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hio man left a will ordering that his money [was/be] spent to build a home for cats
답은 be 입니다
답지에
S + 주장, 요구,명령,,제안,결정,동의,충고 + that + S+(should) + R~이므로
앞에 order가 있으므로 that절의 should가 생략된 동사자리에 동사원형이 나와야하며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가 와야한다
따라서 be spent입니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1. 위의 문장에 주절의 동사가 left아닌가요?
남자는 그의 돈을 고양이를 위한 집을 짓는데 쓰도록 유언( a will ordering )을 남겼다 라고 해석했는데...
2. 저는 S + 주장, 요구,명령,,제안,결정,동의,충고 + that + S+(should) + R 구문이 주장, 요구,명령,,제안,결정,동의,충고 동사인줄 알았는데 틀렸나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 that 이하가 order을 꾸미는 관계부사였나보네요??
that절이 꾸미는 말이 주장, 요구,명령,,제안,결정,동의,충고 내용이기만하면 그 형태가 동사이든 형용사이든...
should를 넣어야한다는 게 맞나요?
left가 주어란 건 무슨 말이신지 몰것음... 일단 해석하실 때 '주어가 ~~ 해야한다고/하는게 좋겠다고~/요구/제안/주장/설득/강요/충고 하다' 이렇게 되는 경우에라야 should R형태로 쓴다는 걸 기억하세요. Cope~ suggested that the earth moves around the sun. 이 경우는 (should) R 가 아닌 현재가 왔죠? 위 문제에서 ordering은 현재분사로 쓰인 듯 하네요. will을 수식하는... 결국 문장이 3개가 이어진 것 같네요. 눈 보고 싶다님의 글대로... 현재분사는 동사역활과 형용사 역활을 동시에 하니 ordering이 동사역활도 있다는 걸 기억합시다. 저도 배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