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도시의 중심부에 조선시대와 근대의 흔적이 비현실적으로 존재한다. 도심에서 멀지 않은 산들은 대자연의 웅장함마저 보여준다. 수변과 어우러진 고층 건물에 젊은 기운 넘치는 번화가, 활기찬 시장은 이 도시가 얼마나 살기 좋은 곳인지를 말해준다. 밤낮으로 볼거리와 먹을거리, 특히 납작만두, 찜갈비, 막창, 누른국수, 뭉티기 등 별미는 또 왜 이리 많은지. 가볼 곳도 먹을 것도 참 많은 도시, 대구다. 대구를 즐기려면 하루 이틀로는 어림도 없다. 일주일 정도는 머물러야 ‘그래도 대구를 좀 즐겼노라’ 얘기할 수 있을 듯하다.
대구에서 즐기는 특별한 현지 살아보기형 생활관광 프로그램
서원에서 보내는 행복한 일주일
대구 한 주살이 여행은 서원에서 지낸다는 점이 특별하다.
구암서원 연비루
생활관광 프로그램의 매력은 여행하는 도시를 깊이, 또는 많이 체험하는 데 있다. 나는 대구를 좀 더 알고 싶었고 이곳에서만 즐길 수 있는 것을 놓치고 싶지 않았다. 내가 대구에서 일주일 살기를 결정한 이유다. 특히 이번에는 ‘구석구석 현지인다운 대구 한 주살이 여행’의 숙소가 바로 서원이라고 한다. 그 옛날 유생들처럼 서원의 동재와 서재에 묵을 수 있다니 가슴이 설렌다. 타임머신을 탄 기분으로 조선 현종 6년(1665)에 세워진 구암서원에 도착했다.
구암서원은 구계 서침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며 건립됐다.
구암서원은 조선시대 문신인 구계 서침과 깊은 인연이 있다. 세종은 달성 서씨 세거지를 군사 요새로 쓰고자 하여 서침에게 땅값으로 다른 땅과 함께 세록(대대로 받는 녹봉)을 주겠다고 제안한다. 서침은 세종에게 아무런 대가를 받지 않고 땅을 국가에 헌납할 테니 대신 대구 지방의 환곡 이자를 감해달라고 청한다. 개인의 부귀를 바라는 대신 지역 백성들의 삶을 먼저 챙긴 것이다. 이에 감동한 대구의 유림과 백성들이 서침의 은덕을 기리는 뜻에서 구암서원을 세웠다.
서원에서 대구 시가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밤 풍경도 근사하다.
서원살이라고 답답하거나 지루할 거란 괜한 걱정일랑 거두자. 구암서원은 원래 대구 시내 중심부에 자리하다 1995년 현재의 위치인 북구 산격동 쪽으로 옮겼다. 연암산 자락에 자리 잡은 서원은 탁 트인 전망이 일품이다. 서원 마루에 서면 내 발아래로 대구 시가지 풍경이 쫙 펼쳐진다. 대구 중심부에서 멀지 않은데 마치 번잡한 세상에서 한 발짝 떨어져 나온 기분이다. 대구 곳곳을 여행하느라 분주한 하루를 보낸 뒤 서원에서 맞는 시간은 차분하면서도 생명력이 느껴진다.
서원 안에서 다양한 체험을 진행한다.
미디어 파사드(외벽 영상)로 화려하게 빛나는 구암서원
서원에서는 다양한 활동이 이뤄진다. 일정 첫날에는 ‘선비 문화와의 입맞춤’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유복(유생들이 입는 옷)까지 제대로 갖춰 입어 몸가짐과 마음가짐도 달라진다. 배례와 생활예절 배우기, 촛대 만들기, 난 치기 등 참가자 구성에 따라 체험 내용은 조금씩 달라진다. 서원에 머무는 동안 활쏘기와 다례도 체험한다. 그중 구암서원의 미디어 파사드(외벽 영상) 공연은 빼놓을 수 없는 인기 볼거리다. 어둠이 내린 서원 외벽과 계단, 바닥에 화려한 영상이 펼쳐지면 절로 감탄사를 내지르게 된다. 과거와 현재가 눈부시게 어우러지는 순간이다. 외벽 영상은 5월에서 10월까지 첫째, 셋째주 금요일과 둘째, 넷째주 토요일 정규 진행하며 한 주살이 체험객을 위해 퇴소 전날 밤에 별도 운영한다.
예로부터 서당이 많아 서당골이라 불렸다.
연암서당골에는 역사와 전통이 깃든 공간이 많다.
대구 한 주살이 여행은 구암서원에서 마을로, 도시 전체로 확장된다. 구암서원뿐만 아니라 서원이 위치한 연암서당골 마을과 대구 곳곳에서 체험을 진행한다. 연암서당골은 아래쪽에 흐르는 신천과 위쪽의 연암산 사이 마을 일대를 일컫는데 예로부터 서당이 많아 이런 이름을 얻게 됐다. 달성 서씨 집성촌이던 연암서당골에는 지금도 체화당, 용담재, 일신재 같은 전통적인 공간이 여럿 남아 있다.
지역 주민이 운영하는 마을 목공소에서 목공예 체험을 진행한다.
