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魚 | hî/hû |
魚=물고기 모양(비늘)을 본뜬 글자로, 물고기(魚)는 고기(肉)의 어원이다.
(아래아 모음)
[ㄱ·ㄹ;肉]+[ㄱ·ㄹ;肉]->[기그->끼그]->[kig ;肉](Breton,Cornish)
[ㄱ·ㄹ;肉]+[ㄱ·ㄹ;肉]->[기그->끼그->끽]->[cig ;肉](Welsh)
[ㄱ·ㄹ;肉]+[ㄱ·ㄹ;肉]->[구가->꾸까]->[kuka ;肉](Pitjantjatjara/Yankunytjatjara)
[ㄱ·ㄹ;肉]+[ㄱ·ㄹ;肉]->[기고->끼꼬]->[kiko ;肉](Rapanui)
[ㄱ·ㄹ;肉]+[ㄱ·ㄹ;肉]->[골기->고리기->고이기;肉]<충남>(KOREAN)
[ㄱ·ㄹ;肉]+[ㄱ·ㄹ;肉]->[게기 ;肉]<경상>(KOREAN)
[ㄱ·ㄹ;肉]+[ㄱ·ㄹ;肉]->[고구 ;肉]<평북>(KOREAN)
[ㄱ·ㄹ;肉]+[ㄱ·ㄹ;肉]->[골기->고리기->고이기->괴기;肉]<제주>(KOREAN)
[ㄱ·ㄹ;肉]+[ㄱ·ㄹ;肉]->[굴기->구레기->구에기->궤기;肉]<제주>(KOREAN)
[ㄱ·ㄹ;肉]+[ㄱ·ㄹ;肉]->[기기 ;肉](KOREAN)
[ㄱ·ㄹ;肉]+[ㄱ·ㄹ;肉]->[골기->고라가->고아기->과기->괘기;肉]<경북.제주>(KOREAN)
[ㄱ·ㄹ;肉]+[ㄱ·ㄹ;肉]->[고기;肉](KOREAN)
[ㄱ·ㄹ;肉]+[ㄱ·ㄹ;肉]->[고고->고코]->[ごこ ;魚]<方言>[青森県,秋田県](Japanese)
[ㄱ·ㄹ;肉]+[ㄱ·ㄹ;肉]->[골고->곧코]->[ごっこ ;魚]<方言>[青森県,岩手県,秋田県](Japanese)
[ㄱ·ㄹ;肉]+[ㄱ·ㄹ;肉]->[갈가->칼가->칸가]->[かんが;魚]<方言>[山形県](Japanese)
[ㄱ·ㄹ;肉]+[ㄱ·ㄹ;肉]->[갈가->갇카]->[がっか ;魚]<方言>[青森県](Japanese)
[ㄱ·ㄹ;肉]+[ㄱ·ㄹ;肉]->[갈가->칼카->칻카]->[かっか;魚]<方言>[青森県](Japanese)
[ㄱ·ㄹ;肉]+[ㄱ·ㄹ;肉]->[갈그->칼크->칼루크]->[Qaluk ;魚](Inupiak)
[ㄱ·ㄹ;肉]+[ㄱ·ㄹ;肉]->[고기->괴기]->[물·괴기;魚]<제주>(korean)
[ㄱ·ㄹ;肉]+[ㄱ·ㄹ;肉]->[고기->코기]->[물·코기;魚]<제주>(korean)
[ㄱ·ㄹ;肉]+[ㄱ·ㄹ;肉]->[고구]->[물·고구;魚]<평북>(korean)
[ㄱ·ㄹ;肉]+[ㄱ·ㄹ;肉]->[게기]->[물·게기;魚]<경상>(KOREAN)
[ㄱ·ㄹ;肉]+[ㄱ·ㄹ;肉]->[고기]->[물·고기;魚](KOREAN)
魚=물고기 모양(비늘)을 본뜬 글자로, 물고기(魚)는 고기(肉)의 어원이다.
