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問 : 어느 경계가 지났을 때 조실스님에게 물으셨습니까?
答 : 막힌 것이 있었을 때 묻고 화두가 타파되어야 거량이 되는 것이지. 깨닫고 난 다음에 물으면
서로 여러 가지 문답이 상통되지.
問 : 그럼 며칠에 한 번씩 묻습니까?
答 : 화두가 풀려야 묻게 되지.
問 : 향곡스님께 인가를 받으실 때 전 대중을 모아 놓고 하 셨습니까? 개인적으로 인가를 받으셨습
니까?
答 : 단독으로 인가를 받으면서 전법게를 받았다.
問 : 밀전(密傳)이라고 하지만 제3자가 보았을 때 공신력이 덜한 것이 아닙니까?
答 : 단독으로 받았지만 선사께서 대중에게 알려서 대중이 다 알았다.
問 : 여태까지 마음에 드는 수좌가 없다고 하셨는데 인정받 은 사람이 없는 것인 가요?
答 : 없지. 서로 문답이 상통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어.
問 : 수좌스님들이 평생 목숨을 걸어도 견성하지 못하는 가 장 큰 이유는?
答 : 첫째, 선지식을 믿지 않는 데에 있고 둘째, 바른 지도 를 받지 못하는 데에 있지. 바른 지도를
받고 모든 반 연이 쉬어서 오로지 <견성을 위해서 전 생애를 바쳐야 겠다>는 확고한 신심이 서야
지 그렇지 않으면 절대로 안 되는 것이지.
問 : 사람을 다룬다는 것은 말을 시켜보고 다룬다는 것입니 까? 모습을 보고 다루는 것입니까?
答 : 말을 주고받고 하면 알게 되지.
問 : 정진을 하는 가장 큰 원인은 임종할 때 매(昧)하지 않으 려고 하는 것인데 평상시에도 화두가
안 되는데 숨 떨 어질 때 되겠습니까?
答 : 정신을 못 차리는데 주력(呪力)이라고 해서 나을 것이 없지. 그러나 화두 한 생각이 바로 이어
지면 모든 산란 심이 없어지고, 어느 것보다도 나은 것이지.
問 : 공안 화두법은 자력(自力)으로 보아야 합니까? 타력(他 力)으로 보아야 합니까?
答 : 절대 자력이지.
問 : 타력적인 기도나 정근을 하는 것을 어떻게 보십니까?
答 : 그것은 할 수 없이 소인배들이 하는 것이지.
問 : <명당이다, 보궁이다> 하는 터에 구애받지 않습니까?
答 : 선지식을 만나야 도를 성취하는 것이지 장소는 상관이 없다.
問 : 복(福)의 정의(개념)?
答 : 복은 마음이 깨끗하고 삿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마음 이 깨끗하고 삿되지 않으면 일거일동이 복이 된다.
問 : 덕(德)은?
答 : 덕도 복과 마찬가지이지. 남을 헐뜯지 않고 항시 본성의 깨끗한 성품을 따라서 평등하고 인아
상(人我相), 아만이 없는 마음을 쓸 것 같으면 덕이 되지.
問 : 지혜는?
答 : 마음의 광명이 열려서 본바탕을 보게 되는 것이야.
問 : 중생은 어리석고 무명업식에 있다고 하지만 머리를 써 서 우주를 관찰하고 과학을 창조하는데
이것과 지혜는 틀린 것입니까?
答 : 지혜와 <견문 알음알이>는 틀리지. 지혜는 본바탕을 바로 보아서 체성의 광명을 찾는 것이
고, 세상의 지식 은〈알음알이〉분상으로 따지고 셈하는 것으로 과학이 이루어진 것이지.
問 : 묘관음사에서 정진을 하실 적에 해운정사를 지으려고 생각하지 않으셨는지요?
答 : 공부할 때에는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면 안 되지.
問 : 인가를 받고 난 후에 회상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을 하 신 후에 산중불교는 생명력이 없다고
여기시고 장소를 물색하시던 중에 장수산의 맥이 여기 뻗쳐 있는 것을 보시고 해운정사를 지으셨
다고 하셨는데, 지금 짓고 계 시는 108평 큰 법당 불사도 그렇게 즉흥적으로 하신 것 입니까?
答 : 3년 전부터 만반준비를 했지.
問 : 중생들이 생각하는 알음알이, 계산, 계획과 조실 스님이 절을 지으시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
까?
答 : 물론 차이가 있지. 혜안으로 미래사를 직견하고 바로 하 는 것이지만 장소와 시주자와 여러 가
지 조건이 되어야지.......
問 : 여기 해운정사가 장수산의 정맥으로 조실스님의 인연 도 있는 것이지만 불·보살님의 가피도
입어서 절을 지 으신 것은 아닌가요?
