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가지보(無價之寶)
값을 매길 수 없는 귀중한 보배라는 뜻으로, 본래 진짜 소중한 것은 가격을 매길 수 없는 법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런 표현이 나오면 값이 없는 것이 아니라 측정할 수 없을 만큼 값이 많이 나간다는 말이다.
無 : 없을 무(灬/8)
價 : 값 가(亻/13)
之 : 갈 지(丿/3)
寶 : 보배 보(宀/17)
출전 :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이 성어는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에 나오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太公曰; 勤爲 無價之寶, 愼是護身之符.
태공이 말하기를, 부지런함은 값으로 따질 수 없는 보배요, 신중히 행동함은 몸을 지켜주는 부(符; 護符)니라.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은 조선 세종 28년(1446) 창제 반포된 훈민정음과 동시에 출간된 한문 해설서이다. 줄여서 훈민정음이라고도 한다.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성삼문, 최항, 박팽년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훈민정음 한문 해설서로,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다.
세종이 직접 쓴 서문에 해설이 붙어 있기 때문에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 부른다.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와 의미, 사용법 등을 소개하고, 한글의 과학적 우수성을 증명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값을 따질 수 없는 무가지보(無價之寶)로 평가된다.
1446년 출간된 해례본 한 권(1962년 국보 제70호,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이 서울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 판본이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08년에 상주에서 동일 판본이 발견되었는데 간송본에 비해 보존 상태가 좋은데다, 표제와 주석이 모두 16세기에 새롭게 더해져 간송본보다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받는다.
중국 전국시대 때 위(魏)나라의 한 농부가 밭을 가는데 딱딱한 것이 쟁기에 걸렸다. 깊숙이 땅을 파보니 어른 머리통만 한 옥석(玉石)이 나왔다.
세상 물정에 어두운 농부는 낑낑대며 옥석을 들고 이웃 장사꾼에게 찾아갔다. 장사꾼은 깜짝 놀랐으나 겉으로는 태연한 척하며 입을 열었다. “불길한 징조요. 원래 자리에 가져다두지 않으면 큰 화를 입을지 모르오.”
겁이 난 농부는 장사꾼 말대로 옥석을 다시 밭에다 가져다 놓았다. 그날 밤, 어둠이 깊어지자 장사꾼이 농부의 밭으로 슬금슬금 가서 옥석을 집으로 옮겼다.
장사꾼의 아내가 옥석을 보고 남편에게 말했다. “귀한 물건이 우리집에 있다는 소문이라도 났다간 도적부터 찾아오지 않겠습니까? 차라리 왕에게 바쳐서 상금이라도 얻는 게 낫지 않겠어요?”
무릎을 탁 친 장사꾼은 이튿날 해가 뜨자마자 아내와 함께 궁궐로 향했다. 옥석을 보고는 왕도 신하들도 입이 떡 벌어졌다. 마음이 급해진 왕은 이름난 장인을 불러 옥석의 값어치를 매겨보라고 명했다.
한참을 옥석을 살피던 장인이 입을 열었다. “이 옥의 가치는 감히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왕은 크게 기뻐하며 장사꾼에게 큰 상을 내렸다. 내심 옥석을 훔친 것이 마음에 걸린 장사꾼은 그 상을 반으로 나눠 농부에게 건넸다. 덕분에 두사람 모두 큰 부자로 거듭났다.
고사성어 무가지보(無價之寶)는 이같은 이야기에서 비롯했다. ‘값을 매길 수 없는 귀한 보물’이란 뜻으로 쓴다.
무가지보(無價之寶)
값을 매길 수 없는 귀중한 보물이라는 뜻이다.
사람은 말과 글로 의사를 교환한다. 세계에는 약 3000개의 언어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말을 기록하는 자신의 글자를 가진 민족은 많지 않다.
한글의 우수성은 모든 소리를 그대로 발음하고, 또 발음 나는 대로 기록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한글은 인류가 사용하는 문자 중 세종대왕이라는 창제자와 창제년도가 명확히 밝혀진 몇 안 되는 문자이다.
이러한 한글의 특성은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에서 해마다 세계 문맹 퇴치에 공이 큰 사람에게 '세종대왕 문맹 퇴치상(King Sejong Literacy Prize)'을 줄 정도로 인류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백성을 위해서 만든다는 창제정신이 돋보인다. 애민(愛民)이다.