(아래아<·>모음)
[ㄷ·ㄹ;肉]+[ㅂ·ㄹ;肉]->[디바->리하]->[liha ;肉](Finnish,Estonian)
[ㄷ·ㄹ;肉]+[ㅂ·ㄹ;肉]->[다바->라하]->[laha ;肉](Arabic)
[ㄷ·ㄹ;肉]+[ㅂ·ㄹ;肉]->[다불->자불->사부르]->[sábur;肉](Kunza)
[ㄷ·ㄹ;肉]+[ㅂ·ㄹ;肉]->[다바->나마]->[nama ;肉](Hausa,Setswana)
[ㄷ·ㄹ;肉]+[ㅂ·ㄹ;肉]->[다비->나미]->[námi ;肉](Shipibo)
[ㄷ·ㄹ;肉]+[ㅂ·ㄹ;肉]->[다바->냐마]->[nyama ;肉](Shona,Lingala)
[ㄷ·ㄹ;肉]+[ㅂ·ㄹ;肉]->[딜바->닐마->닌마->니냐마->이냐마]->[inyama ;肉](Xhosa,Zulu,Kirundi)
[ㄷ·ㄹ;肉]+[ㅂ·ㄹ;肉]->[도보->노포]->[nofo ;肉](Malagasy)
[ㄷ·ㄹ;肉]+[ㅂ·ㄹ;肉]->[드바->느바->느아]->[Neụ̄̂x ;肉](Thai)
[ㄷ·ㄹ;肉]+[ㅂ·ㄹ;肉]->[도바]->[doba ;魚](Zulu)
[ㄷ·ㄹ;肉]+[ㅂ·ㄹ;肉]->[두빌->주빋->주빗->주비스]->[žuvys;魚](Lithuanian)
[ㄷ·ㄹ;肉]+[ㅂ·ㄹ;肉]->[디블->지븓->지븟->지브스]->[zivs ;魚](Latvian)
[ㄷ·ㄹ;肉]+[ㅂ·ㄹ;肉]->[데블->테븓->테브디->테브지]->[t’evzi ;魚](Georgian)
[ㄷ·ㄹ;肉]+[ㅂ·ㄹ;肉]->[데바->테파->체파]->[Cēpa;魚](Telugu)
[ㄷ·ㄹ;肉]+[ㅂ·ㄹ;肉]->[달바->탈바->찰와]->[challwa ;魚](Quechua,Aymara)
[ㄷ·ㄹ;肉]+[ㅂ·ㄹ;肉]->[다발->타왈->차왈라]->[chawlla;魚](Aymara)
[ㄷ·ㄹ;肉]+[ㅂ·ㄹ;肉]->[디빌->니필->이피라]->[ipirã;魚](Guarani)
[ㄷ·ㄹ;肉]+[ㅂ·ㄹ;肉]->[디바->니하->이아]->[i'a ;魚](Samoan,Hawaiian)
[ㄷ·ㄹ;肉]+[ㅂ·ㄹ;肉]->[디바->리바]->[ryba ;魚](Russian,Bulgarian,Croatian,Serbian,
...................................Macedonian,Czech,Polish,Slovenian,Slovak,Ukrainian,Byelorussian)
[ㄷ·ㄹ;肉]+[ㅂ·ㄹ;肉]->[디빌->리빈->리비나]->[ribina ;魚](Ukrainian)
..............[ㅂ·ㄹ;肉]->[벨->벤->베나->헤나]->[hena;肉](Malagasy)
..............[ㅂ·ㄹ;肉]->[빌->필->피라]->[pirá;魚](Guarani)
..............[ㅂ·ㄹ;肉]->[블->플->플라]->[Plā ;魚](Thai)
..............[ㅂ·ㄹ;肉]->[발->할]->[hal ;魚](Hungarian)
..............[ㅂ·ㄹ;肉]->[발->팔->파라->파아->파;]->[pa ;魚](Lao)
..............[ㅂ·ㄹ;肉]->[빌->밀;]->[Mīl ;魚](Tamil)
..............[ㅂ·ㄹ;肉]->[빌->밀->민->미누]->[Mīnu ;魚](Kannada)
..............[ㅂ·ㄹ;肉]->[빌->밀->민->미나]->[Mīna ;魚](Hindi)
[ㅂ·ㄹ;肉]+[ㄷ·ㄹ;肉]->[발다->바리자->바이짜->아이짜]->[aycha ;肉](Aymara)
[ㅂ·ㄹ;肉]+[ㄷ·ㄹ;肉]->[바달->바잘->바살->바사르]->[basar ;肉](Judeo-spanish)
[ㅂ·ㄹ;肉]+[ㄷ·ㄹ;肉]->[블드->블즈->불레스->불레이스]->[vleis ;肉](Afrikaans)
