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뿌리
15세기 불휘
브르ㅎ--->원순모음화 진행--->부르ㅎ
뻗다 기본형---->뿔
헝가리어 juuri 뿔에서 ㅂ탈락된 형태
root도 앞에 v 발음 탈락된 형태
어원사전을 참고하면
"dig with the snout," 1530s, from Middle English wroten "dig with the snout," from Old English wrotan "to root up," from Proto-Germanic *wrot- (cognates: Old Norse rota, Swedish rota "to dig out, root," Middle Low German wroten, Middle Dutch wroeten, Old High German ruozian "to plow up"), from PIE root *wrod- "to root, gnaw."
인도-유럽어 기원 형태 PIE root *wrod-
뻗어 가 변형된 형태가 wrod
r은 ㅎ발음으로 w인 v음가에 묻힌다.
위의 어원 설명대로 땅을 파들어가며 뻗어나가는 것이다.
뿌리의 특징 땅 깊이 영양분과 물을 찾아 파고 드는 성질 뻗는 것이다.
뿔의 특징이 뾰족해서 뭔가 찌르거나 파고드는 특징이 있다.
역시 크게 보면 뿔도 뿌리와 같은 어원이다.
ㅅ불 지금 우리말의 된소리로 발음되는 말들은 모두 과거 어두자음군의 형태의 흔적이다.영어의 spear 의 어원이다.
w가 과거 v음가였음을 알수가 있는 흔적이다.
근본,본 본 의 발음은 뻗은 --->줄임 뻔--->뽄--->본
참고로 북경 중국어의 발음 뻔3성으로 읽힌다.
산의 어원은 쌓은 ---->줄임 산 이되듯 같은 방법의 축약현상이다.
일본어는 本이라 해놓고 홍이라 읽으면 책 이고 뜻으로는 모또 근본,밑바탕 이라는 뜻이다.
아프리카어 세소토어 motso 체와어 muzu 스와힐리어 mizizi 우리말의 밑
일본어의 모또 모두 같은 어원이다.
밑바탕 즉 뿌리인 셈이다. 우리말이 아프리카어와 관련된 사실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인도의 펀자브 주와 파키스탄의 펀자브 주에서 사용되는 공용어도 영어의 뿌리라 할수 있는 범어의
한 계통 이상한 문자네 ^^ ਰੂਟ --->Rūṭa
인도 남부 및 동남아의 타밀어
ரூட்--->Rūṭ
Character: 本
Modern (Beijing) reading: běn
Preclassic Old Chinese: pǝ̄rʔ---->뻐르ㅎ 혹은 쁘르ㅎ(원순모음화 일어나기전 발음)
Classic Old Chinese: pǝ̄́n
Western Han Chinese: pǝ̄́n
Eastern Han Chinese: pǝ̄́n
Early Postclassic Chinese: pǝ̄́n
Middle Postclassic Chinese: pǝ̄́n
Late Postclassic Chinese: pǝ̄́n
Middle Chinese: pón
English meaning : root
Russian meaning[s]: 1) корень; ствол; основа; основной, коренной, главный; в основном, в сущности; 2) исток, начало; первоначально, в истоке; 3) данный, настоящий; подлинный; текущий, этот; 4) мой, наш; 5) капитал, основной капитал; 6) корешок (переплета), том; счетный суффикс книг; 7) стар. докладная записка
Comments: Viet. also has a colloquial loan: vốn 'capital, funds, principal'.
Dialectal data: Dialectal dataNumber: 180
Character: 本
MC description : 臻合一上混幫
ZIHUI: 2609 2027
Beijing: pǝn 2
Jinan: pẽ 2
Xi'an: pẽ 2
Taiyuan: pǝŋ 2
Hankou: pǝn 2
Chengdu: pǝn 2
Yangzhou: pǝn 2
Suzhou: pǝn 2
Wenzhou: paŋ 21
Changsha: pǝn 2
Shuangfeng: pin 2
Nanchang: pǝn 2
Meixian: pun 2
Guangzhou: pun 21
Xiamen: pun 2
Chaozhou: puŋ 21
Fuzhou: puɔŋ 2
Shanghai: pǝŋ 3
Zhongyuan yinyun: pan 2
Radical: 75
Four-angle index: 5292
Karlgren code: 0440 a
Vietnamese reading: ba`n
Tibetan: sbun, spun stalk of a plant.
Burmese: LB *s-pVn root
Kachin: phun3 tree, bush, a stalk.
Lushai: bul, KC *bul root.
첫댓글 '뿌리'의 어원은 인류최초의 문화를 만든 태양족이 그 효시였기에 영어로 ROOT라고 하였는데 즉, "태양의 머리"를 말한다. 머리족들이 태양족이며 그들은 혹은 "아버지 사람들"이라고 하였다. 그러기에 아버지 사람들의 인도유럽어의 변형된 발음이 상당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PAN, PUN,PIN이 바로 그것이다.원형은 BAN, BUN, BIN이다. 아버지 사람들, 태양의 머리 사람들이 인류의 효시로 보았기에 그 근본을 말한 것이며 오늘날 "뿌리"로 삼고 있는데, 이 뿌리는 고대에 부리, 불로 나타났고 불은 부리, 부르가 됨에 같은 뜻이다. 부리, 부르는 광명(태양의 흰, 밝은빛)을 뜻하는 '바르(BAR)에서 온 것이다. 그러므로 한문의 본(본)
본/뿌리는 인류문명의 효시를 가리킨다 할 것이다. 물론 PON, BEN도 같은 어원이다.쉽게 말하자면 '아버지 사람들, 머리 사람들, 태양족이 모두 포함된 종족이 그 뿌리가 된 것이다. 그러면 누구인가? 환인이며 환웅족이었다. 언어학에서 자연스럽게 고대사가 풀리기 시작합니다.
좋은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물론 아프리카언어의 큰 맥은 스와힐리어(위대한 아버지 태양의 언어), 쿠시어(고시), 반투어(아버지 머리어), 베르베르어(광명의 언어)로 4대 산맥이라하며 대다수의 아프리카 종족이 사용하고 있다. 본인은 이 아프리카 문명이 기원전 7000년으로 생각하며 '빈카문화권과 같은 년대로 추정하고 있다.
현인류의 고대언어네요.여기서 파생되어 세계각국의 말이 만들어지는 것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