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제약산업의 성장2017-12-21 ㅣ조회수 88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제약산업의 성장
베트남 가을 정기국회 총회에서 정부는 2017년 경제실적 및 2018년 경제목표를 제출했다. 이에 따르면 2017년의 의료보험 가입비율 목표는 82.5%이고, 83%의 실적으로 초과달성을 예상했다. 2018년의 가입목표는 무려 85.2%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베트남에서 건강보험료는 고용주가 3%를 부담하고 근로자가 1.5%를 부담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건강보험료의 실효성을 높여서 가입을 독려하기 위해 전체의 50%에 달하는 1800개 의료시설에서 2016년부터 병원 의료비를 2~7배 인상했다.
베트남은 소득증가로 복리후생에 대한 기대가 상승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의식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의 상승 및 제약의 수요 증가는 제약산업의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국제 비즈니스 모니터(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의 베트남 제약산업 및 건강 (Vietnam Pharmaceuticals and Healthcare)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의 제약 업계의 매출은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13% 증가한 47억 달러를 기록했다.
향후 매출은 5년간 두 자릿수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의 소매 거래금액도 15억 달러를 넘어섰다. FPT증권의 최신 분석에 따르면 제약분야의 2년간 매출은 40% 상승했으며 순이익률은 10%로 다른 아세안(ASEAN) 대기업 평균과 유사한 수준이다.
베트남 제약의 주요 유통채널은 병원, 약국, 사설 클리닉이다. 이 중에서 약국의 유통은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2011년에 설립된 파마시티(Pharmacity)는 대표적인 드러그스토어며 61개의 체인을 보유한 프랜차이즈업체이다.
파마시티(Pharmacity)는 2011년 미국인 약사 크리스 블랭크(Chris Blank)에 의해 세워진 회사로, 처음엔 소규모로 온라인 스토어(nhathuoconline.vn)를 운영했지만, 점차 의약품 품질에 대한 관심과 고객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약국 체인점 형태의 드러그스토어를 오픈했다.
최근에는 유통분야의 대형업체 4개가 제약의 소매분야로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업체들의 진출 방안은 소형업체를 인수·합병해 대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유통 대형업체인 모바일 월드 (Mobile World) 그룹은 푹안캉(Phuc An Khang) 및 파노파마시(Phano Pharmacy)와 같은 브랜드와 계약함으로써 2018년 6월에 제약 소매시장에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까지 점포를 3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에프피티(FPT Retail)는 롱차우파마시(Long Chau Pharmacy)에 대한 파일럿 투자를 수행했으며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영업을 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월드(Digiworld)는 제약 소매시장 진출을 위해 비나메딕(Vinamedic)과 협력을 시작했다
달랏시에서 전자제품 유통을 선도하는 응웬킴(Nguyen Kim) 그룹은 라도파 상표로 유명한 제약·의약·의료장비 업체인 럼동파마시(Lam Dong Pharmacy)의 현재 보유지분 24%를 51.14%로 늘리기로 했다. 지분의 추가확보를 위해 3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2016년 제약회사들은 역대 최대의 이윤을 거뒀다. 특히, 의사의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약품의 시장이 18% 확장되면서 거의 모든 제약회사의 이윤이 확대됐다.
베트남의 최대 상장 제약회사인 하우지앙파마시 (HauGiang Pharmaceutical JSC / DHG)는 2016년에 3400만 달러의 세전 이윤을 올렸으며 매출이 1억 718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 상승세를 보였다. 일본기업들이 투자로 지분을 확대했다.
베트남에서 세 번째로 규모가 큰 제약회사인 도메스코(Domesco/DMC)는 5860만 달러의 매출과 766만 달러의 순이익을 거두어 실적이 18.04% 상승했다. 미국의 애봇(Abbott Lobaoratories)이 이미 자회사로 편입한 바 있다.
베트남의 Circular 47/2010/TT-BYT에 의하면, 외국인 투자법인은 의약품 제조를 위한 원료의 수입은 허용하지만, 의약품 제조와 무관한 수입(즉, 의약품 자체의 수입)은 현실적으로 외국인 투자기업이 의약품 자체를 수입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의약품의 유통도 사실상 외국인투자법인에게는 허용하고 있지 않다.