[ㅂ·ㄹ;肉]+[ㄷ·ㄹ;肉]->[블디->블지->불레시->불레이시]->[vleisj ;肉](Limburgian)
[ㅂ·ㄹ;肉]+[ㄷ·ㄹ;肉]->[블드->블즈->불레스->불레;스]->[vlees ;肉](Dutch,Flemish)
[ㅂ·ㄹ;肉]+[ㄷ·ㄹ;肉]->[블드->블즈->플레스->플레이스]->[fleis ;肉](Frisian)
[ㅂ·ㄹ;肉]+[ㄷ·ㄹ;肉]->[블디->플지->플쉬->풀라쉬->플라이쉬]->[Fleisch ;肉](German)
[ㅂ·ㄹ;肉]+[ㄷ·ㄹ;肉]->[부딜->무질->무실->무싣->무시드]->[musid ;肉](Persian)
[ㅂ·ㄹ;肉]+[ㄷ·ㄹ;肉]->[벌들->벋즐->벗슬->버스스리;肉]<심마니말>(korean)
[ㅂ·ㄹ;肉]+[ㄷ·ㄹ;肉]->[벌딜->벋질->벗실->버스시리->버쓰시리;肉]<심마니말>(korean)
[ㅂ·ㄹ;肉]+[ㄷ·ㄹ;肉]->[부딜->무질->무실->무싣->무시드]->[musid ;肉](Persian)
[ㅂ·ㄹ;肉]+[ㄷ·ㄹ;肉]->[베도->메조->메소->미에소]->[mięso ;肉](Polish)
[ㅂ·ㄹ;肉]+[ㄷ·ㄹ;肉]->[->[발다->말자->만사]->[Mānsa ;肉](Gujarati)
[ㅂ·ㄹ;肉]+[ㄷ·ㄹ;肉]->[베딜->페질->페실->페시로->페시오]->[pescio;魚](Zeneize)
[ㅂ·ㄹ;肉]+[ㄷ·ㄹ;肉]->[베딜->페질->페실->페시루->페시우]->[pesciu ;魚](Corsican,
.................................................................................................Calabrese)
[ㅂ·ㄹ;肉]+[ㄷ·ㄹ;肉]->[불돌->풀졸->푸라솔->푸아손]->[pwason;魚](Haitia)
[ㅂ·ㄹ;肉]+[ㄷ·ㄹ;肉]->[비돌->피졸->피솔->피소리->피소이]->[fiŝoj ;魚](Esperanto)
[ㅂ·ㄹ;肉]+[ㄷ·ㄹ;肉]->[바달->바탈->바찰->아차리]->[atzàri;魚](Griko Salentino)
[ㅂ·ㄹ;肉]+[ㄷ·ㄹ;肉]->[베돌->페졸->페솔->페손]->[pèsson ;魚](Dzoratâi)
[ㅂ·ㄹ;肉]+[ㄷ·ㄹ;肉]->[불도->풀조->푸라소->푸아소]->[poisson ;魚](French)
[ㅂ·ㄹ;肉]+[ㄷ·ㄹ;肉]->[베돌->페졸->페솔->페손->페이손]->[peisson ;魚](occitan)
[ㅂ·ㄹ;肉]+[ㄷ·ㄹ;肉]->[벨디->펠지->페리쉬->페이쉬]->[peix ;魚](Catalan)
[ㅂ·ㄹ;肉]+[ㄷ·ㄹ;肉]->[벨디->펠지->페리쉬->페이쉬]->[peixe ;魚](Portuguese,Leonese,
.......................................................................................Galician)
[ㅂ·ㄹ;肉]+[ㄷ·ㄹ;肉]->[브달->프잘->프살->프사리->[psári;魚](Greek)
[ㅂ·ㄹ;肉]+[ㄷ·ㄹ;肉]->[비딜->미틸->미칠->미친]->[michin ;魚](Nahuatl)
[ㅂ·ㄹ;肉]+[ㄷ·ㄹ;肉]->[발도->말토->마리토->마이토]->[ma' īto ;魚](Rapanui)
[ㅂ·ㄹ;肉]+[ㄷ·ㄹ;肉]->[바들->마틀->마츨->마츠라->마츠야]->[Matsya;魚](Sanskrit)
[ㅂ·ㄹ;肉]+[ㄷ·ㄹ;肉]->[바달->마탈->마찰->마찰리]->[Māchalī;魚](Hindi,Gujarati)
[ㅂ·ㄹ;肉]+[ㄷ·ㄹ;肉]->[바달->마잘->마살->마살리]->[Māsaḷī[魚](Konknni)
출처:어원생각 님
finny 지느러미가 있는,비늘이 있는
힌디어도 핀-->빈-->민-->미느-->미나
칸나다어,타밀어도 핀-->빈-->민-->미느-->미누
지느러미 비늘이 어원이다.