答 : 가피는 생각 않고 그냥 세속 가운데에서 많은 사람들에 게 법을 펴기 위하여 여기에 자리를 잡
은 것이지. 이렇 게 좋은 조건의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은 속세에 많은 사 람과 인연이 있기 때문이
지. 사람들이 많이 오는 것보 다 도 부처님 법을 바르게 지도하고 바른 안목을 가진 자가 나와야 하
는 것이지.
問 :〈업장소멸〉이 된 사람과 〈업장소멸〉이 안 된 사람 과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答 : 업장은 과거의 여러 가지 습기인데, 중생은 그 습기가 없어지질 않지. 견성을 해야 없어지는
것이지.
問 : 견성을 해야 업장이 소멸되는 것이라면 조실스님은 업 장이 소멸된 것이네요. 업장이 소멸되
지 않은 사람도 각기 업의 가볍고 무거운 차별이 있는 것입니까?
答 : 덜하고 더한 경중이 있지.
問 : 업의 최초의 시작은......?
答 : 본심본성을 한 생각 등지므로 인해서 한 생각을 좇아서 온갖 생각이 점차 일어난 것이지. 모두
자성삼매(自性 三昧)를 수용하면 생각이 붙지를 못하는데, 한 생각 일 어남으로 인해서 퇴보하게
되어 천차만별의 분별이 일 어나 는 것이지.
問 : 깨달으면 과거·현재·미래의〈삼세〉가 하나로 통일되 어서 일념으로 간다고 하는데, 전생·현
생·미래를 안 다고 하는 것은 외도입니까?
答 : 그것은 본심으로 돌아가면 알게 되지.
問 : 깨달으면 확연하게 다 알게 됩니까?
答 : 그렇지.
問 : 확연하고 명백하게 아는 것은 확철대오라고 하는 것이 고, 희미하게 아는 것을 그냥 안다고 하
는 것입니까?
答 : 구경(究境)에 이르러야 바로 아는 것이고, 그렇지 않고 안다는 것은 아는 것이 아니지.
問 : 화두를 하면 마음이 편안할 때도 있지만, 괴로울 때도 있는데 이것은 화두를 바르게 참구하지
않기 때문입니 까?
答 : 그렇지. 분별이 꼬리를 물고 따라 다니기 때문에 그런 것이지.
問 : 조실스님이 보실 때 한국 불교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答 : 모두를 한 군데에 모아놓고 참선을 지도해서 인·아상 을 쉬게 하여 마음광명을 찾음으로 인해
서 종단이 화합 하고 온 나라가 불국토가 될 것이다. 껍데기 불교는 소 용이 없는 것이지.
問 : 체중현(體中玄)·구중현(句中玄)·현중현(玄中玄)의 삼현 (三玄)이 임제의 가풍이 아니라고 스님
은 그러시는데, 임 제록에는 삼현이 나오는데요?
答 : 그것은 고탑주라는 후손이 자기의 사견으로서 성립시킨 것이지. 임제선사의 삼현 현지(玄旨)
와는 거리가 멀다.
問 : 생사를 넷으로 나누어서 지무생사(知無生死)·체무생사 (體無生死)·계무생사(契無生死)·용무생
사(用無生死)라 하고 이것을 교가의 이무애(理無碍)·사무애(事無碍)· 이사무애(理事無碍)·사사무애
(事事無碍)와 비교하면 서 로 맞는데, 이러한 것들을 후학이 알아야 하는 것인지, 깨치면 저절로 알
게 되는 것인지.....?
答 : 깨치면 자연히 알게 되는 것인데, 공부하는 과정에서 일 부러 알려고 할 필요는 없지. 임제와
고인의 살림살이 는 살활종탈(殺活從脫), 기용제시(機用提示) ― 죽이고, 살리고, 주고, 뺏고, 기·용
의 자재에 있는 것이지. 그러 니까 바보가 되어서 화두와 씨름을 해서〈일념삼매〉가 되어야 하는
것이야.
問 : 장좌불와(長坐不臥)의 사상을 어떻게 보십니까?
答 : 나는 권하지를 않아. 왜냐하면 〈장좌불와〉를 해도 혼 침이나 몸에 끄달리지 않는 상태이면
좋지만 억지로 하 려면 어려운 것이지. 화두가 일념으로 지속되면〈장좌 불와〉가 저절로 되고 혼
침도 없어지고 괴로움도 없어 지게 되는데 흉내내서 되는 것이 아니거든. 괜히 시간 낭비이고 몸만
망치게 되어서 실다운 소득이 없게 되 지. 몸은 기계와 같아서 기계에 기름을 치듯이 몇 시간 을 쉬
고 맑은 정신에서 혼침과 망상에 끄달리지 않고 정진을 해야 하 는 것이지.
