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8 화 문법 이혜경
1. 노트정리 : to 부정사 전체 정리 2차
* 반드시 카테고리가 있어야 한다
* 나의 설명이 있어야 한다
* 예문이 충분하고 분석이 되어 있어야 한다
* 문제 풀다가 내가 헷갈렸거나 틀린 문장을 반드시 쓰는 곳이 있어야 한다
[to부정사의 개념]
1. 품사가 하나로 정해지지 않았다.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
2. 모양: to동사원형 (기본: 전치사와 구별/심화: 문장안에서 위치)
[명사적 용법]
1. 주어 역할
1) 주어일때 단수취급 (동사 수일치 주의)
2) 가주어 It (주어가 길때. to부정사의 위치는 주어자리가 아니지만 주어역할. 즉, 명사적 용법)
2. 보어 역할
1) 주격 보어 (주어=보어)
2) 목적격 보어 (5형식)
*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
- 동사에 따라 목적격 보어가 다양 (형용사, 명사, to부정사, 과거분사, 현재분사, 원형부정사)
- want, ask, expect, tell, allow, order, force, cause, get : to 부정사
- let, have, make : 원형 부정사 (과거분사)
- help : 둘 다
My dad let his car washed.
My dad let me wash his car.
3. 목적어 역할
1) to부정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암기하기
2) 가목적어 it (목적어가 길때)
[형용사적 용법]
1. 명사 수식 (명사뒤에서 수식)
2. be to 용법 (이때 to부정사가 주격보어가 아닌 경우인지 확인) : 예정, 의무, 가능, 운명등의 내용
[부사적 용법]
1. 목적 (~하기 위해서)
2. 감정의 원인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3. 판단의 근거 (~그렇게 하다니)
4. 결과 (시간의 흐름상 그냥 일어난 일을 표현. 의도가 아니라 ~하다보니 이렇게 되었다의 표현)
[to부정사의 부정=부분부정]
1. 전체부정 (문장전체의 내용을 부정하는 경우는 본동사가 부정을 담당)
2. 부분부정 (to부정사만 부정하는 경우)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1. 동사의 성질을 알자.
1) 주어를 가진다
2) 목적어를 가진다
3) 주어의 수를 나타낸다
4) 시제를 나타낸다
5) 태 (수동/능동)를 나타낸다
2. to부정사도 주어가 있다. 즉, 그 행동을 하는 주체가 문장전체의 주체와 다를때 표현
1) 5형식의 목적어가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2) 가주어 It 구문에서 to부정사 앞에 전치사+목적어: 대부분 for,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일때는 of
stupid, smart, clever, kind, nice, wise, careless, rude, smart, honest, generous, polite, thoughtful
2. 문제복습 : 틀렸거나 헷갈렸던 문장들 반드시 노트에 옮겨적고 복습한다. (복습이란, 분석한다)
1) 1일1강 틀린 문제 복습하기 -> 문장 노트에 옮겨적고 분석
2) 기출문제 UNIT 5 의미상주어 연습문제 1회~3회 나머지 문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