베트남은 투자의 어려움으로 인해 의료서비스 수준이 낮지만, 중산층의 증가로 제약분야와 건강기능식품의 수요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외국기업의 제약유통이 사실상 불가능하기에, 베트남 제약회사와의 기술제휴로 우회하여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한국무역신문 제공]
정부·업계 "美 철강수입 안보영향 조사통해 수입규제 발동 우려"2017-12-21 ㅣ조회수 60
정부·업계 "美 철강수입 안보영향 조사통해 수입규제 발동 우려"
철강 수입규제 민관 합동 워크숍 개최
미국이 철강 수입의 안보영향 조사를 통해 새로운 형식의 수입규제를 발동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최근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각국의 수입규제 강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철강 수입규제 민관 합동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휴스틸, 넥스틸, 한국철강협회 등 업계와 고려대, 명지대, POSRI, 법무법인 김&장, 법무법인 화우, 법무법인 세종, 회계법인 The ITC, 한국무역협회 등 학계·전문가가 참여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철강 글로벌 공급과잉과 미국 등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 새로운 반덤핑·상계관세 조사 기법, 미국 철강 수입의 안보영향 조사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철강 분야의 국제 공급과잉은 약 7억4000만 톤으로 당분간 철강 수요의 정체가 예상됨에 따라 구조적인 공급과잉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각국은 보호무역주의 장벽을 높이고 있으며 전 세계 철강 제품에 대한 수입규제는 2016년 기준 345건에 달한다.
워크숍에서는 최근 미국이 진행 중인 철강 수입의 안보영향 조사를 통해 새로운 형식의 수입규제를 발동할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도 제기됐다.
미국 상무부가 내년 초까지 철강 수입이 미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백악관에 제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조사 결과에 따라 긴급관세, 수량제한(쿼터 또는 관세할당), 수출자율규제, 반덤핑·상계관세 직권조사 등이 실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참석자들은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조사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지만 미국의 통상 정책 동향 및 철강 업계 상황 등을 감안할 때 시나리오별로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부는 그간의 철강 수입 규제 대응과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박기영 산업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미국의 232조 조사와 관련 "한국이 미국의 대규모 무기 수입국이고 미국의 대 한국 철강 수입이 감소 중이라는 점을 강조했다"며 "우리 철강사들이 대미 투자와 현지 고용을 통해 미국 경제에도 이바지하고 있다는 점도 설명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국제규범을 위반하는 외국의 수입규제 조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도 적극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이스라엘 : 비즈니스 알쓸신잡2017-12-20 ㅣ조회수 77
- 대륙
- 전체
- | 국가
- 전체
- 업종
- 전체
- | 품목
- 전체
- 태그
- 이스라엘
- 출처
-
이스라엘 : 비즈니스 알쓸신잡
‘코셔’를 아시나요
#. 무역인 김무역씨는 미국에서 열리는 큰 전시회에서 이스라엘 바이어를 만났다. 김무역씨가 유대인들의 ‘코셔(Kosher)’에 대해 잘 몰랐기 때문에, 식사는 바이어가 김무역씨를 초대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김무역씨는 뒤늦게 코셔 인증은 물론 히브리어 인사말을 익혔다. “샬롬”이라고 인사하자 바이어가 웃으며 인사를 받아주었고, 비즈니스 이야기도 매끄럽게 진행됐다. 문제는 웨이터가 서빙을 시작하고서부터였다. 바이어는 웨이터에게 팁을 5달러나 주더니, 식사를 마치고 나서도 자신이 비용을 계산하겠다고 나섰다. 이스라엘인들은 초대한 사람이 식사 비용을 부담한다는 것이었다. 김무역씨는 부담스러운 마음에 어쩔 줄을 몰라 하며, 코셔 인증을 미리 알아두지 않았던 것을 다시금 후회했다.
이스라엘에서는 식사를 초대한 쪽에서 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대를 받았을 때에는 와인이나 초콜릿 등의 작은 선물을 들고 가면 된다. 유대인 바이어를 초대할 때는 바이어가 코셔를 지키는지 사전에 알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필요하다면 코셔 식당을 예약해야 한다.