問 : 오후 불식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答 : 건강을 유지할 정도로 적당히 먹는 것이 좋지.
問 : 화두만 바로 하면 장좌불와, 묵언, 일종식(一種食) 등은 저절로 되니까 조작으로 할 필요가 없
다고 하시는 것이 지요?
答 : 그렇지. 화두만 바로 하면 되는 것이지.
問 :향상구(向上句)·일구(一句)·최초구(最初句)·말후구(末 後句)·상신실명(喪身失命)은 청정법신비
로자나불의 체 (體)의 자리로 밥을 먹으나 잠을 자거나 이대로가 일구 (一句)이고 여기서 털끝만큼
이라도 표현하고 하면 동념 즉괴(動念卽乖) 즉, 움직이면 어긋난 것이 되어서 따로 법문을 하는 것
도 죽은 것인데, 조실 스님은 향상구와 일구 를 다르게 보십니까? 다르다고 전에 하셨는데...?
答 :『향상구』를 알면〈일구〉를 알고,〈일구〉를 알면『향 상구』를 아는 것이지. 향상구와 향
하구, 최초구와 말후 구, 일구와 이구가 번복되면 안되는 것으로, 같은 몸이 라도 머리·손·발이 있
는 것처럼 각 부분이 있는 것인 데, 미(迷)한 자는 이것을 가리지 못하지.
問 : 초당파 공안 같은 것은 일구소식(一句消息)이 아닙니까?
答 : 모든 공안은 다 다른 것이지. 이 방 안에 책상이 있고 또 꽃도 있고 책, 단주, 안경이 있지만 각
역할이 틀리 듯이 공안도 다른 것이지.『향상구』를 모르면 용도를 나누지 못하는 것이고 이치적
으로 서로 맞아야 하는 것 이 지.〈돈오돈수〉가 된 사람이면 이렇게 가릴 줄 알고 시비가 없지. 모
르는 사람은『할』이나『방』밖에는 못 하는 것이야.
問 : 평상심(平常心)이란 무엇입니까?
答 : 먹고 자고 하는 일상생활 그대로가 평상심이지.
問 : 배고프면 먹고 졸리면 자고 목마르면 물 마시는 것이 평상심입니까?
答 : 그렇지.
問 : 도인의 평상심과 속인들의 평상심은 어떻게 다른 가요?
答 :도인과 범부는 다르지. 중생은 모든 생활에 일일이 집착 하는 반면에, 도인은 모든 집착에서 벗
어나지. 평상심이 라는 것은 도인의 깨달은 경계를 생활화하는 것이지.
問 : <생사가 둘이 아니라는 말>과 <생사가 없다는 것> 은 다릅니까?
答 : 생사가 둘이 아니라는 것은 생(生)하는 이치나 사(死)하 는 이치가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시
진리 자체에는 생도 사도 없다.
問 : 깨닫고 나면 작용하는 망상이나 생각이 없습니까?
答 : 그대로 진법(眞法)으로 돌아가는 거지.
問 : 그러니까 망상 그대로가 보리(菩提)가 된다는 것입니까?
答 : 망상이란 자체가 없는 것이지.
問 : 욕심(欲心)과 탐심(貪心)의 차이는 어떠한지요?
答 : 오십보백보지.
問 : 스님들께서는 무심으로 소유욕 없이 살아가라고 하시는 데 중생들이 소유욕 없이 무심으로 살
수 있습니까?
答 : 그럴 수 있지.『참나』를 알면 온 법계를 알고 온 중생 과 한 몸이 되어 절대 평등이 되게 되
지. 그렇기 때문 에 모든 사람들이 견성을 하면 지상이 불국토가 되고, 모든 백성이 부모 형제로 한
몸이 되어서 아귀다툼이 없고 항상 평온하고 안락하게 되지.
問 : 바른 선지식을 바르게 믿어야 한다는데 중생은 눈이 없 는데 어떻게 선지식을 바르게 구분할
수 있습니까?
答 : 중생은 안목이 없기 때문에 바른 선지식을 가리기가 어 렵지.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스승
에게 탁마(琢磨)를 받아야 한다>고 하셨거든. 혼자서 깨달았다고 하는 것은 바른 것이 아니고 스
승에게서 인가를 받은 분을 따르면 백 생애를 닦아야 할 것을 한 생에 바르게 닦아 깨치게 되는 것
이지. 그렇지 않고 중구난방(衆口難防)으 로 <이 사람도 선지식이고, 저 사람도 선지식>이라고
쫓아다니다 보면 사견에 떨어져서 정진에 진척이 없고 업에다가 업을 더 보태게 되지. 그래서 대도
(大道)와는 거리가 멀어져서 깨달을 수가 없게 되는 것이야. 결국 본인이 정진을 해서 닦아야 하는
것이지.
