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다지,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쑥, 냉이) 1. 꽃다지 
온 산천에 흔하디 흔한 식물로 나물이나 국거리로 이용 (오른쪽 꽃다지는 벌써 꽃이 핌)
2. 벼룩나물 
약간 습한 밭언덕이나 밭두둑에 흔한 식물로 역시 나물이나 국거리로 이용 3. 점나도나물 
벼룩나물과 비슷한 장소와 비슷한 시기에 나는 식물로 이용방법도 대동소이함 4. 쑥 
온 산천에 흔하나 가능하면 논밭에서 멀리 떨어진 산쪽에서 채취하는 게 좋음 5. 냉이 
온 산천에 흔한 식물로 역시 나물이나 국거리로 활용 * 위 다섯 가지 나물은 이른 봄(2월 중순부터) 가장 먼저 싹을 틔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매우 훌륭한 자연식품이기에 제일 먼저 소개함.
이른 봄철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야생나물 (돌나물, 곰보배추, 광대나물, 민들레, 씀바귀 순)
1. 돌나물 
산기슭의 바위 틈이나 밭둑 등의 축축한 땅에 나는 식물로 어린 줄기와 잎으로 김치를 담금 2. 배암차즈기 (일명 곰보배추) 
기침이나 천식에 유용한 약초이면서 어린 잎을 나물로 담가 먹을 수 있음
3. 광대나물 
길가나 풀밭 등에 매우 흔한 식물로 어린 줄기와 잎을 잘라 나물김치를 만들어 먹을 수 있음 4. 민들레 
양지쪽 풀밭이나 길가에 흔히 자라는 식물로 어린 잎을 나물로 먹을 수 있음 5. 씀바귀 어린싹 
씀바귀 씀바귀 뿌리 
산과 들의 풀밭에 주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싹과 뿌리를 나물로 먹을 수 있음
봄철 몸에 좋은 야생나물 ( 1,달래 2.지칭개 3. 뽀리뱅이 4. 벌개미취 5. 야생갓) 달래 새 줄기 
달래뿌리 
- 달래는 칼슘, 철, 인, 탄수화물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예전에는 '들에서 나는 약재'로 생각하여 봄철이면 임금님께 가장 먼저 진상했던 나물이라 함 - 달래무침, 달래장, 달래장아찌, 달래된장국, 달래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달래는 당뇨, 혈압, 간기능 등 각종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함 2. 지칭개
- 한방에서 '이호채'라고 하여 종기, 염증, 골절상 등에 쓰는 이 지칭개는 봄철에 어린 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음 - 생으로 무치면 쓴 맛이 강하므로 살짝 데친 후 찬 물에 하루 쯤 우린 후 사용하는 게 좋음 3.뽀리뱅이 
- 한방에서 '황암채'라고 하여 열을 내리고, 해독을 하며, 염증이나 통증을 다스리는데 사용하는 이 뽀리뱅이도 지칭개와 마찬가지로 봄철 어린 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음 - 지칭개와 생김새 및 약효, 맛 등이 비슷하므로 나물 만드는 법도 같음 3-1 지칭개와 뽀리뱅이의 비교 
왼쪽이 지칭개이고, 오른쪽이 뽀리뱅이임 4. 벌개미취 
- 한방에서 뿌리를 폐 기능 강화, 기침,가래,소변이 안 나오는 데 등에 사용한다는 이 벌개미취는 개미취의 일종으로 봄에 어린 순을 나물로 무쳐 먹을 수 있음 - 어린 잎은 쑥부쟁이 어린 잎과 비슷한데, 쑥부쟁이 어린 잎과 마찬가지로 어린 잎을 나물로 무쳐 먹거나 데쳐 말린 후 묵나물로 만들어 오래 먹을 수 있음 야생갓 
야생갓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강변 
- 한방에서 성숙한 열매를 '백개자'라 하여 위장을 따뜻하게 하고, 경락을 통하게 하며, 염증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한다는 갓은 '11월~다음 해 3월까지'가 제철인 채소임 - 갓은 원래 매운 맛이 강한 편인데, 씨가 퍼져 나가 야생에서 자라게 된 야생갓은 재배한 것에 비해 더 맵고, 더 질길 수 있으나 영양소나 약효는 더 좋다고 함 * 지난 번의 '봄나물 특강 1과2'에 이어 오늘 소개한 이 5가지 야생나물도 우리 자연에 얼마든지 있는 것들이니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몸에 좋은 야생나물 ( 야생 고들빼기, 방가지똥, 갈퀴나물, 떡쑥, 돌미나리 순) 1.고들빼기 
- 씀바귀처럼 맛이 매우 쓰지만 입맛을 돋우는 등 뛰어난 건강식품임 2.방가지똥 
- 왼쪽은 고들빼기, 잎에 날카로운 톱니를 지닌 오른쪽 식물이 방가지똥임. - 뿌리까지 캐서 무쳐 먹을 수 있으나, 그럴 경우 약간 쓴 맛이 남.
