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8일(금)=
이중모음 결합 수식을 간소화하였습니다.
=3월 27일(목)=
1. 기본 상태에서도 왼손 모음 ㅗ, ㅜ, ㅡ로,
이중모음 결합이 가능하게 변경하였습니다.
2. 이중모음 결합 수식 중 빠져 있던 부분을 추가하고,
불필요한 결합 수식을 삭제하였습니다.
3. 자판 그림에서 '겹받침'으로 잘못 적힌 부분을,
'윗글쇠'로 변경하였습니다.
――――――――――――――――――――――――――――――――――――――――――――――――――――――――
= 세벌식 3-90K, 3-91K 자판 =
――――――――――――――――――――――――――――――――――――――――――――――――――――――――
= 본문 =
세벌식 3-90, 3-91(최종) 자판을,
기호와 자모의 형태로 전환하였습니다.
이러한 형태로 바꾸면 숫자 줄의 숫자와 기호를,
위치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뀐 기호의 위치에 적응이 힘든 경우,
숫자 입력에서 잦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여러 개의 자판을 겹쳐서 선택적으로 불러오는 방식,
윗글쇠를 '기능키 1타+글쇠 1타'로 입력하는 방식 등,
신세벌식 K 자판에서 기능과 형태를 그대로 가져왔기에,
원래의 자판 이름 뒤에 K를 붙였습니다.
――――――――――――――――――――――――――――――――――――――――――――――――――――――――
= 주요 사항 =
다음과 같이 초성+초성을 조합해서,
'기호'와 '자모'로 입력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U+J (ㄷ+ㅇ) = 모음과 받침의 낱자 입력 (자모)
J+; (ㅇ+ㅂ) = 기호 (기본)
기본 상태에서는 윗글쇠 기능키로만,
한글 윗글쇠 입력이 가능합니다.
자모로 전환하면 모음과 받침의 낱자를 입력할 수 있고,
원본 자판 그대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공세벌식의 초성 ㅋ과 숫자 0의 위치가 겹치기에,
초성 ㅋ은 조합용 모음 ㅗ와 함께,
/ 자리에 갈마들이 방식으로 들어갔습니다.
3-91K 자판은 윗글쇠의 두 줄 숫자판을 그대로 적용하였고,
윗글쇠의 중복된 쉼표, 마침표를 살려서,
숫자+쉼표, 마침표의 조합을 윗글쇠로 함께 누를 수 있습니다.
――――――――――――――――――――――――――――――――――――――――――――――――――――――――
= 위치가 다른 기호 =
QWERTY 자판과 위치가 다른 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3-90K 자판: (5개)
/ < > ' ;
3-91K 자판: (7개)
/ < > ' ; " :
――――――――――――――――――――――――――――――――――――――――――――――――――――――――
= 활용 =
3-90K 자판의 경우 곧은 따옴표 ' " 가 중복되니,
다른 기호로 변경하셔도 됩니다.
다른 기호들 역시도,
자주 사용하시는 기호로 변경해서 사용하세요.
수식 맨 끝에 있는 0x 뒷부분만,
'원하시는 기호의 유니코드'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배치된 기호를 복사해서 자리를 옮겨도,
쉼표, 마침표+기호 전환은 그대로 적용됩니다.
――――――――――――――――――――――――――――――――――――――――――――――――――――――――
= 사용법 =
1. 다음과 같이 초성+초성을 조합해서,
'기호'와 '자모'로 입력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U+J (ㄷ+ㅇ) = 모음과 받침의 낱자 입력 (자모)
J+; (ㅇ+ㅂ) = 기호 (기본)
기본 상태에서는 윗글쇠 기능키로만,
한글 윗글쇠 입력이 가능합니다.
자모로 전환하면 모음과 받침의 낱자를 입력할 수 있고,
원본 자판 그대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 글쇠배열 - 옵션 - 전처리에서 M=1을 M=0으로 바꾸면,
기본 상태에서 왼손 모음 ㅗ, ㅜ, ㅡ의 이중모음 결합이 차단됩니다.
