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1. 2022년도 서울시 고령자 안전사고 현황 (단위: 명)
발생유형증상환자 수질병호흡곤란기타 통증전신 쇠약어지러움고열의식장애심정지두통요통흉통실시배뇨장애마비비출혈기타사고 부상기타 통증열상요통두통찰과상심정지그 밖의 출혈타박상골절전신쇠약의식장애고열염좌호흡곤란어지러움기타기타합계
발생유형증상환자 수질병호흡곤란기타 통증전신 쇠약어지러움고열의식장애심정지두통요통흉통실시배뇨장애마비비출혈기타사고 부상기타 통증열상요통두통찰과상심정지그 밖의 출혈타박상골절전신쇠약의식장애고열염좌호흡곤란어지러움기타기타합계
복통 | 13,737 |
12,348 | |
11,915 | |
11,579 | |
9,984 | |
9,370 | |
8,775 | |
8,582 | |
5,257 | |
4,156 | |
3,771 | |
2,018 | |
1,580 | |
1,464 | |
1,054 | |
24,259 | |
15,449 | |
4,492 | |
4,023 | |
1,807 | |
1,717 | |
1,363 | |
1,186 | |
1,048 | |
762 | |
612 | |
559 | |
450 | |
357 | |
328 | |
323 | |
16,560 | |
3,415 | |
184,300 |
주: 증상의 기타-‘설사’, ‘토혈’, ‘경련/발작’ 등의 증상과 미상 포함
자료: 서울소방재난본부, 고령자 안전사고 구급 출동 현황 2022
표2. 2022년 서울시 고령자 안전사고 중 사고 부상 유형 (단위: %)
사고 부상 유형비율낙상교통사고열상상해추락기타 둔상기타미상
44.2 |
8.8 |
1.7 |
1.4 |
1.0 |
0.8 |
1.7 |
40.2 |
주: 기타-‘동물/곤충’, ‘물’, ‘기계’ 등의 유형 포함
자료: 서울소방재난본부, 고령자 안전사고 구급 출동 현황 2022
표3. 2022년도 월별, 시간별 고령자 안전사고 현황 (단위: 명)
0시1시2시3시4시5시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6시 | 7시 | 8시 | 9시 | 10 | 11시 |
12시13시14시15시16시17시18시19시20시21시22시23시합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737 | 799 | 838 | 737 | 756 | 673 | 629 | 624 | 522 | 568 | 395 | 354 | 13,364 |
804 | 787 | 812 | 764 | 717 | 727 | 716 | 614 | 553 | 502 | 425 | 322 | 13,515 |
1,021 | 1,067 | 1,135 | 1,093 | 957 | 977 | 969 | 879 | 774 | 702 | 587 | 491 | 18,798 |
828 | 958 | 846 | 876 | 867 | 761 | 743 | 674 | 726 | 610 | 509 | 424 | 15,664 |
810 | 840 | 839 | 806 | 779 | 741 | 698 | 688 | 647 | 567 | 460 | 385 | 14,689 |
756 | 775 | 769 | 721 | 739 | 660 | 663 | 680 | 593 | 545 | 454 | 376 | 13,661 |
861 | 920 | 850 | 811 | 775 | 764 | 754 | 721 | 694 | 580 | 476 | 416 | 15,539 |
938 | 1,041 | 991 | 930 | 906 | 858 | 828 | 809 | 719 | 670 | 514 | 424 | 17,635 |
880 | 899 | 847 | 899 | 797 | 809 | 765 | 724 | 650 | 579 | 552 | 401 | 15,874 |
812 | 8701 | 837 | 759 | 726 | 715 | 719 | 617 | 591 | 506 | 476 | 980 | 14,289 |
795 | 900 | 938 | 811 | 755 | 783 | 753 | 678 | 576 | 511 | 480 | 40 | 15,057 |
968 | 990 | 940 | 895 | 892 | 819 | 797 | 725 | 685 | 593 | 544 | 401 | 16,215 |
자료: 서울소방재난본부, 고령자 안전사고 구급 출동 현황 2022
표4. 2022년도 고령자 안전사고 발생 장소 (단위: 명)
장소비율집도로 외 교통 지역의료 관련 시설도로상업시설집단거주시설기타
74.2 |
8.2 |
4.9 |
4.6 |
3.1 |
1.8 |
3.2 |
주: 1) 미상 제외
2) 기타: ‘오락/문화시설’, ‘바다/강/산/놑밭’, ‘운동시설’ 등의 장소 포함
자료: 서울소방재난본부, 고령자 안전사고 구급 출동 현황 2022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 대비 남성 환자 발생 비율 높아
표3. 2022년 성별, 연령별 고령자 안전사고 비율 (단위: 명, %)
연령남성여성주민등록인구수환자비율주민등록인구수환자비율65~69세70~74세75~79세80~84세85~89세90~94세95~99세100세 이상
263,587 | 7.5 | 300,886 | 5.3 |
183,155 | 10.5 | 215,200 | 7.3 |
133,569 | 13.6 | 165,628 | 10.6 |
37,193 | 20.4 | 120,178 | 16.7 |
34,008 | 29.4 | 63,556 | 23.6 |
8,804 | 39.2 | 24,646 | 31.2 |
1,570 | 54.3 | 5,854 | 37.8 |
233 | 68.7 | 932 | 40.5 |
주: 미상 제외
자료: 서울소방재난본부, 고령자 안전사고 구급 출동 현황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