우리말은 어 이지만 앞에 연구개음kh가 탈락하였다.
ng의 콧소리발음이다.
지역에 따라 콧소리ng(응)이 없이 g으로 발음하는 데도 있고 k로 발음하는 곳도 있다.
이것을 우리말은 15세기에 옛이응으로 표기하였다.
음가있는 옛이응이 오늘날 음가 없는 ㅇ으로 바뀐 것이다.
밭전 위에 있는 맨 위 글자는 칼,도 刀 칼 또는 가르다 자르다 cut을 뜻한다.
田 밭,전 tara 다라 타라 다 (r탈락) 즉 피부 살 을 뜻한다.
베트남어 da 다-->자 (skin) ㄷ-->ㅈ 발음변천
일본어 田을 다 라고 발음하지 山田은 야마다 ㅋㅋ.
비늘로 여러개 갈라진 피부살를 뜻한다.
사람,비늘없는 동물이라면 月을 썼겠지.
한자는 우리말 발음을 빌려와서 즉 동음이의어를 활용하여 글자를 만드는 원리다.
내가 아주 많은 한자를 분석한 끝에 이 규칙을 알아냈지.
dor dol tol sol der 다양한 발음으로 불렸지만 대체로 우리말 달 肉 과 달moon 月
과 발음이 같음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맨 밑에 있는 점 4개는 불 火를 뜻하는데 이것도 역시 발음을 빌려왔을 뿐이다.
가르다의 어근 가르-의 음을 따오기 위해서 당시 발음 kh있는 발음 khar를 넣었다.
khwar-->hwar -->hwa 화
활활 타오르다 오늘날 ㅎ은 과거 kh발음이다.
화 라는 발음은 우리말 활활의 고대음 콸콸 에서 콸 ㄹ이 생략되고 k가 탈락한 음이다.
몽골어로 불을 гал 갈 (w음탈락)이라고 발음하는데 아직 변하지 않았지.
우리말은 변했지만...ㅠㅠㅠ
일본어로 ㄹ이 탈락하였다.
일본어 카지 かじ [火事]
[구어]화재; 불
火
음독か |あんか [行火]
훈독ひ·ほ
그리고 가르 는 물이란 뜻도 있다.
한자 문자대로 푼다면 물고기의 어원은 칼로 물고기비늘 졸라 벗겨내는 것.
혹은 물에서 활기차게 발발거리며 돌아다니는 고기
한자상고음
| ||||||||||||||||||||||||||||||||||||||||||||||||||||||||
|
핀란드어로 kala라고 한다.
걸 갈 글 굴 골 은 물을 뜻한다.
가르 가리 가히 가이 개 역시 물이다.
갈-->간<-->강(비음)<-->감(비음)
모두 물을 뜻한다.
혹은 비늘 을 벗기는 것 까는 것
깔 까라-->어원2
l은 유음이며 반모음적 성질이 있어 생략이 잘된다.
베트남어로 cá
물고기
발음 [까]
역시 (비늘을)까다와 물을 뜻한다.
물고기 피부가 거북이 등껍질 갈라져 있듯 갈라져 보이기 때문이다.
갈라져 가르다 가르-
fish 물고기,생선
finny
1. 지느러미 모양의; 지느러미가 있는(finned) 2. 물고기의; 물고기가 많은
fin을 보니 비늘이 보인다.
비늘--> 어류나 파충류의 몸 표면 전부 혹은, 조류나 포유류의 몸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얇고 단단하게 생긴 작은 조각
어류나 파충류의 몸 표면 전부 혹은, 조류나 포유류의 몸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얇고 단단하게 생긴 작은 조각을 말한다.
