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옛날 중학교를 여의도에 있는 여의도중학교에 다녔었다.
가끔씩,
불현듯 떠오르는 여의도는 마음한구석에
기름종이로 새겨놓은 것처럼 각인되어 있다.
나는 여의도 중학교 2회 졸업생이다.
서울에서 처음으로 시범학교를 만든다고 남학생 3반
여학생 3반으로 총 6반을 만들어 선진국 같이
좋은 환경에서 공부할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였다.
다른 중학교는 어떻는지 모르지만,
여름방학때는
동대문 운동장 수영장을 빌려 수영을 가르쳤고,
겨울방학에는
서울에 1개밖에 없는 동대문 스케이트장에서 스케이트를 가르쳤었다.
학교옆에 시범아파트가 고층으로 들어선 이후로.....................
우리나라 최초로아파트 투기의 시발점이 되어
복부인,투기꾼의 좋은 먹이감이 되어
여의도의 절반이 아파트 숲으로 변해갔다.
그로인해 전학오는 학생들이 넘쳐나
남.여,총 6반 학급이 10반으로 늘어나며
시범학교라는 취지가 퇴색되어 가고 있었다.
시범아파트 단지내 상가를 아케이트라는 말로 불리며
아파트상가의 또 다른 이름의 선두 주자가 되었었다.
반아이들의 대부분이 여의도에 거주하기 때문에 배정을 받았지만
한반에서 10여명은 다리건너 영등포에서 배정 받아온것이었다.
어린나이지만 빈부의 차이를 느낄수 있었고,
아케이트란 단어 같이
보온도시락이라는 단어도 처음 듣고 보았었다.
까만 사각통을 어깨에 걸수있게 되었는데 점심때가 되어 보온도시락 뚜껑을 열면
그 추운 겨울에도 김이 모락 모락나는 것을 부러움에 가득차 보곤했었고
보온도시락을 같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었다.
그때는 회수권을 사용했는데 학교가 파하면 버스는 타지 않고
삼삼오오 걸어오며 샛강에서 물놀이도 하고 까마중이라는
조그만 열매도 따먹으며 즐거워 했었다.
회수권이후로 아마도 토큰이라는 작은 동전을 사용했던 기억이 있다
우리가 걷는 이유는 걸어온 댓가로 남은 회수권으로
떡복이를 사먹을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때 먹었던 떡볶이의 맛은 말로 표현못할 맛인데
얼핏본 기억에 설탕대신 갈색빛의 갱엿을 넣었던것 같았었다.
지금 떡볶이에 금을 넣고 만든다 해도 그때의 맛에는
비교가 안될만큼 달콤하고 쫀득하고 살살녹는 맛이었다.
학교가 파한후 신길동 집으로 걸어오며 지그재그로
여의도 모래사장을 걸으며 고철을 주었는데
그때 고철값이 좋아 강냉이아저씨한테 팔아
번데기.엿.강냉이를 바꿔 먹었는데 14세-16세때의
먹성좋은 이팔청춘때에 최고의 양식이 되곤 했었다.
지금의 여의도 공원은 그 옛날 오일육광장(5.16)이라 불렀었다.
그 오일육광장에서 1시간에 얼마씩 주고 자전거를 빌려타고
내 세상인양 광장을 휩쓸고 다니기도 했었는데,
한 번은 국회의사당 앞 도로를 손 놓고 자전거를 타다
문지기경찰에 붙잡혀 근처 도로의 쓰레기나 담배꽁초를 줍기도 했었다.
그 벌칙의 이유는.........................
국회의사당 앞 대로에서 위험하게 손을 놓고 탔다는 황당한 이유였지만
착하고 심성고운 나와 친구들은 순순히 쓰레기를 주었었다.
지금같아서는 그 경찰을 불러 혼구녕을 낼텐데 말이다........
여의도 윤중로에 있는 벗나무가 내 키정도나 조금더 컸을때에는
오일육광장에서 1년에 한번씩 10월 1일 국군의 날 행사가 있었지만
시간이 흘러 이제는 유명한 벗꽃축제가 열리며 서울의 명소가 되었다.
언제든 여의도에 가면 ...................
그 엤날 벗나무와 함께 꿈을 먹고 커왔기에
서로 서로 알아보고 인사할 수 있나 확인해야 할것 같다.
삶이란 열정의 또 다른 이름이다.
엄청나게 커버린 벗나무의 열정적인 삶에 박수를 보낸다.
연우(煙雨 ; 안개처럼 내리는 비)가 내리는 날,
벗나무와 함께 걸으며,
카타르시스를 (catharsis ; * 비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비참한 운명을 보고
간접 경험을 함으로써, 자신의
두려움과 슬픔이 해소되고 마음이 깨끗해지는 일.
* 정신 분석에서, 마음속에 억압된 감정의 응어리나 상처를
언어나 행동을 통해 외부로 드러냄으로써
강박 관념을 없애고, 정신의 안정을 찾는 일.)
느끼고..........
또 느끼고 싶다...................................
첫댓글 기억납니다 저는 마포 한서국민학교를 다녔는데 6학년 때 여의도광장으로 봄소풍을 갔었는데 전시된 비행기 몇대 보곤 아스팔트에서 도시락 까먹고 왔어요 제일 재미없던 소풍 ^^
ㅎㅎ
맞어요.
많은 학교들이 비행기 보러 왔었어요.
잠시 옛 추억을 생각해 보며 아릿한 그림움이 몰려옵니다.
시범 중학교 답네요.
우리는 개인적으로
동대문, 효창구장으로
수영 , 스케이트 다닌것이
새삼 떠오르네요. ㅎ
학생시절 여의도는
삶의 디딤돌이고
평생의 추억으로
남겠습니다.
지금도 여의도를 가면 가슴 짠한 마음이 있습니다.
지금도 여의도에 있는 신동양반점에서 결혼식을했었지요.
여의도 5.16광장의 흔적은 남아있지요.
그후 민주화운동의 여파로 여의도에서 운동권 집회를 했던 기억도 나네요.
빌리그레함 목사의 설교와 기도회도 생각이 나구요. 지금은 그안에 묻어 있지요.
몇년전에는 대한민국 한우농가들이 소를 끌고와서 시위를 했던 적도 있었지요.
추억이란 늘 아름답기만 하답니다.
국풍81인가도 대대적으로 했던기억이 있습니다.
한동안 생각이 없다가도 불현듯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습니다.
그때는 혼자라도 가서 걸을때도 있습니다.^*^
학창 시절의
아릿한 추억도 이제는
이렇게 담담히 표현 할 수 있는
우리들의 이지금을 사랑하며 살아야겠습니다
지난날에 대한 추억을 가금 글을 쓰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자세히 그때의 일들을 생각하며 음미하면 1-2시간이 훌쩍 흘러 가기도 하지요.
즐겁게 잘살아야하는 우리들 인생입니다.^*^
어린시절을 회상학[ 하는 글 읽으며
그 글 속에 추억여행을 하였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옛 경험과 추억으로 성장한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