3.갈퀴나물 
- 들이나 산기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크면 1~2m 정도로 제법 큰 덩굴이 지나 봄철엔 어린 순을 따서 나물로 무쳐 먹을 수 있음. - 조금만 자라도 질겨지나 어린 순을 무치면 부드럽고 매우 담백한 맛이 남. 4. 떡쑥 
- 어린 싹일 때 잎에 선모가 빽빽하게 나서 전체가 하얗게 보임 - 나물떡, 죽, 차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전엔 쑥떡을 만들 때 쑥보다 이 '떡쑥'을 더 애용했다고 함. - 한방에서는 이것을 '서국초'라 하여, 가래, 천식, 기관지염, 혈압을 낮추는 데에 처방한다고 함. 5. 돌미나리 
- 개울이나 강 주변의 습지에서 야생하는 미나리 - 시중에 유통되는 미나리는 거의 '미나리꽝'이라는 논에서 재배한 것으로 야생 돌미나리는 현재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이제 막 싹이 돋아나고 있음. - 돌미나리는 향긋한 맛 뿐만 아니라 해독, 정혈 작용 등을 하는 뛰어난 건강식품이라 할 수 있음. * 몸에 좋은 야생나물 (풀솜나물, 자운영, 질경이, 갈퀴덩굴, 개망초 순) 1. 풀솜나물 
- 산과 들의 건조한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서로 다른 꽃을 피움 - 봄에 돋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음 2. 자운영 
- 논과 밭, 풀밭 등에 흔히 자라는 식물 - 어린순, 어린 줄기를 살짝 데친 후 참기름, 깨 등을 넣어 나물로 무쳐 먹을 수 있음. 3. 질경이 
- 전국 각지의 길가나 풀밭 등에 흔히 자라는 식물 - 무침, 볶음, 튀김 등으로 사계절 내내 먹을 수 있으나, 봄철의 부드러운 잎이 가장 좋음. 4. 갈퀴덩굴 
- 전국 각지의 길가나 빈터에 흔히 자라는 식물 - 봄에 나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음 개망초 
- 전국 도처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 - 봄에 뿌리에서 돋은 잎과 꽃이 피기 전 부드러운 줄기 끝을 나물이나 묵나물로 이용할 수 있음 *주의사항1: 개망초의 뿌리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으므로 뿌리를 나물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음 *주의사항2: 개망초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꽃을 피우는 '망초'는 나물로 사용하지 않음 망초 (개망초와는 달리 나물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개망초와 비교하시기 바람) 
- 나물로 사용하지 않는 망초 어린 포기 * 위 다섯 가지 식물들도 우리 산야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나물재료이니 관심있는 분들은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보약이 되는 야생나물 (달맞이꽃, 쑥부쟁이, 머위, 광대수염, 짚신나물 순) 1.달맞이꽃 
- 전국 각지에 나는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 - 조리방법: 어릴 때 로제트형으로 핀 부드러운 잎을 밑동부터 잘라 끓는 물에 데친 후 찬물에 헹궈 나물로 무치거나 열무김치 담듯 김치로 담가 먹음 - 맛: 매콤하면서도 알싸함 - 효능: 어린잎 나물, 꽃차, 가을에 캔 뿌리 말린 차, 열매 기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효능은 대동소이함 1) 꽃을 따서 말린 달맞이꽃차는 특히 여성에게 좋은데, 각종 월경전 증후군, 임신 중 입덧이나 불안감, 수유 중 모유 부족 등에 효과적임 2) 기관지 질환에 좋고, 유방암, 전립선암 등에 항암작용이 있다고도 함 3)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각종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있다 함 4) 관절염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함 2. 쑥부쟁이 