국어사전
비늘
[명사] 1. 물고기나 뱀 따위의 표피를 덮고 있는 얇고 단단하게 생긴 작은 조각.
영어사전
비늘
(fish) scales
"skin plates on fish or snakes," c. 1300, from Old French escale "cup, scale, shell pod, husk" (12c., Modern French écale) "scale, husk," from Frankish *skala or some other Germanic source, from Proto-Germanic *skælo "split, divide" (source also of Dutch schaal "a scale, husk," Old High German scala "shell," Gothic skalja "tile," Old English scealu "shell, husk"), from PIE root *skel- (1) "to cut."
scale (n.2)
weighing instrument, early 15c.; earlier "pan of a balance" (late 14c.); earlier still "drinking cup" (c. 1200), from Old Norse skal "bowl, drinking cup," in plural, "weighing scale" from a noun derivative of Proto-Germanic *skæla "split, divide" (source also of Old Norse skel "shell," Old English scealu, Old Saxon skala "a bowl (to drink from)," Old High German scala, German Schale "a bowl, dish, cup," Middle Dutch scale, Dutch schaal "drinking cup, bowl, shell, scale of a balance"), from PIE root *skel- (1) "to cut."
어두자음군이다. ㅅ갈-->깔(어원)
까다 가르다(자르다) 벗기다
scale (v.2)
"remove the scales of (a fish, etc.)," c. 1400, from scale (n.1). Intransitive sense "to come off in scales" is from 1520s.
scale이 비늘이 아니라 저울의 의미로 사용될때 그 어원은?
scale (v.3)
"weigh in scales," 1690s, from scale (n.2). Earlier "to compare, estimate" (c. 1600). Meaning "measure or regulate by a scale" is from 1798, from scale (n.3); that of "weigh out in proper quantities" is from 1841. Scale down "reduce proportionately" is attested from 1887. Scale factor is from 1948.
달다의 활용 달-->어원
달다
동사 저울로 무게를 헤아리다.
국어사전
가늠하다
[동사] 1. 목표나 기준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려 보다. 2.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리다.
영어사전
가늠(가늠하다)
(판단하다) judge, estimate; (짐작하다) guess, make a guess
가늠의 어근 가느-는 가르--->가느
어두자음군 ㅅ가르(어원2)
간파하다 간을 보다
간 이라는 것을 맵고 짠 정도를 느끼다,맛을 보다,일종의 측정이다.
카는 하는 do,try,test의 일종. 干
가리다 분별하다 헤아리다 판단하다
(저울에)ㅅ걸-->어원3
걸다 매달다
fish 생선,물고기
특징은 몸에 비늘이 있다는 것이다.
어원사전을 참고하자.
Old English fisc
Proto-Germanic *fiskaz
Old Saxon, Old Frisian, Old High German fisc, Old Norse fiskr, Middle Dutch visc, Dutch vis, German Fisch, Gothic fisks
PIE *peisk-
Latin piscis, Irish iasc, and, via Latin, Italian pesce, French poisson, Spanish pez, Welsh pysgodyn, Breton pesk
비슬
비슬(어원)--->비늘의 고대한국어
물고기의 어원은 비늘이다.
[명사] [방언] ‘비듬1(살가죽에 생기는 회백색의 잔비늘)’의 방언(경북).
<스시(すし)>의 의미는 무엇일까?
한국어 <고기>는 계림유사에서 <魚肉皆曰 姑記>라 하였으니, 르완다어 gogora (to grind one's teeth)의 과거형인 gogoy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씹어먹는 질긴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계림유사에서는 <魚曰 水脫剔恙切>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요리한 고기가 아니라, <생물 물고기>를 <水脫剔恙切>이라고 한 것이다.
그러면, <魚曰 水脫剔恙切>를 주목해보자.
<어(魚)>의 갑골문 상형은 <물고기 모습>이지만, 금문에서는 <칼(刀)로 저밀어(田) 조각낸(火) 것>을 뜻하므로, 르완다어 yuburura (to shed skin)의 과거형 yuburuy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비늘을 벗기는 것>을 의미하고, 중국어 발음은 yú이다.
