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천 둘러보기 (의령 남씨 겸)
천안역 - (*고령 분기점 88고속 도로 입) - 고령 군 분기 (88고속 출)
목적지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합천 박물관 *도착전 옥전 서원 (시조묘)
박물관 까지 3:00분 소요되고
천안역 - 박물관 - 대야성 (함벽루) - 황매산 - 해인사 농산정
3:00분 40분 40분 1:30분
*대야성 : 합천군 합천읍 죽죽길 80 래비 대야성 강변에 함벽루 있음
*황매산 : 래비에 황매산 정상 주차장 찍고
*黃梅山은 경남 합천의 가회면. 대병면과 산청군 차황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준령마다 굽이쳐 뻗어 나 있는 빼어난 奇岩怪石과 그 사이에
고고하게 휘어져 나온 소나무와 철쭉이 병풍처럼 수놓고 있어. 嶺南의
金剛山이라고 불리는 아름다운 산이다.
황매산의 黃은 (副)를 梅는 (貴) 를 의미하며 전체적으로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山 頂上에 오르면 합천호와 지리산. 덕유산. 등이 조망되며.
철쭉이 滿開하는 봄도 아름답지만. 낮은 구름들이 푸르른 草木으로 뒤
덮이는 한 여름이나. 억새풀이 흐드러진 가을과 雪花가 피어나는 겨울
의 모습도 놓치기 아쉬운 산이다*
黃은 (副)=버금 부 를 梅는 (貴)=귀할 귀 =풍요로움
*합천 영상 테마 파크 : 합천군 용주면 함천 호수로 757
*합천 대장경 테마 파크 : 합천군 가야면 야천리
*모산재 : 합천군 가화면 둔내리
*천불 천탑 : 합천군 가화면 산두길 191 - 41 (허굴산 천불 천탑)
*전두환 생가 :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
이외 에 1)오도산 전망대 2) 해인사 3) 청량사 (남산 제1봉)
1)오도산 전망대 : 래비 그대로 치면 됨
참고사항으로
*황매산에서 지리산 오도재 1: 30분 비슬산 대견사 1:50분
*합천 서낭 : 합천군 초계면 대평리 119 - 4 (지금은 대평 새못)
대평새못( 택리 77 - 2)
*합천 화양리 구룡목(당산 서낭) :합천 화양리 소나무 (래비 찍고)
*의령 서낭 : 의령군 정곡면 상황리 소나무(곽재우 북을 울리든)
*500년 의령 신포리 느티나무 :의령군 칠곡면 신포리 742-12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600년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
= 홍의 장군 곽재우 생가 :의령군 궁류면 봉황대
남씨족보
의령남씨
신라때 남민 의 후손으로 남 진용의 세아들 1)의령.2)영양,3)고성 분파
그후 남은이 고려 개국 공신이 되며 중앙에 진출 전국에 분포 되였다
후손의 남이 장군은 개탄 스럽게 원래는 문인 집안으로 무인이된 남이
장군은 너무 빠른 벼슬자리에 감당하기어려운 ,그래 질투의 대상이 된
사례로 하늘 높은줄 몰랐다 할까 ? 암튼 의령 남씨는
의령 남씨 시조 남군보 지묘: 경남 의령군 의령읍 중동리205
장남 남홍보(南洪甫)는 영양 남씨의 중시조가 되었고, 3남 남광보(南匡甫)는
고성 남씨(固城南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의령 기도터 :
1)솥 바위 용궁서낭 :(곽재우 생가 보호수 )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0 - 1 (망우당 ) =곽재우 장군 문화 공원
2)의령 문월사 흔들이 할메 : 의령남씨 묘소 주변
삼층석탑과 성황리 소나무 :
의령군 정곡면 성황리 693 - 1(34 - 1)
3)김포 수안사 : 대포 서원 양성지, 한백륜 , 김안정 , 의령남씨 종중묘
김포시 양촌읍 황금로 23번길30 - 94(지번 양촌읍대포리208 )
4) 영양남씨 시조 영의공 남민 을 향사하기위해 건립한 향현사 일원
영양군 입안면 상해리 봉감탑 (오층석탑 )