問 : 눈 없는 사람은 선지식을 가리지 못하겠네요?
答 : 그렇지. 안목이 없이는 상대를 바로 볼 수 없지.
問 :《금강경》에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을 버리라> 고 하는데 중생이 아상·인상·중생상·수자
상을 버리 고 생활해 나갈 수 있겠습니까?
答 : 중생은 먹고살아야 하니까……. 참으로 올바르고 건 전한 생활은 <내가 없는 생활>이 되어
야 하는 것이 고, 그래야 복된 삶을 누리게 되는 것이지.
問 : 아상이란 무엇입니까?
答 : <내가 제일이다, 내 법이 제일이다, 내가 잘 났다, 내 가 잘 한다, 내가 많이 안다, 내가 많이
가졌다> 하는 것이 다 아상에 속하는 것이다. 진정한 부처님법에는 대오(大悟) 하면 이런 것이 없
게 되지.
問 : 재가자(在家者)는 어떻게 해야 참답게 사는 것입니까?
答 : 부처님의 가르침을 의지해서 자기를 개발하는 수행을 하루하루 쌓아 가는 가운데 직분에 따라
성실하게 사는 길이지.
問 :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재가자가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 으로 지내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答 : 참선을 하는 사람이 혼자서 사는 것은 좋은 것이지. 『참나』를 알기 위해서 그 길을 가는 것
이고. 아주 값 진 생활이지.
問 : 출가자와 재가자의 수행에 있어서 그 차이점은 무엇입 니까?
答 : 출가자는 혼자의 몸으로 홀가분하고 재가자는 처자가 있어서 생활을 하니까 번거롭지. 그러나
최상승법에서 는 바른 신심으로 바른 법을 구하는 철두철미한 생각 을 갖고 바른 선지식을 만나서
바른 수행법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승속(僧俗)에 관계가 없지.
問 : 총림(叢林)으로 출가를 하는 것이 좋습니까?
答 : 안목이 근본인데 총림의 방장이라도 모두 안목이 투철 하다고 볼 수 없는 것이 한국 불교의 현
실이거든. 절이 크다고 해서 일등 수행인이 사는 곳은 아니야.
問 : 출가하는 사람은 어떠한 곳으로 출가를 하여야 합니까?
答 :『참나』를 발견하는 데는 절대적으로 선지식(善知識) 이 근본이다. 선지식은 부처님의 대행인
(代行人)이야. 출가 는 견성대오(見性大悟)를 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거든.
問 : 꿈과 잠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答 : 잠으로 인해서 꿈을 꾸는 것이지.
問 : 그럼, 꿈과 잠이 똑같은 것입니까?
答 : 잠을 자지 않으면 꿈이 없는 법이거든. 망상이 있는 중 생이 망상이 그대로 꿈이 되는 것이지.
問 : 음욕심〔性欲〕은 어떻게 없앨 수 있습니까?
答 :전생의 습기로 축생이나 사람이나 다 익힌 것이지. 다겁 생에 익힌 것으로 아주 예민한데 이것
을 없애려면 정진 해서〈일념삼매〉가 되어야 하지. 좋고 나쁜 것이 차 단이 되어서 깨달으면 모든
습기가 일시에 다 제거가 되지.
問 :《선가귀감 禪家龜鑑》에 서산대사께서 말씀하시기를, 이즉돈오 사비돈제(理卽頓悟 事非頓
除), <이치로는 깨 달았어도 습기는 제하지 못했다> 하셨는데요.
答 : 그것은 모순이지. 육조대사도 금을 캐어 녹여서 잡금을 제하면 순금이 된다고 하셨지. 물에 있
으나 산에 있으 나 순금은 변하지 않는 것과 같이 견성을 하면 습기와 는 상관이 없는 것이지. 번뇌
가 곧 보리, 완전히 진리로 돌아갔는데 번뇌에 놀아나게 되겠는가.
問 : 낮에는 화두가 잘 되는데 꿈속에 화두가 안 되는 이유 는?
答 : 아주 간절하게〈참의심〉이 순일되어야 꿈속에서도 화 두가 이어지게 되지.
問 : 조실스님은 화두가 언제 어디서나 꿈속에서도 이어졌 나요?
答 : 나는 결제, 해제에 관계없이 정진을 했었지. 아주 간절 한 일념이 지속되다가 깨달았지.
問 : 잠깐 사이에 깨치셨습니까?
答 : 잠깐 사이가 아니고 아주 간절하게 일념으로 화두의심 이 지속되다가 깨쳤지.
問 : 시간적으로 얼마나 됩니까?