<수(水)>는 르완다어 <suma (to make noise (usually water), get going) + shuti (friend)>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소리내며 흐르는 친근한 것>을 의미하며, 중국어 발음은 shuǐ이다.
그런데, <어>나 <수>와는 달리 <탈>은 <脫 = 剔恙切>로서, 간단한 단어가 아니다...
<剔>은 르완다어 <cengeza (to insert, cause to penetrate) + ti (pillar, column, shaf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가시(ti)를 깍아서(체;ce) 발라 내는(척;ce+ (n; and) +geza ) 것>이니, 한국어 발음은 <깍을 체>, <바를 척>이고, 중국어 발음은 tī이다.
<恙>의 상형은 <羊+心>으로서, 르완다어 <yahura (to take itself to pasture) + unga (to join) + shima (to scratch)>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홀로 집을 나가 무리에 합류한 것을 근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국어 발음은 yàng이다.
이제, <脫剔恙切> 즉, <脫 = 剔恙切>을 보자.
<剔恙切>은 르완다어 <cengeza (to insert) + ti (shaft) + yahura (to take itself to pasture) + unga (to join) + shima (to scratch)>에서, 끝의 2음절 <unga + shima>를 제거한다는 뜻이므로, <cengeza + ti + yahura>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탈(脫)>의 어원을 보자.
<탈(脫)>의 상형은 <肉 + 兌>로서, <기뻐하는(兌) 고기(肉)>를 뜻하므로, 르완다어 <cengeza (to insert) + ti (shaft) + yahura (to take itself to pastur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물에 찌를 삽입하여 끌어 올리는 물고기>를 의미하며, 중국어 발음은 tuō 이다.
결국, <水脫>은 르완다어 <suma (water) + cengeza (to insert) + ti (shaft) + yahura (to take itself to pasture)>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강물에 낚시 찌를 삽입하여 하나씩 끌어 올리는 물고기>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계림유사의 <魚曰 水脫剔恙切>은 물고기의 의미를 정확하게 설명한 것이며, 또한 그것이 각 단어들의 한음절로 축약되기 이전의 원래의 뜻과 음절인 것이다.
그런데, 일본어 <스시(すし)>는 어디에서 유래하였을까?
<魚曰 水脫剔恙切>에서 <水脫>을 다시 보자...
<水脫>은 르완다어 <suma (water) + cengeza (to insert) + ti (shaft) + yahura (to take itself to pasture)>에서 유래한 것인데, <스시(すし)>는 <su(ma) + ti + ya(hura)>로 축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스시(すし: 壽司)>는 생선 초밥에 얹는 저민 생선 살을 의미하는데, 그것은 원래 낚시로 잡은 생 물고기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또한, 일본뿐만 아니라 고려에서도 사용되었던 말인 것이다.
한자어 <壽司>는 의미와 관계 없이 에도시대 말기(19세기)에 발음에 맞추어 만들어 붙인 한자로서, 일본에서도 <스시(すし)> 유래를 잘 모르며 여러 설이 있는데, 스시가 발달한 지역은 일본해 즉, 동해 연안으로서 한국 즉, 고려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출처] 어(魚)와 스시(すし)의 유래|작성자 세건
몽골어로 생선을 자가스 라고 한다.
작<-->잡
받침 ㄱ<-->ㅂ 호환
잡았어-->어원
fish 동사에 대한 설명을 보면 고기를 잡는 것이라고 나와 있다.
이를 근거로 볼때 fish라는 말 역시 잡는 것과 관련된 동사다.
명사는 동사,형용사에서 파생된다.
붙들다 붙잡다 잡다
P.I.E 인도 유럽어 조어는 pisk-라고 보고 있다.
붓즙 붓즉 붓작 붓잡- 이 아닐까?
"a vertebrate which has gills fins adapting it for living in the water," Old English fisc "fish," from Proto-Germanic *fiskaz (source also of Old Saxon, Old Frisian, Old High German fisc, Old Norse fiskr, Middle Dutch visc, Dutch vis, German Fisch, Gothic fisks), perhaps from PIE root *pisk- "a fish." But Boutkan on phonetic grounds thinks it might be a northwestern Europe substratum word.
fish (v.)
Old English fiscian "to fish, to catch or try to catch fish" (cognates: Old Norse fiska, Old High German fiscon, German fischen, Gothic fiskon), from the root of fish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