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3.24(금요일)산행일정 | ||||||
구분 | 산이름(높이) | 위치 | 산행시간 | 산행거리 | 들머리-날머리 | 산행형태 |
오전산행 | 갑장산(806m) | 경북/상주 | 3:16분 (06:39~09:55) | 6.9km | 용흥사 대형차 주차장 | O자형 원점회귀 |
오후산행 | 백화산(933m) | 경북/상주 | 4:33분 (11:40~16:13) | 9.6km | 수봉리 주차장 | O자형 원점회귀 |
*네비주소
수봉리 주차장 : 경북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84-2
*산행코스/거리(약6.9km)
수봉리주차장 - 1.9km - 옥류대갈림길 - 1.4km - 보문터갈림길 - 0.3km - 대궐터 - 0.8km - 금돌성
- 0.5km - 득수초교갈림길 - 0.7km - 백화산정상 - 0.8km - 임천석대갈림길 - 1.8km - 봉화대 - 1.4km - 수봉리주차장
*교통/자가운전(총 466km)
갈때 : 2017.3.23(목) 부천 21:10출발 ~ 갑장산 3.24(금) 00:10도착/216km 3시간 소요
이동 : 2017.3.24(금) 갑장산 10:25출발 ~ 백화산11:15도착/약30km 50분 소요
올때 : 2017.3.24(금) 백화산 17:00출발 ~ 부천21:20도착/220km 4:20분 소요
*주요지점별 산행시간
11:40 수봉리주차장/산행시작
11:43 이정표(대궐터.봉화터)
11:47 보현사
12:04 이정표(대궐터2.1km 백화산입구1.4km)
12:08 사방댐
12;13 목교.갈림길 등산안내도
12:32 외성
12:45 이정표(금돌성1.3km 수봉리3.1km)
12:46 이정표(한성봉정상2.5km 수봉리3.1km)
12:50 이정표(대궐터0.3km 보문암터0.6km 수봉리3.3km)
13:01 대궐터
13:10 보문암부속터
13:10 보문암터 갈림길 . 이정표(금돌성0.5km 대궐터0.3km 보문암터)
13:30 금돌성 . 이정표(한성봉정상1.2km 대궐터0.8km 옥류대)
13:43 득수초교 갈림길 . 이정표(한성봉정상0.7km 금돌성0.5km 득수초교3.0km)
13:50/55 장군봉/간식
14:13/22 백화산정상(933m) . 이정표(봉화터2.8km 금돌성1.2km 주행봉)
14:22 반야사갈림길 . 이정표(봉화터2.7km 한성봉정상 반야사)
14:42 이정표(차단성2.0km 한성봉정상0.8km)
14:43 임천석대 갈림길. 이정표(백화산주차장4.8km 한성봉0.8km 임천석대1.9km)
14:46 파묘지역
14:57 이정표(방성재0.6km 한성봉정상1.5km)
15:17 이정표(수봉리2.1km 한성봉정상2.2km)
15:33 봉화대 . 이정표(백화산입구1.4km 한성봉2.6km)
15:35 차단성
15:37 공터
15:54 묘지1기
15:58 묘지1기
16:10 상주항몽대첩기념탑/기념탑안내문
16:13 수봉리 주차장/산행종료
***백화산 소개***
충북 영동군 황간면과 상주시 모동면, 모서면 사이에 있는 높이 933m의 산이며, 신라가 삼국통일 전쟁으로 백제를 공격할 때인 660년 태종무열왕이 머물던 금돌성의 대궐터의 용문사지, 진불암터 등의 사지가 있는 유명한 산으로 수원이 풍부하고 기암절벽이 많아 반야사쪽 산중턱에는 "죽음의 계곡"이라 불리는 협곡이 숨어 있어 모험가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곳이다.
포성봉(捕城峰)은 일제때 우리나라의 국운을 꺽을 목적으로 금돌성을 포획한다는 뜻에서 일본사람들이 그렇게 명명했으나, 2007년말 원명인 한성봉(漢城峰)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산의 정상부에 있는 금돌산성(今突山城)은 신라 경순왕 때 축조되었다는 전설이 있는데 자연석 난층으로 쌓은 길이 3.5km의 석성이다.
백화산 남록의 석천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반야사는 신라 선덕여왕 19년에 원효대사와 상원화상이 창건하였다 한다. 이 절에는 삼층석탑, 목사자 및 문수불상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새로 지었으며 서남 산록의 절골 우매리 사지는 2단의 석축과 초석이 있고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고, 탑벌에는 옛날 탑이 많았다 한다.
산행사진
오전에 200대명산인 경북 상주의 갑장산(806m)을 산행하고 오후산행으로 예정된 백화산(933m)을 산행하기 위하여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로 이동중입니다. 한가한 3번 도로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공성교차로에서 "모동면"방향으로 나갑니다.
공성교차로에서 68번도로를 이용하여 모동면 방향으로 운행합니다.