코셔는 이슬람의 ‘할랄’과 같이 유대교인들이 먹어서는 안 되는 것들을 의미한다. 돼지고기나 비늘 없는 어류의 섭취를 금지하고, 육류와 우유를 동시에 섭취할 수 없는 등의 조항이 있다. 바이어가 독실한 종교인의 경우 코셔를 철저하게 지키기 때문에 비즈니스 상담 시 식사를 겸하는 경우 바이어가 코셔 식당에서 진행해야 불편한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이스라엘 식당은 대다수가 코셔 식당으로 간판에 KOSHER라고 명시돼 있어, 식당 예약 시 참고해야 한다.
또한, 이스라엘에는 한국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팁 문화가 발달해 있는데, 웨이터에게 팁을 너무 적게 줄 경우 혹은 팁을 주지 않을 경우 초대를 받은 사람이 무안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망된다. 이스라엘의 일반적인 팁 수준은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15%를 지불한다.
◇이스라엘, 역직구 시장 전망 밝아 = 이스라엘은 야채, 과일 등의 농산물 가격은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대부분의 공산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물가가 전체적으로 매우 비싼 편이다. KOTRA 텔아비브 무역관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최근 들어 해외직구에 부과되는 세금을 낮추고 수입규제와 통관 절차를 완화해나가고 있다.
이스라엘 수입장벽 조사를 담당한 그린베르크 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부는 해외직구 시 개인 수입 관세면세 한도를 확대하고 통관 절차를 완화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무부에서 현재 해당 안건을 검토 중이며, 이는 2018년 1월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이스라엘의 기존 해외직구 관세면제 한도는 유럽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현재 이스라엘의 해외직구 시 수입금액이 75달러 이하일 경우 부가세(17%)가 면세되며, 500달러 이하일 경우 관세가 면제된다. 그러나 수입금액이 500달러 이상일 경우에는 부가세 및 관세가 부과된다. 관세면제 한도가 800달러며, 오스트리아는 1000유로인 점을 고려하면 면세되는 금액의 기준이 훨씬 엄격하다.
그린베르 위원회는 해외직구 관세면제 한도 확대가 현지 소비자들의 수입품 소비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장 경쟁 강화가 주거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새 조치에 따른 면세 한도 확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의류 및 신발, 휴대폰 및 아이패드, 텔레비전, 화장품, 유아용품, 어린이용품, 안경, 선글라스 등의 경우, 수입 금액이 1000달러 이하거나 같은 품목에서 최대 30개를 주문(총 금액이 1000달러 이하)하면 무관세 수입이 허용된다. 같은 품목 5개 수입일 경우 총액수가 1000달러 이상일 경우에도 관세가 면제된다.
아울러 현재는 식료품(보조제품), 화장품 등 상업 목적의 수입에만 적용되는 허가 제도가 해외직구에도 요구되는 것으로 보이나, 향후 해외직구에 한해 해당 수입허가 및 인증을 폐지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이스라엘 온라인 구매는 최근 4년간 5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6년 기준 이스라엘 온라인 구매 규모가 70억 신 셰켈(18억 달러) 수준이며 그중 41%가 해외직구였다. 품목별로는 의류 63%, 화장품 51%, 전자제품 43%, 가구류 33%가 해외직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E-bay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E-bay 온라인 유통(판매 및 구입)으로 15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스라엘 소비자는 연평균 36번의 온라인 구매를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해외 택배 건수는 5140만 개로 2013년 대비 96% 증가했다.
KOTRA 텔아비브 무역관은 “최근 이스라엘의 온라인 구매가 확대하는 추세로, 국내 생활용품의 이스라엘 온라인 유통 시장 진출을 시도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라며 “특히 최근 이스라엘에서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세를 보이는 추세로 이스라엘 온라인 유통 시장진출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스라엘에서 한국산 제품의 이미지는 좋은 편이다. 우리나라 브랜드인 현대·기아차가 이스라엘 자동차 시장에서 각각 1·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지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에 대해 값이 싸면서 품질이 좋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양국 정부가 한-이스라엘 FTA 협정을 맺기 위해 준비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의 이스라엘 시장 진출 확대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한국무역신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