2. [ 에 '한글 윗글쇠' 기능이 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초성 또는 모음을 먼저 입력해야' 작동합니다.
[ 를 먼저 누르고 난 후에,
해당 글쇠를 누르면 윗글쇠가 입력됩니다.
윗글쇠 기능을 잘못 누른 경우에는,
B 를 누르면 윗글쇠 기능이 해제됩니다.
※ 모음이 포함된 글자 다음에 [ 기호를 입력하려면,
'모음, 받침 조합 중단 버튼(🆇)'을 먼저 누르고 입력하거나,
[ 기호를 두 번 누르시면 됩니다.
3. 조합 중단 버튼
A, 숫자 8 자리에 글자 조합 중단 기능이 있어,
같은 유형의 낱자를 연달아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초성 조합 중단 버튼(🅧) = A (받침 ㅇ)
모음, 받침 조합 중단 버튼(🆇) = 숫자 8
모음은 '단독 입력'과 '글자에 포함된 경우'에 작동하고,
초성과 받침은 '단독 입력 시에만' 작동합니다.
1) 초성이 합쳐지며 된소리 초성으로 바뀌는 경우,
기호 전환에 쓰이는 초성 ㄷ+ㅇ, ㅇ+ㅂ의 경우,
초성 조합 중단 버튼(🅧)이 필요합니다.
2) 모음이 합쳐지며 이중모음으로 바뀌는 경우,
모음이 포함된 글자+숫자 줄의 2, 3, 8 또는 [ 를 입력하는 경우,
모음, 받침 조합 중단 버튼(🆇)이 필요합니다.
3) 받침이 합쳐지며 겹받침으로 바뀌는 경우,
모음, 받침 조합 중단 버튼(🆇)이 필요합니다.
4. 쉼표+띄어쓰기 버튼
Z와 /에 낱자 입력용 '쉼표+띄어쓰기' 기능이 있고,
/에 있는 기능은 자모 전환 시에만 작동합니다.
1) 'ᄀᅠ, ᄂᅠ, ᄃᅠ, ᄅᅠ'처럼 초성을 이어서 입력할 때,
쉼표+띄어쓰기를 반복해서 입력하는 경우,
반대편에 있는 Z를 눌러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ᅟᅡ, ᅟᅣ, ᅟᅥ, ᅟᅧ'처럼 모음을 이어서 입력하거나,
'ᅟᅠᆨ, ᅟᅠᆫ, ᅟᅠᆮ, ᅟᅠᆯ'처럼 받침을 이어서 입력할 때는,
반대편에 있는 /를 눌러 쉼표+띄어쓰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글쇠배열 - 옵션 - 전처리에서 L=1을 L=0으로 바꾸면,
3번과 4번의 기능이 꺼집니다.
5. 쉼표, 마침표와 기호를 조합해서,
쌍이 되는 기호를 입력합니다.
1) 여는 기호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누릅니다.
「 『 〈 《 【 ‘ “ ☞의 경우
2) 쌍이 되는 닫는 기호는,
쉼표, 마침표와 조합해서 입력합니다.
」 』 〉 》 】 ’ ” ☜의 경우
끝에 마침표가 붙으면 '마침표+여는 기호'를 누르고,
끝에 마침표가 안 붙으면 '쉼표+여는 기호'를 누릅니다.
마침표 붙으면: .(마침표) + 여는 기호
마침표 안 붙으면: ,(쉼표) + 여는 기호
예) . + 「 = .」
, + 「 = 」
3) 나머지 기호는 쉼표, 마침표 조합 시,
기호의 형태가 바뀝니다.
원래 글쇠 → 쉼표+글쇠 → 마침표+글쇠 순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마침표 다음에 바로 이어서'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기호 전환 이후에 바로 이어서'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
'원래의 기호'가 아닌 '전환된 기호'가 입력됩니다.
이때는 [ 와 결합해서 원래의 기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 기호 = 원래 기호
※ '사용자 정의 조합'이 사용되었고,
'새 상태'를 '현재 상태'와 동일하게 설정해 반복 입력되게 하면,
기호를 지울 때 쉼표, 마침표가 나타나는 현상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