-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 조리방법: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살짝 데친 후 깨소금, 참기름 등을 넣고 무침 - 맛: 약간 쌉싸름하고 매운 맛도 있지만 향긋함 - 효능: 기침, 기관지염에 좋고, 거담진해의 작용도 있다 함 3. 머위 
-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 조리방법: 뿌리잎은 무쳐먹고, 크게 자란 잎은 삶아서 쌈으로 먹으며, 잎자루는 껍질을 벗겨 나물로 무치거나 국을 끓임 - 맛: 쌉쌀하나 향긋함 - 효능: 입맛을 돋우어 체력을 강화함 4. 광대수염 
- 전국 각지 산 숲 속이나 숲가에 자라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 조리방법: 봄에 돋는 어린순을 잘라 살짝 데친 후 나물로 먹음 - 맛 : 향긋함 - 효능: 1) 민간에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사찰 등에서는 오래 전부터 나물로 이용했음 2) 대부분의 봄나물이 그렇듯 입맛을 돋우고 체력을 강화함 5. 짚신나물 
- 전국 각지 산과 들에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 조리방법: 봄에 나는 어린순을 따서 데친 후 나물로 먹음 - 맛 : 쌉싸름함 - 효능: 예로부터 종기를 다스리는 약초로 활용해 왔는데 최근엔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짐
1 취나물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먹습니다. 
2 꿩의다리(꿩다리) 삶아서 무쳐 먹으면 향긋합니다. 
3 윤판나물 많이 먹으면 배탈이납니다. 삶아서 하루 정도 물에 우려낸 후 무쳐 먹습니다. 기침, 폐결핵 
4 당개지치(지장나물) 핵산이 풍부한 고급나물이고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식욕부진 
5 벌깨덩굴(줄나물, 깻잎나물) 깊은 산골짜기에 많으며 삶아서 무치면 아주 맛이 좋습니다. 비슷한데 색갈이 검고 잎이 두꺼운것은 광대수염이니 뜯지 마세요. 
6 나비나물(콩대가리)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7 곤대서리 생으로 쌈을 싸 먹어도 되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8 병풍취 아주 고산지대에 자생하며 취나물의 여왕이라 할 정도로 향이 좋으며 생(날것)으로 쌈을 싸서 먹습니다. 
9 참당귀 생으로 쌈을 싸 먹으며 향이 아주 좋습니다. (뿌리는 한약재로 쓰입니다) 
10.우산나물(우산대)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11.단풍취(조타파리) 산에가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취나물이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12.고비(귀리) 머리부분은 때어내고 삶아서 말린 후 묵나물로 먹습니다. 
13.쥐오줌풀 산 길 주위에 많으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14.애기참반디(밤내이) 참나물이며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15.참나물 깊은 산 골짜기에 많으며 나물중에서 최고로 맛있으며 생으로 쌈을 싸 먹습니다. 
16.홀아비꽃대(놋젖가치)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 무쳐 먹습니다.(대궁이는 두릅 맛 비슷합니다) 
17.돌나물 돋나물이라고도 하며 나물로 무치기도 하고 생으로 김치를 담아 먹기도 한다  18.혼닙나물(화살나무)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순하고 맛과 향이 좋다. 
19.냉이 이른봄 들나물을 대표한다. 무쳐도 좋고 국으로도 향이 좋다. 
20.물냉이 논두렁이나 개천 근처에 많이 자란다. 냉이보다 잎이 잘잘하고 많이 달린다. 