춘추시대 제(濟)나라의 명재상 안자의 어록을 담은 안자춘추(晏子春秋)는 백성 사랑에 대해 이렇게 가르친다. '뜻은 백성을 사랑하는 일보다 더 높은 것이 없으며, 행동은 백성을 즐겁게 해주는 것보다 더 두터운 게 없다(意莫高於愛民 行莫厚於樂民).'
그 한글 창제의 진수가 바로 '훈민정음 상주본'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창제 동기, 의미, 사용법 등을 소개하고, 한글의 과학적 우수성을 증명하고 있다. 전문가 사이에서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물, 즉 무가지보(無價之寶)로 불릴 정도로 귀중하다.
그런데 이런 세계적 보물을 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송사에 휘말려 세상의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훈민정음 상주본은 경북 상주에 거주하는 배익기씨가 2008년 7월 기존 간송본 외 또 다른 해례본을 찾아냈다고 공개해 존재가 알려졌다. 그러나 배씨가 소장처를 명확히 밝히지 않아 11년째 행방이 묘연하다.
어려움이 있겠지만, 문화재청은 상주본의 귀한 가치를 알고 문화재청에 신고했던 최초 문화재 발견자인 배씨에 대한 명예회복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적절한 보상 등 해결책 마련을 위해서 능동적인 자세로 임하길 바란다.
그럼으로써 세계 인류에 한글을 통한 문맹 퇴치는 물론 우리말이 '세계공통어'가 되는 데 하나의 기초가 되길 기대한다.
▶️ 無(없을 무)는 ❶회의문자로 커다란 수풀(부수를 제외한 글자)에 불(火)이 나서 다 타 없어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없다를 뜻한다. 유무(有無)의 無(무)는 없다를 나타내는 옛 글자이다. 먼 옛날엔 有(유)와 無(무)를 又(우)와 亡(망)과 같이 썼다. 음(音)이 같은 舞(무)와 결합하여 복잡한 글자 모양으로 쓰였다가 쓰기 쉽게 한 것이 지금의 無(무)가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無자는 ‘없다’나 ‘아니다’, ‘~하지 않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無자는 火(불 화)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불’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갑골문에 나온 無자를 보면 양팔에 깃털을 들고 춤추는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무당이나 제사장이 춤추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춤추다’가 본래의 의미였다. 후에 無자가 ‘없다’라는 뜻으로 가차(假借) 되면서 후에 여기에 舛(어그러질 천)자를 더한 舞자가 '춤추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無(무)는 일반적으로 존재(存在)하는 것, 곧 유(有)를 부정(否定)하는 말로 (1)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 공허(空虛)한 것. 내용이 없는 것 (2)단견(斷見) (3)일정한 것이 없는 것. 곧 특정한 존재의 결여(缺如). 유(有)의 부정. 여하(如何)한 유(有)도 아닌 것. 존재 일반의 결여. 곧 일체 유(有)의 부정. 유(有)와 대립하는 상대적인 뜻에서의 무(無)가 아니고 유무(有無)의 대립을 끊고, 오히려 유(有) 그 자체도 성립시키고 있는 듯한 근원적, 절대적, 창조적인 것 (4)중국 철학 용어 특히 도가(道家)의 근본적 개념. 노자(老子)에 있어서는 도(道)를 뜻하며, 존재론적 시원(始原)인 동시에 규범적 근원임. 인간의 감각을 초월한 실재이므로 무(無)라 이름. 도(道)를 체득한 자로서의 성인(聖人)은 무지(無智)이며 무위(無爲)라고 하는 것임 (5)어떤 명사(名詞) 앞에 붙어서 없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없다 ②아니다(=非) ③아니하다(=不) ④말다, 금지하다 ⑤~하지 않다 ⑥따지지 아니하다 ⑦~아니 하겠느냐? ⑧무시하다, 업신여기다 ⑨~에 관계없이 ⑩~를 막론하고 ⑪~하든 간에 ⑫비록, 비록 ~하더라도 ⑬차라리 ⑭발어사(發語辭) ⑮허무(虛無) ⑯주검을 덮는 덮개 ⑰무려(無慮), 대강(大綱)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빌 공(空), 빌 허(虛)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존(存), 있을 유(有)이다. 용례로는 그 위에 더할 수 없이 높고 좋음을 무상(無上), 하는 일에 막힘이 없이 순탄함을 무애(無㝵), 아무 일도 없음을 무사(無事), 다시 없음 또는 둘도 없음을 무이(無二), 사람이 없음을 무인(無人), 임자가 없음을 무주(無主), 일정한 지위나 직위가 없음을 무위(無位), 다른 까닭이 아니거나 없음을 무타(無他), 쉬는 날이 없음을 무휴(無休), 아무런 대가나 보상이 없이 거저임을 무상(無償), 힘이 없음을 무력(無力), 이름이 없음을 무명(無名), 한 빛깔로 무늬가 없는 물건을 무지(無地), 대를 이을 아들이 없음을 무자(無子), 형상이나 형체가 없음을 무형(無形), 아무런 감정이나 생각하는 것이 없음을 무념(無念), 부끄러움이 없음을 무치(無恥), 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음을 무리(無理), 하는 일 없이 바쁘기만 함을 무사분주(無事奔走), 한울님은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다는 무사불섭(無事不涉), 무슨 일에나 함부로 다 참여함을 무사불참(無事不參), 즐거움과 편안함에 머물러서 더 뜻 있는 일을 망각한다는 무사안일(無事安逸), 아무 탈없이 편안함을 무사태평(無事泰平), 재미나 취미나 없고 메마르다는 무미건조(無味乾燥) 등에 쓰인다.