答 : 모르겠다.
問 : 며칠간은 일념이 지속된 것이지요?
答 : 전 생애를 화두에 걸고 생활을 했었지.
問 : 태고 보우국사는 오매일여가 90일간〔가을∼이듬해봄〕 이어졌다고 하는데요?
答 :〈선정삼매〉에 들면 눈 깜짝할 사이에 3년이고 세월이 가는 것이지. 석가모니 부처님도 삼매
에 드셔서 새가 둥지를 트는 것도 모르셨다고 하셨거든. 누구든지 삼매 에 들게 되면 길고 짧은 것
을 논하게 되지는 않지.
問 : 외도(外道)들은 <기(氣)가 있어야 한다. 기를 잘 돌려야 한다>고 하는데 기(氣)는 무엇입니
까?
答 :견성법은 기(氣)를 논하지 않고 오직 바른 안목을 논하지. 이 몸은 백년 이내에 없어지거든. 수
행인은 그런 것 에 집착하지 않아야지.
問 : 죽는다는 것은 슬픈 것입니까?
答 : 가고 오는 것을 모르고,『참나』를 모르니까 적막하고 막막해서 슬프다고 하는 것이지.
問 : 죽은 후에도 자기가 닦은 것은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지 요?
答 : 그렇지. 지혜·복덕·업, 이 세 가지는 가지고 가지.
問 : 참다운 근기는 믿음을 말하는 것입니까?
答 : 부처님의 대승법·최상승법을 의심하지 않고 그대로 받 아 들이는 대기(大機)를 말하는 것이지.
問 : 수좌스님들이 몇 년간 정진을 하다가 강원으로 들어가 는 것은 신심이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합
니까?
答 : 신심이 빈약하고 참다운 발심을 못한 고로 그러한 현 상이 일어난다. 출발 자체도 진정한 신심
이 아니고 남 이 하니까 나도 해보자 하는 마음으로 하다가 정진이 힘들고 진취도 없으니까 자포자
기하고 다른 길로 가는 것이지.
問 : 그러니까 한번 수좌가 되면 끝까지 수좌의 길로 가야 하는 것이지요?
答 : 그렇지. 발심한 사람은 구경에 이를 때까지 불퇴전의 신 심으로 정진을 해야 하지.
問 : 화두가 일념이 되기 전에 다른 길로 가는 것은 신심이 부족해서 그런 것인 가요?
答 : 그렇지. 정진삼매의 진가(眞價)를 모르니까.
問 : 초보자에게 권하시는 책은? 선가귀감(禪家龜鑑)이나 육 조단경(六祖壇經)?
答 :《육조단경》이 좋지. 심요(心要)의 비결이《육조단경》 에 있지.
問 :《서장 書狀》은 어떻습니까?
答 :《서장》은 화두를 들고 공부하라는 거지.
問 : 조실스님께서도 전에《육조단경》을 많이 보셨습니까?
答 :《육조단경》을 수행의 길잡이로 삼았다.
問 : 결제 기간 중에 원주·다각 등 소임을 맡는 것은 어떻 게 생각하십니까?
答 : 禪은 동정(動靜)가운데서 익히는 것이지. 일거일동, 일상생활 가운데서 화두와 씨름을 하면서
익 혀야 하는 것이지.
問 : 선지식이란 말과 스승이란 말과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答 : 스승은 은사·법사 스승 등 많고, 선지식은 부처님의 진 리를 깨달아 안목을 갖춘 분을 말하지.
問 : 현 사회에 불신풍조가 만연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答 : 탐(貪)·진(瞋)·치(癡)와 아만·교만·허세 때문이지.
問 : 도인은 어떠한 분입니까?
答 : 진리대로 생활하고 모든 사람을 평화로운 곳에 인도하 는 역할을 하지.
問 : 화두를 타는 방법이 있습니까?
答 : 삼배(三拜)하고 생각을 비우고 선지식이 일러주시는 말 씀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거지.
問 :『無자 화두』를 참구할 때 <조주는 어째서 無라고 했 는가?>하고 그 뜻을 참구하는 것이 바
르게 하는 것입 니까?
答 : 그렇지. <부처님께서는 모든 중생에게 다 불성이 있다 고 하셨는데 조주스님은 왜 개에게 불
성이 없다고 했는 가?>하고 오매불망 조주스님의 뜻을 참구하는 것이지.
問 :『이 뭣고』참구할 때 <이∼>만 바로 의심을 하면 <뭣고>는 필요 없다고 하는데요?
答 : 화두를 드는 데에는 화두 전체를 분명히 챙기는 것에 바로 화두를 드는 묘미가 있는 법이지.
