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e been to the National museum today.
Oh, have you?
여기 밑줄 친 문장에서 have 가 대동사로 쓰인거라도 되어있는데요? 바로 앞에 문장에서 현재완료시제 조동사 have가 쓰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부분을 have를 이용해서 대동사로 처리한건가요? 대동사에 대해서 잘 몰라서요 이게 문장에 따라 달리 쓰이는 동사들이 있는지 아니면 그냥 앞에 나온 동사를 이용해서 중복된 부분 처리해주는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그리고 Cannot.... without 라는 조동사 관용구문을요 NO can 형식으로 형식으로 바꿔도 되나요? 책 문법 설명에선 이런 문장 형식이 없어서요 물론 cannot 과 No can이랑 같은 뜻인건 알겠는데 그래도 관용구문이니까..이렇게 써도 되나 싶어서요
사실 이 질문 밑에 따로 적었었는뎅 답변이 안 달려서 제가 답답해서 올려요 목 마른자 우물 파야죠 ㅡ.-
여기에 질문하면 거진 실시간으로 답변 달리고 상세하게 해 주셔서 너무 감동 받아요 ..
이번에도 도움 청할께요 영어 고수님들 ㅜ.ㅜ
삭제된 댓글 입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하하 전 예문 쓴거라고 생각했는뎅 지송~
저도 초보지만... 일단 관용어법의 경우... cannot은 가능도 되지만, 추측의미도 있으니 (100%불가능-강한 부정적표현)/ 그 외도 cannot too등으로 관용 표현으로 쓰니까요. No can... 이건 문법적으로 안 맞는 듯. No one can(none can)이라면 모를까요. 즉 관용구문들은 저마다 쓰임이 있고 뜻이 다르기에 함부로 바꿀 수 없습니다. 조동사는 쓰임을 알고 그 형태를 아는 게 공부법 같아요. 저도 지금 조동사편 보고 있음. 다시 보고 있어요~ 그리고 위에 대동사라고 했는데요. 부가의문문인데 일반적 형태와 좀 다르네요. 원래 긍정이면 부정으로 쓰고 하는데... 'Oh, 가보니 어떻디?"이렇게 쓴 것 같아요.
위에 분 말씀대로 그냥 가볍게 쓴 것 같네요. 그리고 대동사로 받는 건 뒤에 부가의문문편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스파르트를 보신다면 뒤에 부가의문문편을 보세요. let's의 경우 어떻게 받고 하는 것들이 있는데, 전 까먹었음... 한 달도 안 됐구만... 벌써 ㅜㅜ;;
have pp에서 have는 조동사거든요~ 그래서 조동사인 have로 받은거예요~
be동사면 be로, 조동사면 조동사로 일반동사면 do/does로 받으니깐요~
아네 감사합니다. 제가 알고 싶었던 부분이 바로 이 부분이었어요 정확한 답변 감사합니다 ^^
다들 감사합니다. 그러면 대동사 파트는 부가의문문 공부하면 거기에 나오는거죠? 부가의문문 꼭 긱억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