5) 의령남씨 관조 남군보의 묘역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 15등길 4 - 1 (좌우로 군청과 향교 주변 )
6)의령 볼거리 의령 구름다리. 봉황대 , 의령 전통시장
한우산
래비 1) 찰비 펜션 : 의령군 궁휴면 한우상길 108
2) 한우산 생태 주차장
**의령은 물 줄기의 근원을 찿아 오르면 합천 과 덕유산 옆의 지리산
을 휘감는 기운으로 옜가야의 숨결이 서린곳이다
**가야산의 전설**
천신 (정견모주)은 아들 이 둘인데 첯째 머리가 빛이나 반짝인다 하여
노질주의라하고 둘째는 머리가 하늘색이라 뇌질 청예라 했는데 정견모
주 는 가야지역의 여산신으로 해인사 산신각에 모셔져 있기도한데 그는
가야산 큰바위 밑에서매일 백성들을 위한 기도를했다고 기록돠여 있다
**정진숙 본향 **
벽진면 용암리 고당산 (벽진 용암마을 회관에서 김천 능소 경계에 별미
령 고당산은 596m 높이의 별미령에서 2.2km 거리에 있는 산
별미령 에서 김천쪽으로 보고 우측은 백마봉 좌측으로는별미령 전망대
이곳의 주소는 김천시 감천면 무안리 산 69 벽진의 뜻은 = 하늘에 별
이라 성주에서 한양가던길에 힘겹게 넘든 길손들이 주막에서 막걸리
한잔 하며 맛이 일품이라해서 붙혀진 이름이 별미령이라 했다
연일 정씨 시조묘
시조 정습명은, 고려조 의종의 태자적 스승, 즉 국사(國師)로 태자의 교육과 인종조 폐위 논란에서 태자를 지켰던 충신이다.
현재 경상북도 포항시 대송면 남성리에 정습명(鄭襲明)을 제향하는 남성재와 신도비가 음성터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원래 구 연일현청이 있던 곳이었다고 한다.
옛날 현청에 새로 부임하는 현감마다 원인도 모르게 죽는 일이 있었는데 아무도 현감으로 부임하려는 사람이 없게 되자, 이 소문을 들은 담력이 좋은 한 선비가 자청하여 현감으로 부임하게 되었다고 한다. 부임 첫날, 두려움 중에 밤을 새우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비몽사몽 간에 한 노인이 나타나 호통을 치는 것이었다.
“내가 누운 자리에 무엄하게 현청을 지었으니, 빨리 옮겨라. 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이다.”
현감이 엉겁결에 대답하였다.
“정확한 묘자리가 어디입니까? 알려주시면 분부대로 하겠습니다.”
“내일 새벽 일찍 까치 한 마리 날아와서 맨처음 앉는 자리가 그 자리니라.”
놀라서 깨어보니 꿈이었다. 그리고 느닷없는 까치소리에 놀라 주위를 둘러보니 정말 까치가 날아와 있었다. 훗날 마을의 촌로들에게 까치가 날아와 앉은 자리를 수소문한 결과 현청부지가 정습명의 묘역임을 알게 되었다. 현감은 서둘러 현청을 고읍리로 옮겼다고 전한다.
**경북 포항시 대송면 남성리 (남성재)
시조 정습명 의 10대 후손 정몽주는 같은 설화를 가지고 . . .
식당 현황
; 이동 중식 ; 포항 얼큰이 동태탕(14000원 )
( 일월동 682번지)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안로 5934
전번 ; 054--276--4957
; 시간 촉박시 ;감포 할매 맛집,
경주시 감포읍 감포로 120(감포읍 감포리 384-12
전번 ; 054--775 --7288
메뉴 회국수, 아귀탕 ,생선이정식 (8000)
이상 두 사람의 본향은 물줄기가 낙동강으로 합수되는 구미, 대구, 달성 ,
삼량진에서 합수되여 양산 ,김해 ,를 거쳐 사하구로 빠져 나가는 수맥의,
길, 이다
지맥 낙동강
태백 - 봉화 - 예천 (안동) - 문경 - 상주 - 구미 -- 성주
고령 - 합천 - 의령 남지 - 삼량진 - 양산 - 김해 사하구
덕유 지곡 - 함양 - 진주 - 남지(합치 )
송하자연 미륵불 - 의령군청 - 지곡면 - 천안
3:00분 1:20분 2:00분
최치원의 풍류도(난랑비서)
*우리에게는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라 한다 !