육조스님이 시 삼마(是甚 ) 화두를 들 때 <모든 사람에게 한 물건이 있으면서도 이것을 모르니 이
것은 무엇인고?> 했으니 화두 전체가 분명한 가운데 의심이 철저해야 된다.
問 : 경계가 날 때마다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까?
答 : 말을 들어보고 바르게 지도를 하니까 자주 물을수록 좋 지.
問 : 묻는 허물보다 묻지 않는 허물이 더 큽니까?
答 : 서울을 가야 하는데 잘 모르고 엉뚱한 곳으로 가면 안 되지. 선지식의 지도를 받아서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곧바로 서울로 가야 하는 것이지.
問 : 어떻게 해야 업장 소멸이 됩니까?
答 : 참회하는 것도 조그마한 업장 소멸은 되는 것이지만, 견성을 해야 모든 업장이 소멸되는 것
이지.
問 : 업(業)은 어떻게 이루어집니까?
答 : 생활 가운데에 가지가지 습기(習氣)로 이루어진다.
問 : 생각이 업이라고 하는데요?
答 : 진법(眞法)을 아는 사람은 모든 것이 법이지만 중생은 진법을 모르니까 생각 생각이 다 습이
되고 업이 되는 것이지.
問 :『오매일여(寤寐一如)』가 되면 배고프고 오줌 누고 하 는 생각들이 나지 않습니까?
答 : 그 가운데에서도 일념이 지속되는 것이지.
問 : 망상은 망상대로 약간은 남아 있는 것이지요?
答 : 화두가 일념이 되면 망상이 차단이 되지.
問 : 화두법 이전에는 무슨 법이 있었습니까?
答 : 염불·독경·관법(觀法)이 있었지. 육조스님 이후로 무 수한 도인이 난 것은 최상승법으로 인하
여 모든 습기가 제거되고 몰록 진리의 문이 열려진 것이지. 〈간화선〉만 바로 하면 누구나 견성도
인이 되거든. 시 간을 허비하지 않고 바로 진리에 접할 수 있는 것이 〈간화선〉화두이지.
問 : 정진 중에 과거 망상이 많이 떠오르고 미래 망상은 적 은데 왜 그렇습니까?
答 : 과거의 습기로 인해서 망상이 떠오르는 것이지.
問 : 많이 보고 듣는 것이 업식만 더 보태는 것입니까?
答 : 그렇지.
問 : 그럼, 산중에서 안 보고 안 듣고 정진을 해야 하는 것이 옳은 것 아닙니까?
答 : 그렇지도 않지. 선지식이 없는 곳에서는 힘만 허비하는 것이지. 지혜로운 자는 선각자(先覺者)
를 친견하여 바른 수행법 묻기를 좋아하지.
問 : 어떤 스님은 수좌가 300∼400명이 되어도 그 분이 뜻하 는 바대로 바르게 실참실구하는 사람
은 한두 명밖에 없다고 하시는데, 조실스님도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答 : 이 일을 밝히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지. 그러나 십분 신심과 용맹심을 가져서 선지식 스님의
지도를 받아 수 행을 잘 하면 십중팔구는 대도(大道)에 들어갈 수 있지.
問 : 선지식 스님을 만날 때마다 화두 참구 방법을 물어 보 아야 합니까?
答 : 바른 선지식을 만나 바르게 참구하는 법을 익혔으면 그렇게 하면 되는 것이지.
問 : 일반인들이 화두 참구를 하다보면 치열한 경쟁사회에 서 살아남지를 못하는데, 일반인들이 어
떻게 생각을 정 립해야 합니까?
答 : 여러가지 생각에 많이 시간을 빼앗기는데 이것을 화두 로 돌리면 사심(私心)이 없어지게 되지.
일상 생활을 직 분에 충실하고, 나머지 시간에 가지가지 생각을 하지 말고 오로지 화두 참구에 전
력할 것 같으면 마음의 지 혜가 계발되어 더욱 더 잘 사는 국토가 될 것이고, 온 세계가 일가(一家)
가 되어서 발전하고 평화가 오지. 그 렇기 때문에 대통령도 농부도 정치인도 누구나가 참선을 수행
해야 마음의 평화가 오는 법이지.
問 : 산중에서 20∼30년 정진해도 견성을 하기가 어려운데 세속에서 처자와 살면서 견성할 수 있
겠습니까?
答 : 진실하게 얼마만큼 바로 받아들이느냐에 달렸지. 일념 이 순일하게 되어야 하는 것이야. 장시
간(長時間)을 요 하는 것이 아니거든. 일념이 지속되어서 홀연히 마음땅 〔心地〕을 돌이키는 것이
견성이지. 시간에 구애되는 것이 아니야.
問 : 어떤 스님은 1주일 간 용맹정진을 해서 트이지 못하면 견성을 못한다고 그러셨는데요?