▶️ 價(값 가)는 ❶형성문자로 価(가)와 통자(通字), 价(가)와 간자(簡字), 贾(가), 賈(가)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賈(가)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賈(가)는 貝(패; 재산)와 덮을 아(襾=西, 覀; 덮다)部의 합친 글자로서 물건을 사놓고 손님을 기다리는 일, 행상이 商(상)인데 대하여 가게에서 파는 것이 賈(가), 장사, 값, 價値(가치)로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價자는 '값'이나 '가격'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價자는 人(사람 인)자와 賈(값 가)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사실 이전에는 賈(값 가)자가 '가격'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賈자는 재화(貝)를 펼쳐놓고(覀) 물건을 판다는 데서 '장사하다'라는 뜻으로 쓰였다. 후에 소전에서는 여기에 人자를 더하게 되어 '가격이란 사람과 사람 간의 거래'란 뜻을 표현하게 되었다. 그래서 價(가)는 (1)어떤 명사(名詞) 뒤에 붙어 값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2)성(姓)의 하나로 ①값, 가격(價格) ②값어치 ③명성(名聲), 평판(評判) ④수(數) ⑤값있다, 값지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값 치(値)이다. 용례로는 값이나 값어치를 가치(價値), 물건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돈으로 나타낸 것을 가격(價格), 팔고 사는 물건의 값을 가금(價金), 사고파는 물건에 일정하게 매겨진 액수를 가문(價文), 값을 작정함 또는 값을 깎음을 가절(價折), 물품의 가치에 상당하는 금액을 가액(價額), 값이 높음이나 값이 비쌈을 가궁(價穹), 나라에서 값을 주고 물건을 사들이는 일 또는 그 사들인 물건을 가매(價買), 물건 값으로 치러 주는 무명을 가목(價木), 어떤 대가로 치러 주는 물건을 가물(價物), 삯이나 값으로 치러 주는 쌀을 가미(價米), 가격을 매겨 정함을 가하(價下), 물품의 가격을 평정함 또는 그 가격을 평가(評價), 물건값이나 상품의 시장 가격을 물가(物價), 주식이나 주권의 값을 주가(株價), 석유의 가격을 유가(油價), 물건을 산 대신의 값이나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생기는 희생을 대가(代價), 비싼 값 또는 값이 비쌈을 고가(高價), 낮은 값이나 싼 값을 저가(低價), 값을 줄임을 감가(減價), 물건을 사는 값을 매가(買價), 값을 정함을 결가(決價), 시세보다 헐한 값을 염가(廉價), 각 단위마다의 값을 단가(單價), 팔거나 사려고 물건의 값을 얼마라고 부름을 호가(呼價), 여러 성을 합할 정도로 그 값어치가 귀중하다는 말을 가중연성(價重連城),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같은 조건이라면 좀 더 낫고 편리한 것을 택한다는 말을 동가홍상(同價紅裳), 값을 매길 수 없는 귀중한 보물을 일컫는 말을 무가지보(無價之寶), 사실보다 지나치게 평가함을 일컫는 말을 과대평가(過大評價), 두 가지 값을 부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에누리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언무이가(言無二價), 낙양의 종이 값이라는 뜻으로 훌륭한 글을 다투어 베끼느라고 종이의 수요가 늘어서 값이 등귀한 것을 말함이니 문장의 장려함을 칭송하는데 쓰이는 말을 낙양지가(洛陽紙價)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寶(보배 보)는 ❶회의문자이나 형성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珤(보)와 동자(同字), 寳(보)의 본자(本字)이다. 