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나무위키)
역사학자인 2대 수상자 몸젠이나 철학자인 베르그송과 러셀이 받은 적도 있어 인문학상 요소도 가지고 있다. 1953년 윈스턴 처칠 이후 소설가, 시인들이 독점하다 [2] 2015년 벨라루스의 논픽션 작가 알렉시예비치가 수상하면서 반세기 만에 다른 장르의 수상자가 나왔다. 2016년에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밥 딜런이 깜짝 수상하여 오랜만에 비 작가가 수상하게 되었다. 밥 딜런의 수상을 계기로 초창기처럼 스펙트럼이 넓어지지 않겠냐는 예상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노벨문학상은 작품성도 고려되지만 당시 시대 상황 등 작품 외적 요소도 많이 고려된다. 좀 거칠게 표현해서 2차 대전 이후로는 문학성 이전에 자국 정부에 비판적 성향인 작가들에게 유리한 상인데, 반대로 해석하면 보수성향 작가들은 아무리 글 잘 쓰고 세계적으로 유명해도 받기 힘들다는 소리다. 일례로 수상을 거부한 바 있는 장폴 사르트르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었고, 1994년 수상자인 오에 겐자부로는 핵무기 반대 운동을 펼쳤었다. 반면 아르헨티나의 중도우파 작가이자 칠레의 독재자 피노체트를 두둔한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베트남전을 옹호한 반공주의자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끝내 타지 못하고 죽었다. 이 때문에 극우파로서 사회활동을 하던 미시마 유키오도 할복자살을 하지 않았더라도 노벨문학상을 타기는 조금 힘들었을 거라는 추측도 있다. [3]
주의해야 할 것은 노벨문학상은 작가에게 주는 상[4]이지 특정 작품에 주는 상이 아니다. 하지만 노벨문학상 심사평마다 수상 작가의 문학적 업적을 논하는 과정에서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작품들이 있긴 하다. 예를 들면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과학분야와는 달리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고도 자의적으로 수상을 받지 않은 사르트르 같은 케이스도 있다. 이는 문예가 수치화할 수 있는 과학 분야와 달라 공로를 판가름하고 서열을 세울 수 없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