答 : 형식적이 아니라〈참의심〉이 일념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이지. 하루가 지속되어도 깨달을 수
가 있는 것이지.
問 : 무심(無心)과 무아(無我)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答 : 마음 가운데 따로 마음을 내지 않는다는 것이지. 〈무심〉하면〈무아〉를 누리고,〈무아〉하
면 자연히〈무심〉을 수용하느니라.
問 :(動)하지 않기 때문에 무심 속에서 화두를 잡고 고기를 먹고 술을 먹어도 업식이 나지를 않는다
고 하는데, 견성 전에는 업식이 나는 것 이지요?
答 : 견성을 해서 진리를 봐야 정법이지. 무심 상태라도 진리 를 보지 못하는 가무심(假無心)은 업
식이 나는 법이지.
問 : 화두 공안 중에서도 체(體)를 나툰 공안이 있고 용(用) 을 나툰 공안이 있다고 하는데요?
答 : 체와 용에 국한되지 않고 향상구, 향하구, 최초구, 말후 구, 일구, 여래선, 법신구 이러한 등등
의 화두 공안이 나열되어 있지.
問 : 용(用)을 나툰 공안은 대표적으로 덕산탁발(德山托鉢)· 남전참묘(南泉斬猫)·노파소암(老婆燒
庵)이 아닙니까?
答 : 그렇지 않지. 체니 용이니 논할 수가 없지. 그것은 선 지식이 학자를 접할 때 밝혀야 하는 것이
지.
問 : 법거량 할 때 차별지(差別智)를 살펴야 한다고 하셨는 데, 요번에〈차별지〉를 답을 못하고 다
음에 정진을 하 고 나서 그〈차별지〉를 설명하는 것을 인정하십니까?
答 : 바른 눈이 열리면 일체 법문이 일시에 열리게 되지.
問 : 세상살이가 고통이라고 하는데 가장 큰 괴로움은 무엇 입니까?
答 : 나고 죽는 고통이 가장 큰 고통이 되지.
問 : 전에 한번 맛본 경계를 또 다시 맛보려고 하는데도 안 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정진의 힘을 못 얻어서 그렇지.
問 : 잠은 몇 시간 자야 합니까? 答 : 참선 공부를 성취하려면 4∼5시간 자는 것도 무방하지.
問 : 화두를 방편이라고들 하는데요?
答 : 화두를 실답게 참구해서 실답게 깨달으면 바로 진리에 들어가는 지름길이 되지.
問 : 식(識)이 맑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答 : 분별이 다하면 맑게 되지.
問 : 화두법에서 식이 맑다는 것과 관법(觀法)에서 식이 맑다 는 것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答 : 대동소이한 것이지.
問 : 대승법에서의 견성과 소승법에서의 견성과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答 : 소승법에서는 견성이 없지.
問 : 일념삼매에 들었다는 것이나 외도가 선정에 들었다고 하는 것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答 : 견성을 못하면 사견이고 진정한 선정과 일념삼매가 될 수 없지.
問 : 사정(邪定)과 정정(正定)의 차이는?
答 : 견성을 해야 정정(正定)이고 못하면 사정(邪定)이지.
問 : 화두를 참답게 실참실구(實參實究)를 하려면 어떻게 해 야 합니까?
答 : 눈 밝은 선지식 밑에서 공부하면서 법문도 듣고 자주 묻고 해야지.
問 : 눈을 감고 정진을 하는 것은 어떠합니까?
答 : 눈을 감고도 일념이 지속되면 관계가 없는데 그렇지 않 으면 혼침과 망상에 떨어지느니라.
問 : 호흡하는 법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答 : 따로 권하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하면 되는데 일부러 따 로 익히려고 하면 어렵지. 호흡에 관
계하지 말고 화두 에 전념하는 것이 힘을 더는 것이니라.
問 : 터〔道場〕는 어떻게 보십니까?
答 : 신라 고찰도 명당에 지어졌었고, 터가 좋으면 생기가 나 고 좋지만 선지식이 없으면 소용없지.
선지식도 있고 도량이 좋으면 금상첨화지.
問 : 수좌스님들이〈터〉가 세어서 정진을 못한다고 하는 것 은 어떻게 보십니까?
答 : 마음이 굳지 못해서 그런 것이지.
問 :〈터〉가 센 곳에서 수행하신 경험이 있으십니까?
答 :〈터〉가 세고 세지 않은 것을 느껴보지 못했다.
問 : 외마(外魔)가 있습니까?
答 : 마음의 분별이지.
問 : 가위에 눌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答 : 자나깨나 화두를 일여하게 들면 없는 것이지.