운행중에 "공성면 도곡리" 도로주변에 활짝핀 봄꽃을 보기 위해 잠시 정차합니다.
사진은 유실수와 그 뒷족으로 보이는 웅이산(795m) 지장산(771m)방향입니다.
잠시 꽃구경을 합니다.
맞은편으로 "공성면 효곡리"방향으로 조망되는 백학산.성봉산 입니다.
거북이 차량 뒤를 따라갑니다.
68번도로를 따라 백화산으로 이동중입니다.
사진좌측방향으로 오후에 산행할 백화산이 살짝 조망됩니다.
이후에 68번도로에서 49번도로로 갈아탑니다.
황간IC에서 백화산 정상까지는 직선거리로 약8km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황간IC는 백두대간종주때 몇번 이용했기에 그이름만 봐도 가슴이 설렙니다.
49번도로에서 수봉리로 들어가는 마을길로 접어들며 도로가 주변의 비닐하우스는 포도밭입니다
멀리 사진의 하늘금으로 오늘 산행할 백화산(933m)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석천교를 건너갑니다.
수봉리 주차장에 도착했습니다.
주차장은 비포장입니다.
주차장 주변은의 휴식공간이며 뒷편으로 석천이 보입니다.
수봉리주차장
수봉리주차장
석천으로 알고 있는데 구수천이라고도 부르는가봅니다.
이곳에부터 백화산 둘레길이 조성되어 있는가 봅니다.
수봉리주차장의 전체적인 윤각입니다.
백화산 등산안내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백화산 안내문
주차장 주변
금돌성 안내문
보호구역 안내도
입산통제 안내문/지정된 등산로는 산행가능합니다.
11:40 수봉리주차장/산행시작
주차장 주변의 감시초소와 구수천입니다.
화장실도 보입니다.
팔각정자가 쉬어가라고 나그네를 유혹합니다.
항몽대첩탑기념비 앞을 지나갑니다.
안내문
펜션앞을 지나갑니다.
11:43 이정표(대궐터.봉화터)
오늘산행은 대권터-금돌성-장군봉-봉화터를 경유하는 코스로서 정상을 두고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오는 O자형 원점회귀산행을 합니다.
시멘트도로를 따릅니다.
우측으로 개천물이 조금씩 흐르고 있습니다.
11:47 보현사
보현사
보현사 앞쪽의 손기순여사공적비
용천암앞을 지나갑니다.
보현사
보현사를 지나서 진행하는 구간은 포장과 비포장이 반복되고 여러차례 계곡을 지나야 합니다.
비가 많이 내리면 위험할것 같습니다.
징검다리모양
이어서 비슷한 계곡을 지나갑니다.
세번째 계곡을 지나갑니다.
네번째 계곡을 지나갑니다.
수량이 제법 많은편입니다.
마지막으로 목격한 간이화장실입니다.
12:04 이정표(대궐터2.1km 백화산입구1.4km)
마지막 계곡을 지나가는데 이번에는 다리가 놓여 있습니다.
강우경보설비로 추정합니다.
12:08 사방댐
사방댐 안내문
진행방향입니다.
12;13 목교.갈림길 등산안내도
갈림길의 등산안내도입니다.
마지막 여섯번째 계곡의 목교를 건너가면서 바라본 계곡물입니다.
바위구간을 올라갑니다.
이어서 약간의 너덜지대를 통과합니다.
지나온 계곡방향입니다.
12:32 외성
외성 표식
외성
좌측에 계곡을 두고 올라갑니다.
약간의 바위구간도 만납니다.
12:45 이정표(금돌성1.3km 수봉리3.1km)
12:46 이정표(한성봉정상2.5km 수봉리3.1km)
성벽같은 장소를 지나갑니다.
등산로는 또다시 유순해집니다.
12:50 이정표(대궐터0.3km 보문암터0.6km 수봉리3.3km)
대궐터 방향으로 급경사지역을 올라갑니다.
대궐터
대궐터
대궐터
대궐터
대궐터
대궐터
진행하다보면 집터의 흔적이 시야에 들어옵니다.
사면길로 진행 됩니다.
13:10 보문암부속터
13:10 보문암터 갈림길 . 이정표(금돌성0.5km 대궐터0.3km 보문암터)
13:30 금돌성 . 이정표(한성봉정상1.2km 대궐터0.8km 옥류대)
금돌성 안내문
금돌성
10시방향으로 조망되는 백화산 정상방향입니다.
지나온 방향입니다.
사진 중앙 능선이 하산할 봉화터 코스입니다.
13:43 득수초교 갈림길 . 이정표(한성봉정상0.7km 금돌성0.5km 득수초교3.0km)
장군봉으로 올라가는 작은 안부에서 오소리와 조우합니다.
아주큰놈인데 마주치자 노려봅니다.
