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대지 Teme des hommes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Antoine de Saint Exupery
* 지구라는 떠돌이별 속의 인간*
1939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생텍쥐페리가 15년 동안의 험
난한 비행 체험을 통해 터득한 삶의 지혜를 일체의 허구적
구도나 수 사적 기교를 배제하고 서정적으로 써 내려간
에세이식 소설이 다.
《어린 왕자》의 모티브가 된 작품으로 일컬어진다.
같은 해 미국에서 《바람과 모래와 별들》이라는 제목으로
출판 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1939년 아카데미프랑세즈의 소설 부 문 대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으로 생텍쥐페리는
세계적인 작가 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 작품은 여덟 편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항공로', '동료들', 비행기', 비행기와 지구', '오아시스',
'사막의 인 간 , '생명의 끈을 찾아서 , '인간들'의 순이다.
이 이야기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가가 창공을 비행하면서 맞닥뜨린
여러 한계 상황들의 기억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와 본질을 줄기차게
탐구하는 과정이 전 개된다.
주인공인 '나'가 1926년에 라테코르에르 항공 회사에
우편 비행 조종사로 입사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첫 비행을 하던 때, 동료 기요메가 가르쳐 준
지리적 지식은 땅의 구조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 땅에 살고 있는 구체적인 생명체의 숨결을
느끼 게 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시작한 비행 중에 경험하게 된,
죽음에 직면한 동료들 과의 유대와 책임 의식,
고독과 또 다른 생명의 사막,
험준한 산 맥과 낯선 부락들,
그리고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신비감은 모 두
무수히 많은 별들 가운데
지구라는 하나의 떠돌이별을 지키는
한 묶음의 사건들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떠돌이별을 향한 인간의 의식이 다.
대지에 대한 의식은 그것을 터전으로
그것과 교감함으로써 진정한 자신을 깨우쳐 나간다.
삶의 가치는 먹이만 찾는 동물과 달리
자신의 내부에 잠자고 있는
미지의 것을 깨우는 데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비극은 가난도 고독도 죽음도 아니다.
그것은 마음속에 존재하는 진정한 생명을 암살당하고
진흙 덩어리의 굳어 버린 삶을 사는 것이다.
생명이 있는 삶을 제공하는 것은 대지다.
인간은 어떤 책보다도
자연의 대지로부터 많은 것을 배운다.
그리고 대지의 비밀을 캐내기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하다.
생텍쥐페리는 비행기라 는 도구를 통해서 대지와 만나고,
그 속에서 인간과 삶의 진실 을 캐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