21.떡쑥 양지바른 풀밭이면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나물로는 적합지 않고 주로 쑥떡용으로 식용한다. 
22.엄나무 엄나무는 험상궂은 가시가 줄기에 빈틈없이 나있는 나무로 해동목(海桐木). 자추목(刺秋木)이라고도 한다. 
23.참나물 취나물 비슷한데 털이 없고 기름때가 반질거린다. 
24.기린초 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산속 물가에 많이 자생한다. 
25.담배나물(망초) 우리 주변에 가장 많은 풀이 망초다. 공원과 아파트 정원 어디서도 잘 자란다. 양념을 잘해 나물로 무치면 아주 맛이 좋다. 
26.소리쟁이 물가나 풀밭 어디에도 흔한 풀이다. 나물로도 먹고 국으로도 사용되는데 맛은 별로다. 
27.둥굴레나물 깊은 산속 큰나무 밑에 잘 자란다. 뿌리는 약초로도 쓰이고 둥굴레차로도 많이 이용된다. 
28.취나물 산나물의 으뜸이다. 요즘은 재배도 많이 한다. 
29.민들레 나물로 먹는데 꺾으면 유백색 진이 난다. 뿌리는 아주 독이 많다. 나물로 먹으려면 데쳐서 물에 24시간 이상 우리어야 한다. 
30.도라지 싹(길경) 순하고 맛있는 나물이다. 
31.더덕 잎과 줄기는 나물로, 뿌리는 약재나 나물로 귀하게 이용된다. 깊은 산속 계곡류 근방에 자생한다. 
32.씀바귀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쓴나물이기 때문에 많이 우려야 한다. 
33.두리풀(용강나물) 한약초로는 잎과 뿌리를 '세신,이라 한다. 향이 독특하여 나물로도 고급에 속한다. 꽃이 요강이나 족두리를 닮았다. 깊은 산속에 자란다. 
34.애기나리 산속 큰 나무 밑 음지에 잘 자란다. 둥굴레 비슷한데 잎이 작다. 대체로 군락을 이루어 산다. 
35.묵나물(다래순) 깊은 산속 덤불로 자란다. 강원도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맛과 향이 매우 좋다. 
36.질경이 풀밭이면 어디서도 잘 자라는 잡초에 속한다. 나물로 먹을 수 있으나 좀 질긴 편이어서 데쳐서 다시 국을 끊이면 좋다. 
37.보리뱅이(뽀리뱅이) 우리가 어릴 때는 없던 풀이다. 해방 뒤 들어온 외래종이다. 뽀얀 진이 나기는 해도 순한 나물이다. 집 근처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냉이 비슷한데 잎이 넓고 크며 붉은색을 띠고 진이 난다. 
38.시금치나물(별꽃풀) 물가나 습한 곳에 많이 난다. 흰꽃이 별같아서 별꽃풀이다. 시금치 같이 순하고 맛이 좋아 권하고 싶다. 
39.방아나물 깻닢 비슷하기도 하고 취나물 비슷도 한데, 박하 비슷한 독특한 냄새가 매우 강하다. 그래서 생선조리할 때 넣으면 비린내가 싹 가신다. 
40.다닥개갓냉이 양지바른 풀밭에 흔하게 자란다. 나물로 무치면 아삭아삭한 맛이 제법이다. 
41.고들빼기 씀바귀의 일종으로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진이 많아 쓴 편이다. 
42.병아리고비 고사리의 작은 모양으로 이른봄 고사리보다 먼저 나온다. 산계곡이나 음지에 자란다. 봄나물의 으뜸이다. 
43.깨나물(오리방풀) 깻닢같이 생겨 깨나물이다. 야산 조금 높은 곳 양지쪽에 자생한다. 
44.고추나물 이와 비슷한 풀로 '물레나물' 과 '용담초' 가 있다. 봄나물로 권하고 싶은 좋은 나물이다. 약간 습한 풀밭에 잘 자란다. 
