 등도 모잠비크에 진출하여 흑연 광산을 개발 중임.
□ 주요 기업 현황
ㅇ Vale
- 브라질 자원기업으로서 모잠비크 현지 법인인 Vale Mozambique를 통해 모잠비크 최대 석탄 광산인 Moatize 광산의 지분 81%를 보유하고 있음.(지분구조 : Vale Mozambique 81%, Mitsui 14%, EMEM 5%)
- 2019년 2분기 매출액은 2억71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1500만 달러 감소하였는데, 이는 석탄 생산량은 전분기 대비 증가하였음에도 석탄 가격이 하락하였기 때문임.
- Vale Mozambique는 올해 Moatize 광산의 석탄 생산량 전망치를 종전 1400만톤에서 1000만톤으로 하향 조정(사유 : 잦은 집중호우로 인한 석탄생산 여건 악화)
- Vale는 Moatize 광산 외에도 Moatize 광산과 석탄 수출항구인 Nacala 항구를 연결하는 912Km 길이의 석탄 운송 철도인 'Nacala Integrated Logistic Corridor(CLN)'와 Nacala 항구 석탄 터미널 지분의 35%를 보유하고 있음.
ㅇ Jindal
- 인도계 자원기업으로서 Jindal Africa라는 현지 법인을 통해 모잠비크 Tete 지역의 Chirodzi 광산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생산능력은 1000만톤에 달함.
모잠비크 내 주요 석탄 생산기업 현황
기업명 | 광산명 | 연간 생산능력(만톤) | 생산량(만톤) | 투자액(U$ 백만) |
Vale | Moatize | 2,200 | 650 ('16) | 3,800 |
Jindal | Chirodzi | 1,000 | 300 ('16) | - |
ICVL | Benga | 530 | 360 ('17) | 50 |
BHR | Minas Moatize | 60 | - | 35 |
자료원 : Resource Sector Mozambique(BGR, AHK, GIZ)
ㅇ Xtract Resources
- 영국계 자원기업으로서 지난 2015년에 호주 Auroch Minerals로부터 1250만 달러에 모잠비크 Manica 지역의 금광을 인수
- 상기 금광의 금 매장량은 약 22000Kg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2017년 말부터 금이 생산되고 있음.
ㅇ Syrah Resources
- 호주계 자원기업으로서 Twigg Exploration Mining이라는 모잠비크 자회사를 통해 Balama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흑연 광산을 개발하였음.
- 추정 매장량은 약 1145만톤에 달하며, 올해 1~9월까지의 생산량은 13.7만톤이며 내년에는 12~15만톤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됨.
- 최근 들어 최대 흑연 수요처인 중국의 수요 둔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에 대응하기 종업원의 30%를 해고할 계획이라고 밝힘.
나. 산업의 수급 현황
□ 생산량
ㅇ 모잠비크 주력 생산 광종인 석탄의 경우, 제철용 및 발전용 모두 2016년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각광받고 있는 흑연도 2018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133배 급증하는 등 생산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음.
주요 광종별 생산량
(단위 : 톤)
광종 | 2016 | 2017 | 2018 |
보크사이트 | 1,451 | 3,182 | 9,912 |
흑연 | - | 802 | 106,773 |
금 | 201 | 166 | 507 |
녹주석 | 181 | 53 | 416 |
석탄(제철용) | 3,977,122 | 7,385,930 | 8,355,292 |
석탄(발전용) | 2,214,199 | 4,391,833 | 6,891,201 |
자료원 : 모잠비크 통계청
□ 수출액
ㅇ 모잠비크 광물자원 수출액은 2017년도에 다소 부진을 보였으나, 2018년 들어 다시 회복세를 보였음.
광물자원 수출 동향
구분 | 2016 | 2017 | 2018 |
수출액(U$ 천) | 194,200 | 188,659 | 193,252 |
자료원 : 모잠비크 통계청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 Weakness |
· 풍부한 석탄 부존량(약 18억톤 규모) ·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이 용이한 지리적 이점 · 금(Gold) 광산의 성장 잠재력 | · 취약한 사회 인프라 · 금(Gold) 광산의 영세성 · 국제 석탄 가격 부진 |
Opportunities | Threats |
· 인도로부터의 발전용 석탄 수요 증가 · 남아공 대비 비용 측면의 비교 우위
| · 석탄 운송 인프라 확충 지연 · 정치적 불안 가능성 · 중국 철강산업 경기부진에 따른 발전용 석탄 수요 감소 우려 |
□ 유망 분야
ㅇ 유망 광산 지분투자
- 모잠비크에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광산들이 많고 흑연(Graphite) 등 유망 광종을 중심으로 광산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로서는 위험 부담이 큰 탐사 단계부터의 참여 보다는 수익성이 검증된 광산을 중심으로 지분 투자를 통해 참여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방안일 것으로 판단됨.
ㅇ 광산용 화약 및 채굴 장비
- 신규 광산 개발 및 기존 광산 확대를 위해서는 광산 발파용 화약 및 채굴 장비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바, 향후 동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사료됨.
자료원 : Fitch Solutions, 모잠비크 광물자원에너지부, 현지 언론보도, KOTRA 마푸투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