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 만해(萬海)이신 시인 한용운(韓龍雲)은 본명이 한정옥(韓貞玉)
입니다. 본래는 독립운동가였습니다.
1879년 충남 홍성에서 아버지 한응준 어머니 온양 방(方)씨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나 1944년 65세에 사망했습니다.그가 남긴 유명한 시
와 재미있는 글이 많은데 그중 맘에 와 닿는 시 한 수를 소개해 드리
고져 합니다.
언젠가는
언젠가.. 말 못할 때가 옵니다.
따스한 말 많이 하세요.
언젠가.. 듣지 못할 때가 옵니다.
값진 사연,
값진 지식
많이 보시고 많이 들으세요.
언젠가.. 웃지 못할 때가 옵니다.
웃고 또 웃고 활짝 많이 웃으세요.
언젠가.. 움직이지 못할 때가 옵니다.
가고픈 곳 어디든지 가세요.
언젠가.. 사람이 그리울 때가 옵니다.
좋은 사람 많이 사귀고 만나세요.
언젠가.. 감격하지 못할 때가 옵니다.
마음을 숨기지 말고 마음껏 표현하고 사세요.
언젠가.. 우리는 세상의 끝자락에 서게 될 것입니다.
사는 동안 최선을 다해 후회없는 삶을 살다 가시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그저 물처럼 지혜롭고,쉬지않고,냉정하게 흐르는 인생으로 늘 웃음
가득한 나날들 되세요.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
인생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분명한 것
은 오직 하나뿐인 일회적 인생을 살다가 간다는 사실입니다.
옛 현인들은 우리들의 인생을
♦️첫째:
참되고 진실되게 살고
♦️둘째: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며
♦️셋째:
보람스러운 삶을 추구하며 살라는 답을 주신것 같습니다.
인생의 시작과 끝!
결국 내가 가져 온 것도 내가 가져 갈 것도 없는 것입니다
다만 주어진 삶속에서 성실하고 착하게 살아가면서 적당한 즐거움
과 행복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 자신의 참다운 인생을 사는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세월이 가면 모든것은 놔두고 빈손으로 왔었던 그 자연으로 다시 돌
아가는 인생입니다.그것이 바로 공수래공수거 인생입니다.
따라서 지금 이 시간이 가장 중요한 시간임을 잊지 마시고 오늘도
더 멋지고 더 아름답고 더 행복한 인생 여정을 만들어가는 멋진 하루
되시기를 소망합니다.
제2의 시.
와서는 가고, 입고는 벗고, 잡으면 놓아야 할, 윤회의 이 소풍길에!
우린,어이타 깊은 인연이 되었을꼬!! 봄날의 영화 꿈인듯 접고,
너도 가고 나도 가야 할, 저 빤히 보이는 길 앞에, 왜 왔나 싶어도!
그래도... 아니 왔다면 많이 후회 했겠지요?
노다지(언제나)처럼, 널린 사랑 때문에 웃고,가시처럼 주렁주렁
미움 때문에 울어도,
그래도, 그 소풍 아니면 우린 어이 정다운 인연이, 맺어졌겠습니까?
한 세상,살다 갈,이 소풍길! 원없이 울고 웃다가,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더 낫단 말, 빈말이 안 되게 말입니다!
우리, 그냥 어우렁 더우렁,그렇게 더불어 즐기며 살다가,
미련없이 소리없이 그냥 훌쩍 떠나 가십시다요!
어우렁 더우렁 즐기면서 부디 부디 건강하시고 온 가정이 평안과
기쁨이 넘치는 복이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