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전 읽기]
《앙굿따라 니까야 》제5권
[제9장 마음챙김 품] <용서를 구해야 함 경>
재가자에게 용서를 구하는 하의갈마(下意羯磨)
1. "비구들이여, 승가가 원하면, 여덟 가지 특징을 가진 비구를 위해 하의갈마(下意羯磨)를 행할 수 있다.
무엇이 여덟인가?"
2 "재가자들로 하여금 [필수품을] 얻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돌아다닌다.
재가자들에게 손해를 끼치기 위해 돌아다닌다.
재가자들을 욕하고 비난한다.
재가자들 사이에 분열을 조장한다.
부처님을 비방한다.
법을 비방한다.
승가를 비방한다.
재가자와의 법다운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승가가 원하면, 이러한 여덟 가지 특징을 가진 비구를 위해 하의갈마(下意羯磨)를 행할 수 있다."
3. "비구들이여, 승가가 원하면, 여덟 가지 특징을 가진 비구를 위한 하의갈마(下意羯磨)를 취소할 수 있다.
무엇이 여덟인가?"
4. "재가자들로 하여금 [필수품을] 얻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돌아다니지 않는다.
재가자들에게 손해를 끼치기 위해 돌아다니지 않는다.
재가자들을 욕하고 비난하지 않는다.
재가자들 사이에 분열을 조장하지 않는다.
부처님을 비방하지 않는다.
법을 비방하지 않는다.
승가를 비방하지 않는다.
재가자와의 법다운 약속을 지킨다.
비구들이여, 승가가 원하면, 이러한 여덟 가지 특징을 가진 비구를 위한 하의갈마(下意羯磨)를 취소할 수 있다."
《앙굿따라 니까야》 제5권 [제9장 마음챙김 품] <용서를 구해야 함 경(A8:89)>
_________________________
'하의갈마(下意羯磨)'는 재가자에게 계를 범한 비구가 용서를 구하기 위해 행하는 갈마(羯磨)입니다.
갈마(羯磨. karma. kamma)는 업(業)ㆍ소작(所作)ㆍ사(事)ㆍ작법(作法) 등의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작법의 뜻으로 쓰였습니다.
갈마는 불교 수행자가 계를 받는다든지, 참회나 결계(結界) 등 계율에 대한 행사를 할 경우, 선을 낳고 악을 없애는 의식상의 작법을 말합니다.
'재가자와 법다운 약속'이라 함은 가령 재가자가 "이번 석 달 동안은 여기에서 머무십시오."라고 말했을 때, "그렇게 하겠습니다." 라는 식으로 한 약속을 말합니다.
출가 비구(비구니)가 재가자에게 경문과 같이 나쁜 행위를 하고, 삼보를 비방하고, 법다운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수행자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럴 때 재가자에게 용서를 구하는 하의갈마가 있다니 놀라운 일입니다.
시대가 흐리고 혼탁하니 참회도 모르고 부끄러움도 모르는 시대입니다.
오늘날 범계자들이 넘쳐나는데 그 중에 바리이죄에 해당하는 악질적인 범계자들은 대중에게 크게 참회하는 하의갈마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모든 국민ㆍ불자들이 삿됨을 물리치고 진실만을 추구하는 정견을 가져서 거짓을 물리치고 청정한 세상이 이루어지기를 합장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부처님을 따라 배우며 심신의 안정과 건강과 안전 속에 활발발한 토요일 주말 넉넉하게 열어 가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_()_ _(())_(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