어릴적에 아버지께서는 산에서 오소리 만나면 큰일난다고 하신 말씀이 생각나 놈이 방심한 틈을 타서 얼른 칼을 빼들었습니다.
방어자세를 취하면서 칼부림할 각오로 쳐다보니 슬금슬금 다른곳으로 이동합니다.
1대간9정맥 종주와 오지산행에서조차 한번도 만나보지 못한 오소리를 이곳 백화산에서 만나게 되는군요.
오소리 만난 부근에서 바라본 정상방향입니다.
13:50/55 장군봉/간식
장군봉에서 바라본 정상방향입니다.
장군봉에서 정상으로 진행하면서 바라본(진행방향 좌측) 들머리 방향입니다.
상주시 모서면 득수리.정산리 방향과 그넘어로 충북 옥천군 청산면이 멀리 조망됩니다.
정산리/사진중앙
"모서면 호음리" 방향입니다
뚝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 거창의 미녀산을 닮은듯 합니다.
"뉴스프링빌2 CC "방향입니다.
1시방향으로 조망되는 주행봉(874m)방향입니다/사진 좌측의 봉우리
진행방향입니다.
좌,우측으로 낭떨어지인 바위구간으로 진입합니다.
우천.결빙시 주의를 요하는 위험구간입니다.
손에 잡힐듯 정상이 다가옵니다.
14:13/22 백화산정상(933m)
백화산 정상
백화산 정상
백화산 정상에서 바라본 주행봉(874m)방향입니다.
삼각점 안내문입니다.
주위에 삼각점이 보이질 않는데 이것이 삼각점인가 봅니다.
백화산 정상의 이정표(봉화터2.8km 금돌성1.2km 주행봉)
안내문
정상석 전경입니다.
정상 전경입니다.
14:22 반야사갈림길 . 이정표(봉화터2.7km 한성봉정상 반야사)
자연보호도 중요하지만 이정표부터 정비해야하지 않을까요/제생각입니다.
성곽의 흔적을 따라 내려갑니다.
주의를 요하는 구간도 가끔씩 만나게 됩니다.
성곽 또는 성곽주변으로 등산로는 이어집니다.
진행 1시방향으로 조망되는 "모동면 수봉리"방향입니다.
진행할 방향입니다/작은 봉우리들을 넘어가며 고도를 낮추게 됩니다.
14:42 이정표(차단성2.0km 한성봉정상0.8km)
14:43 임천석대 갈림길. 이정표(백화산주차장4.8km 한성봉0.8km 임천석대1.9km)
14:46 파묘지역
지나온 정상방향입니다/사진 좌측이 정상
14:57 이정표(방성재0.6km 한성봉정상1.5km)
붉은색 돌의 성곽을 따릅니다.
오늘 올라온 계곡방향입니다.
수봉리방향
파묘흔적 같은 공터를 지나갑니다.
15:17 이정표(수봉리2.1km 한성봉정상2.2km)
15:33 봉화대 . 이정표(백화산입구1.4km 한성봉2.6km)
지나온 정상방향입니다/사진좌측이 정상
15:35 차단성
차단성에서 바라본 진행할 방향입니다.
15:37 공터
내려가는 등산로입니다.
15:54 묘지1기
15:58 묘지1기
펜션이 보입니다.
천하촌 펜션
펜션앞의 유실수가 꽃망울을 터트릴준비를 합니다.
6:10 상주항몽대첩기념탑/기념탑안내문
상주항몽대첩기념탑
기념비에서 내려가는 계단입니다.
사진 우측이 주차장입니다.
기념비 뒷면에 추진위원회 명단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16:13 수봉리 주차장/산행종료
젖은 옷을 갈아입고 주차장 바로옆의 구수천에서 스틱과 등산화의 흙을 제거합니다.
주차장에서 바라본 "백옥정"입니다/정상에 정자가 보입니다.
상주시에서 설치한 명소 안내문입니다.
집으로 가는길은 인근의 경부고속도로 황간IC로 접속되는줄 알았는데 네비는 뜻밖에 당진영덕고속도로 남상주IC로 안내해줍니다.
똑똑한 네비를 믿어야겠지요.
고속도로에서 우측방향으로 구병산이 조망됩니다(사진좌측)
저녁도 먹을겸 속리산휴게소에 들립니다.
속리산휴게소 뒷편으로 보이는 "구병산"입니다.
충북알프스라 불리는 구병산(876m)은 100대명산으로 2012.12.1에 산행하였습니다.
사진좌측부터 쌀개봉 - 구병산정상 - 백운대로 이어지는 주븡선을 바라보며 당시를 회상해봅니다.
식당에서 돈까스로 저녁을 먹고 휴게소 주변공원을 둘러봅니다.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3D입체벽화공원
휴게소를 떠나면서 바라본 구병산 모습입니다.
이후에 수도권에 접어들면서 엄청난 차량정체가 시작됩니다.
산행기끝/북한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