1) 삼교(유, 불,선)를 포함하여 군(임금군)생을 접하여 변화시키는것은
축건 태자 ,(석가모니) 의 교와 같다
2) 가르침을 베푸는 바탕은 선사에 자세히 실려 있고
3) 유,불,선 ,삼교의 가르침을 종합하여 백성을 교화 한다
4) 집에서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한다는것은 공자의 가르침이며
5) 무위의 일을 처리하고 말없는 가르침을 행함은 노자 의 사상
6) 어떠한 악도 실행하지 않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함은 석가모니 교훈
순행도
천안 - 경북 포항시 대송면 남성리 (남성재) - 포항 감포 문무대왕릉
3:00분 40분
- 거연정 - 용추 폭포 - 합천 농산정( 최치원) - 천안
2:30분 30분 1:00분 2:40분
남씨족보 의령남씨 신라때 남민 의 후손으로 남 진용의 세아들 1)의령.2)영양,3)고성 분파 그후 남은이 고려 개국 공신이 되며 중앙에 진출 전국에 분포 되였다 후손의 남이 장군은 개탄 스럽게 원래는 문인 집안으로 무인이된 남이 장군은 너무 빠른 벼슬자리에 감당하기어려운 ,그래 질투의 대상이 된 사례로 하늘 높은줄 몰랐다 할까 ? 암튼 의령 남씨는 의령 남씨 시조 남군보 지묘: 경남 의령군 의령읍 중동리205 장남 남홍보(南洪甫)는 영양 남씨의 중시조가 되었고, 3남 남광보(南匡甫)는 고성 남씨(固城南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의령 기도터 : 1)솥 바위 용궁서낭 :(곽재우 생가 보호수 )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0 - 1 (망우당 ) =곽재우 장군 문화 공원 2)의령 문월사 흔들이 할메 : 의령남씨 묘소 주변 삼층석탑과 성황리 소나무 : 의령군 정곡면 성황리 693 - 1(34 - 1) 3)김포 수안사 : 대포 서원 양성지, 한백륜 , 김안정 , 의령남씨 종중묘 김포시 양촌읍 황금로 23번길30 - 94(지번 양촌읍대포리208 ) 4) 영양남씨 시조 영의공 남민 을 향사하기위해 건립한 향현사 일원 영양군 입안면 상해리 봉감탑 (오층석탑 ) 5) 의령남씨 관조 남군보의 묘역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 15등길 4 - 1 (좌우로 군청과 향교 주변 ) 6)의령 볼거리 의령 구름다리. 봉황대 , 의령 전통시장 한우산 래비 1) 찰비 펜션 : 의령군 궁휴면 한우상길 108 2) 한우산 생태 주차장 **의령은 물 줄기의 근원을 찿아 오르면 합천 과 덕유산 옆의 지리산 을 휘감는 기운으로 옜가야의 숨결이 서린곳이다 **가야산의 전설** 천신 (정견모주)은 아들 이 둘인데 첯째 머리가 빛이나 반짝인다 하여 노질주의라하고 둘째는 머리가 하늘색이라 뇌질 청예라 했는데 정견모 주 는 가야지역의 여산신으로 해인사 산신각에 모셔져 있기도한데 그는 가야산 큰바위 밑에서매일 백성들을 위한 기도를했다고 기록돠여 있다 **정진숙 본향 ** 벽진면 용암리 고당산 (벽진 용암마을 회관에서 김천 능소 경계에 별미 령 고당산은 596m 높이의 별미령에서 2.2km 거리에 있는 산 별미령 에서 김천쪽으로 보고 우측은 백마봉 좌측으로는별미령 전망대 이곳의 주소는 김천시 감천면 무안리 산 69 벽진의 뜻은 = 하늘에 별 이라 성주에서 한양가던길에 힘겹게 넘든 길손들이 주막에서 막걸리 한잔 하며 맛이 일품이라해서 붙혀진 이름이 별미령이라 했다 연일 정씨 시조묘 시조 정습명은, 고려조 의종의 태자적 스승, 즉 국사(國師)로 태자의 교육과 인종조 폐위 논란에서 태자를 지켰던 충신이다. 