최근에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마을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는 벽화와 조형물, 연암인문마당도 조성됐다. 관광객은 주민들이 직접 운영하는 목공소와 카페를 방문해 소소한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마을 목공소에서는 차받침, 연필꽂이 등을 만드는데 체험객 연령대에 맞춰 그날 만들 목공예품이 정해진다. 마을 주민과 함께 하는 체험이라 더욱 의미 있다.
대구에서 지내는 일주일 동안 다채로운 체험을 즐길 수 있다.
서원과 마을 밖에서도 다채로운 체험을 이어간다. 대구국제사격장에서 클레이 사격 또는 권총 사격을 즐기는가 하면 도예 체험도 진행한다. 대구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각종 체험이 곁들여져 더욱 알찬 생활관광 프로그램이다.
7가지 테마로 꽉 채운 알찬 7일
대구 한 주살이 여행은 매일매일 다른 테마로 구성된다.
대구 생활관광 프로그램은 대구에 머무는 7일간의 하루하루를 구암야경, 서당골 눈 맞이, 바람이 불어오는 날 두 바퀴로 느끼자, 쫄깃쫄깃한 국시데이, 꼬꼬 입 맞춤, 시간을 거슬러 걷는 길, 차 한잔의 여유라는 테마로 구성했다. 일곱 가지 큰 틀 안에서 시기와 상황, 참가자 구성원에 따라 세부 일정을 조금씩 조정한다. 첫째 날과 둘째 날엔 구암서원과 연암서당골에서 주로 보낸 후 셋째 날부터는 활동 영역을 넓혀간다.
대구 명소인 김광석다시그리기길도 방문한다.
‘바람이 불어오는 날 두 바퀴로 느끼자’ 테마는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포함한다. 가수 김광석이 살던 방천시장 인근 골목에 그의 삶과 노래를 주제로 조성한 벽화 거리다. 이 길에서는 절로 김광석의 노래를 읊조리게 된다. 날씨가 좋은 계절에는 하중도도 함께 여행한다. 하중도는 환경 오염원이던 땅을 시민의 휴식처로 정비한 곳으로 봄에는 유채꽃, 가을에는 코스모스가 장관을 이룬다. 봄과 가을에는 자전거를 타고 하중도에서 김광석다시그리기길까지 달려도 좋다.
밤마실투어 청라
밤마실투어 청라
대구 장인의 수제화
대구 북성로의 특징을 잘 담아낸 공구 모양의 빵
‘시간을 거슬러 걷는 길’은 근대 대구의 흔적을 따라간다. 대구 최초의 일반 은행인 선남상업은행 자리에 문을 연 향촌문화관과 기계공구상, 철물상회가 많던 북성로의 이야기를 담은 북성로기술예술융합소 모루, 수십 년 경력을 자랑하는 수제화 장인들이 활동하는 수제화골목, 대구의 근대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진골목 등을 돌아본다. 오랫동안 대구의 사랑방 역할을 해온 ‘미도다방’이나 북성로의 특징을 살려 공구 모양의 빵을 만들어내는 ‘09팩토리’ 같은 공간에 들러 잠시 쉬어가도 좋다.
다양한 별미가 있어 더욱 즐거운 대구 한 주살이 여행
일주일 동안 대구의 다양한 맛도 충분히 즐겨보자. 서원에서 선비 밥상을 받고 대구 곳곳에서 찜갈비, 국밥, 백숙 등 갖가지 대구 별미를 맛본다. 국수도 꼭 먹어야 한다. 7일간의 테마에 ‘쫄깃쫄깃한 국시데이’를 따로 넣었을 정도로 국수는 대구 여행에서 놓칠 수 없는 음식이다. 대구는 우리나라에서 국수 소비량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로 손꼽히고 구암서원이 위치한 북구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국수 제조기업인 풍국면이 건재한다. 추억의 맛이 넘쳐나는 칠성시장이나 서문시장도 맛 여행을 알차게 채워준다.
[여행정보]
* 구석구석 현지인다운 대구 한 주살이 여행
- 운영 기간 : 2022.4월~12월
- 문의 : 053-959-7202(영남선비문화수련원)
- 홈페이지 : http://hanjusari.co.kr/
✔ 주변 음식점
- 풍국면 침산점 : 별표국수 / 대구광역시 북구 호암로 51, 삼성창조경제단지 파크몰 A동 1층 8호 / 053-351-3377
- 단골식당 : 돼지불고기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시장로7길 9-1 / 053-424-8349
- 수봉반점 : 짬뽕 /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남로2길 60 / 053-941-1503
- 걸리버막창 : 막창 / 대구광역시 북구 옥산로 53 / 010-6880-6824
- 낙영찜갈비 본점 : 찜갈비 /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36길 9-17 / 053-423-3330
- 미성당납작만두 본점 : 납작만두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93 / 053-255-0742
글 : 김수진(여행작가)
사진 : 김수진(여행작가), 장명확(사진작가)
구석구석 현지인다운 대구 한주살이 여행, 프로그램 자세히 보기 >>
구석구석 현지인다운 대구 한주살이 여행, 프로그램 예약 홈페이지 >>
※ 위 정보는 2020년 11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 업데이트 : 2022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