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헬스케어 분야에 출사표를 던진 나노스가 종합 헬스케어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나노스는 16일 진단기사업 분야의 진출을 위해 바이오메트로의 진단키트 사업분야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바이오메트로의 진단키트는 기존 콧속 깊숙이 면봉을 넣어 검체를 채취하는 비인두 검체 방식과는 달리 침으로 검사하는 방식의 타액 검체 항원 자가진단키트다.
PCR과 비교시 민감도는 97%, 특이도는 99%에 가까운 검사방법이다. 민감도는 100명의 양성자 중 97명이 양성으로 나머지 3명이 음성으로 판정된 것을 말하며, 특이도는 음성자 100명 중 99명이 음성으로 판정된 것을 의미한다.
국내 코로나 자가진단시약(진단키트) 시장 경우 현재까지 국내에서 코로나19 관련 진단시약 정식허가 현황은 총 87건인데, 허가된 개인용(항원) 자가 진단키트 9개 모두 비강검사를 기준으로 하는 자가진단키트만이 허가를획득한 상태다.
PCR과 비강검사키트는 콧속 혹은 목뒤 깊숙이 면봉을 넣어 검체를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영유아 및 아동들이 검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교육당국이 개학 후 '주 2회 선제검사용 신속항원검사 실시'를 적극 권고하면서 타액(침) 검사 방식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를 허가해 달라는 학부모들의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1일 코로나확진자 수가 30만을 돌파하면서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기업들은 때아닌 특수를 톡톡히 보고 있다. 또한 자가진단키트는 이미 각 가정에서 상비약처럼 비치하고 있는 만큼 향후 ' 위드 코로나' 상황을 비춰볼 때 그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노스 관계자는 "앞으로도 진단키트의 수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유· 소아를 포함한 모든 국민이 보다 편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에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인수하게 된 진단키트 사업은 유럽 CE인증을 획득해 유럽 수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늦어도 다음달에는 국내 허가신청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FDA는 2020년부터 타액을 이용한 진단 키트를 승인했으며 일본도 지난해 6월부터 타액 검사를 공식 승인해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개학 이슈와 맞물리면서 지난달부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타액 자가진단키트 사용하게 해주세요'라는 청원의 글도올라와 있는 상태다.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