45.미역취 취나물과에 속한다. 약간 큰산에 자라는 나물이다. 맛이 아주 좋다. 
46.콩제비꽃 제비꽃 중에 나물로 먹는 것이 두세 종 된다. 대개 식용은 잎이 하트형으로 둥굴다. 집 근처에 많이 자생한다. 
47.양지꽃 이른봄 가장 먼저 나오는 풀이다. 양지바른 언덕에 많이 산다. 
48.잔대(겨르기싹) 꺾으면 진이 나는데 뿌리를 생으로 먹기도 한다. 
49.망제비꽃 물가나 습한 음지에 잘 자란다. 여리고 순해서 나물로 괜찮다. 
50.짚신나물 개울가나 습한 땅에 자란다. 여름에 노란 꽃이 핀다. 
51.조개나물 제비꽃의 일종인데 황해도에서는 조개나물이라 부른다. 깊은 산속 낙옆속에 자란다.흰털이 많이 나며 연하다. 고급나물에 속한다. 
52.가락지나물 양지꽃이나 뱀딸기를 닮았다. 계곡가나 습한 땅에 잘 자란다. 
53.당귀 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큰산 계곡에 난다. 뿌리는 한약재 '당귀'로 쓰인다. 
54.청미래덩쿨 줄기나 가시가 억센 편이어서 어린순만 먹을 수 있다. 가을에 빨간 열매를 장식으로 많이 이용된다. 
55.까치수영 까치수염이라고도 하는데 흰꽃이 수염처럼 늘어져 피기 때문이다. 이 풀은 삶으면 초록색이 갈색으로 변해 시각성이 떨어진다. 
56.층층이둥굴레 약간 습한 낮은 땅에 자란다. 
57.개갓냉이 꼭 전라도 갓을 닮았다. 자연상태의 갓이다. 맛이 일품이다. 
58.궁궁이(천궁) 냄새가 톡 쏜다. 잎에서도 뿌리 '당귀'처럼 짙은 한약냄새가 특징이다. 
59. 메꽃 흰 뿌리와 함께 먹는 순한 풀이다. 풀밭이면 어디서도 자란다.  60.좀단풍취 고산식물에 속한다. 높은 산 큰나무 밑 낙엽 속에 자란다. 
61.갈퀴나물 풀밭에 흔하게 볼 수 있는 풀이다. 잎이 큰 큰갈퀴와 작은 갈퀴가 있다. 사진은 작은 갈퀴다. 
62.고비나물 고비가 활짝 핀 모습이다. 깊은 산 계곡가에 많이 난다. 
63.좁쌀풀 나물 풀밭에 군락을 이루어 무더기로 산다. 
64.멸구나물 귀한 나물이다. 들풀은 아니고 산속 양지쪽에 산다. 
65.꼬리솔나물 층층이둥굴레와 비슷하나 잎이 가늘고 작다. 양지를 좋아한다. 
66.청가시나물 맛있는 나물에 속한다. 잎과 순이 작아 뜯기가 힘들다. 가시가 많고 사납다. 
67.쑥부쟁이 큰산나물의 대표다. 요즘은 가을에 보라색 꽃이 좋아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식재한다. 
68.구기자순 열매 구기자차로 먹는 구기자 나무다. 나물로도 귀하다. 
69.산머루 야산에 많이 자란다. 개머루가 달린다. 
70.곰취 취나물중의 으뜸, 곰취는 깨끗한 물에 씻어서 날로 먹는것이 가장 향이 좋으며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싸서 된장을 조금 발라 찍어 먹으면 신선이 따로 없음을 느끼게 해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71.각시취 우리강산의 산천에서 나는 풀은 새순일 때는 독초까지도 독이 없을 정도로 깨끗하고 얌전하다.
72.고사리
73.고추대나물
74.단풍취
75.모시대
76.미나리취
77.바위취
78.방풍나물
79.병풍취
80.누리대
81.미역취
82.삿갓나물
83.원추리
84.지장보살
85.엉겅퀴
86.명아주 이거 많이 먹으면 부항든다고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