寶(보)는 집안에(宀; 갓머리部) 구슬(玉, 王)과, 값비싼 도자기(缶)와 많은 재물(貝)을 두었다는 말에서 집안에 여러 가지 보물을 간직해 두다, 보배를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寶자는 '보배'나 '보물'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寶자는 宀(집 면)자와 玉(옥 옥)자, 缶(장군 부)자, 貝(조개 패)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寶자의 갑골문을 보면 宀자와 玉자, 貝자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집안에 보석이나 돈이 많다는 뜻이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항아리를 뜻하는 缶자가 더해지게 되었는데, 이는 항아리에 재물이 가득 담겨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였다. 寶자는 이렇게 집안에 재물이 가득한 모습으로 그려져 '보배'나 '보물', '진귀한'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寶(보)는 ①보배 ②보물(寶物) ③옥새(玉璽), 도장(圖章) ④돈, 전폐(錢幣) ⑤높임말 ⑥도(道) ⑦보(寶: 특정 목적의 기금 마련를 위한 재단) ⑧진귀(珍貴)한 ⑨보배로 여기다 ⑩귀중(貴重)하게 여기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썩 드물고 귀한 가치 있는 물건을 보물(寶物), 귀중한 물건을 간수하여 두는 곳을 보고(寶庫), 귀중한 재화를 보화(寶貨), 보배로운 칼을 보검(寶劍), 보배로운 책을 보서(寶書), 보배로운 구슬을 보주(寶珠), 흔히 몸치장 할 때 쓰는 몸이 매우 단단하고 광택이 곱고 그 나는 분량이 썩 적은 귀중한 광물이나 아름다운 보배의 옥돌을 보석(寶石), 본보기가 될 만한 일이나 물건이나 본보기가 될 만한 것들을 적은 귀중한 책을 보감(寶鑑), 보배롭고 귀중한 거울을 보경(寶鏡), 보배의 원말로 아주 귀하고 소중한 물건을 보패(寶貝), 인류의 죄를 구속하려고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흘린 피를 보혈(寶血), 훌륭하게 지은 누각을 보루(寶樓), 임금의 나이를 보산(寶算), 임금의 지위를 보위(寶位), 나라에서 나라의 보배로 지정한 물체를 국보(國寶), 임금의 도장인 옥새와 옥보를 어보(御寶), 귀중한 보물을 대보(大寶), 대대로 전하여 내려오는 집안의 보물을 가보(家寶), 보배로운 재물을 재보(財寶), 이름난 보물을 명보(名寶), 진귀한 보배를 진보(珍寶), 온갖 보배를 백보(百寶), 네 가지의 보배라는 뜻으로 붓 먹 종이 벼루를 소중하게 이르는 말을 사보(四寶), 보배가 될 만한 좋은 글씨라는 뜻으로 남의 글씨를 높여 이르는 말을 묵보(墨寶), 값비싼 보물이 쉽게 팔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기량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렵다는 말을 보화난수(寶貨難售), 객지에 있는 보배로운 보물이라는 뜻으로 편지 쓸 때에 객지에 있는 상대자를 높여 쓰는 말을 객중보체(客中寶體), 대대로 집안에 전해지는 보검의 뜻으로 전가는 조상때 부터 대대로 집안에 전해지다의 뜻이고 보도는 보배로운 칼을 일컫는 말을 전가보도(傳家寶刀), 값을 매길 수 없는 귀중한 보물을 일컫는 말을 무가지보(無價之寶), 손안에 있는 보옥으로 보배처럼 여기는 사랑하는 자식이나 매우 귀중한 물건을 일컫는 말을 장중보옥(掌中寶玉), 길을 헤매는 나루의 훌륭한 배라는 뜻으로 삶에 가르침을 주는 책을 이르는 말을 미진보벌(迷津寶筏), 한 집안에 대대로 전하여 내려오는 보물을 일컫는 말을 가전지보(家傳之寶), 지름이 한 자나 되는 보옥도 시간에 비하면 보배라고 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척벽비보(尺璧非寶), 여러 가지 패물로 몸을 꾸밈 또는 그 단장을 이르는 말을 칠보단장(七寶丹粧)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