현재 경상북도 포항시 대송면 남성리에 정습명(鄭襲明)을 제향하는 남성재와 신도비가 음성터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원래 구 연일현청이 있던 곳이었다고 한다. 옛날 현청에 새로 부임하는 현감마다 원인도 모르게 죽는 일이 있었는데 아무도 현감으로 부임하려는 사람이 없게 되자, 이 소문을 들은 담력이 좋은 한 선비가 자청하여 현감으로 부임하게 되었다고 한다. 부임 첫날, 두려움 중에 밤을 새우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비몽사몽 간에 한 노인이 나타나 호통을 치는 것이었다. “내가 누운 자리에 무엄하게 현청을 지었으니, 빨리 옮겨라. 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이다.” 현감이 엉겁결에 대답하였다. “정확한 묘자리가 어디입니까? 알려주시면 분부대로 하겠습니다.” “내일 새벽 일찍 까치 한 마리 날아와서 맨처음 앉는 자리가 그 자리니라.” 놀라서 깨어보니 꿈이었다. 그리고 느닷없는 까치소리에 놀라 주위를 둘러보니 정말 까치가 날아와 있었다. 훗날 마을의 촌로들에게 까치가 날아와 앉은 자리를 수소문한 결과 현청부지가 정습명의 묘역임을 알게 되었다. 현감은 서둘러 현청을 고읍리로 옮겼다고 전한다. **경북 포항시 대송면 남성리 (남성재) 시조 정습명 의 10대 후손 정몽주는 같은 설화를 가지고 . . . 식당 현황 ; 이동 중식 ; 포항 얼큰이 동태탕(14000원 ) ( 일월동 682번지)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안로 5934 전번 ; 054--276--4957 ; 시간 촉박시 ;감포 할매 맛집, 경주시 감포읍 감포로 120(감포읍 감포리 384-12 전번 ; 054--775 --7288 메뉴 회국수, 아귀탕 ,생선이정식 (8000) 이상 두 사람의 본향은 물줄기가 낙동강으로 합수되는 구미, 대구, 달성 , 삼량진에서 합수되여 양산 ,김해 ,를 거쳐 사하구로 빠져 나가는 수맥의, 길, 이다 지맥 낙동강 태백 - 봉화 - 예천 (안동) - 문경 - 상주 - 구미 -- 성주 고령 - 합천 - 의령 남지 - 삼량진 - 양산 - 김해 사하구 덕유 지곡 - 함양 - 진주 - 남지(합치 ) 송하자연 미륵불 - 의령군청 - 지곡면 - 천안 3:00분 1:20분 2:00분 최치원의 풍류도(난랑비서) *우리에게는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라 한다 ! 1) 삼교(유, 불,선)를 포함하여 군(임금군)생을 접하여 변화시키는것은 축건 태자 ,(석가모니) 의 교와 같다 2) 가르침을 베푸는 바탕은 선사에 자세히 실려 있고 3) 유,불,선 ,삼교의 가르침을 종합하여 백성을 교화 한다 4) 집에서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한다는것은 공자의 가르침이며 5) 무위의 일을 처리하고 말없는 가르침을 행함은 노자 의 사상 6) 어떠한 악도 실행하지 않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함은 석가모니 교훈 순행도 천안 - 경북 포항시 대송면 남성리 (남성재) - 포항 감포 문무대왕릉 3:00분 40분 - 거연정 - 용추 폭포 - 합천 농산정( 최치원) - 천안 2:30분 30분 1:00분 2:40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