問 : 섬·바닷가에 도인이 적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도인은 인연에 따라 곳곳마다, 어디든지 머무르게 된다.
問 : 하안거보다 동안거가 더 중요하지 않습니까?
答 : 둘 다 중요하지. 발심하기에 달린 것이지.
問 : 30∼40세에 힘을 얻지 못하면 내생으로 넘어가고 이 나이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答 : 나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얼마만큼의 신심을 내어 간 절한 마음으로 바른 지도를 받아 바르게
하느냐에 달 린 것이지.
問 : 현시대의 도인이 신통이 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일상 생활 그대로가 다 신통이지. 별달리 신통을 구하는 것은 그릇된 생각이야.
問 : 평소에 화두가 안 되면 숨 떨어질 때에도 화두가 안 될 것인데, 임종시에는 아미타불이라도 염
(念)해야 하는 것 입니까?
答 : 아미타불을 염(念)하는 정신이 있으면 화두를 바로 챙기 는 것이 더욱 좋지.
問 : 시신(屍身)을 화장하는 것이 좋습니까? 안 하는 것이 좋 습니까?
答 : 화장을 하는 것이 좋지. 중생은 몸에 혼(魂)이 머물고 있는데 시신을 태워 없애고 법문을 해 주
어서 집착을 떠나 없애 보내는 것이 좋지.
問 : 풍수가들은 묘자리의 씀에 따라서 집안이 흥하고 망 한다고 하는데요?
答 : 절집 견성법 문중에는 중요시 여기지 아니한다.
問 :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세다고 하는데요, <도고마성 道高 魔盛>이 사실입니까?
答 : 잘못된 인식이니라.
問 : 정진 중에 꿈 가운데에서 몽사(夢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答 : 다 전생의 업이지.
問 : 조상이 천도가 되었는지 안 되었는지 알 수가 있습니까.
答 : 천도를 잘하면 영가가 집착을 놓고 좋은 곳으로 저절로 가게 되지. 신심과 정성으로 환희심을
다해서 영가를 천도할 것 같으면 자연히 고(苦)를 여의고 낙(樂)을 얻 어 가지. 천도는 법력을 의지
하여야 되는 것이다.
問 : 대중 선방 생활과 토굴 생활과의 장단점은 무엇입니까?
答 : 선지식이 주석하는 회상이라사 고귀한 생명력이 있다. 그렇지 않고는 용두사미에 불과하다.
問 : 끝으로 달마가 중국으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答 : 조사는 무의(無意)니라.
問 : 조사는 왜 뜻이 없습니까?
答 : 억!!! 〔일할(一喝)하시다.〕
問 : 禪의 정의를 내려 주십시오.
答 : 다겁생에 걸쳐서 자신에게 입력되어진 번뇌(業)를 소멸 시키는 것이다. 이미 녹음되어진 테이
프를 원래 상태로 되돌이켜 공테이프를 만드는 작업을 禪이라 한다.
問 :관법(觀法)수행과 화두법(話頭法)수행과의 차이점은 무엇 입니까?
答 : 정진을 할수록 <관법이다, 화두법이다>에 얽매이지 않 게 된다. 두 가지 모두 번뇌를 끊으려
는 방법이고 명칭 이 틀릴 뿐이다. 초기 수행에는 관법 수행으로 점차적으 로 수행력을 쌓아 가다
가 공부가 깊어지고 무르익은 경 지에 이르렀을 때에 화두를 들어야 한다. 옛날 스님들이 스승이
한 번 할(喝)하는데 깨쳤다는 것도 자신의 수행 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깨침의 마지막 단계
에서는 꼭 화두 법으로 수행해야 한다.
問 : 견성(見性)은 무엇입니까?
答 : 자기 자신의 업(業)으로 생각하여서 중생심으로 <깨쳤 다, 터졌다> 하는 것이다. 본래 갖추
어져 있는 자성(自 性)자리이므로 따로 깨침이란 것은 없는 것이다. 문을 닫아도 공기는 통하는 것
과 같이 본래의 성품이 자유 자 재하고 신통(神通)하다. 따라서, <견성했다>고 스스 로가 말하는
것은 죄가 된다.
問 : 대승(大乘)의 견성과 소승(小乘)의 견성은 다릅니까?
答 : 소승적 견성은 <견도 見道>로 道의 이치를 이른 것으 로 이 때는 영통(靈通)이 나게 되고, 대
승적 견성 <확 철 대오를 해야 견성했다>고 하는 것으로 신통(神通) 이 나게 된다.
問 : 평상시 수행인의 마음가짐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答 : <중생에게 모든 것을 회향한다>는 명(命)보시 사상을 가져야 한다. 평소 선행을 쌓고 양심적
인 생활로 담담 한 마음을 기른다. 허공과 같이 담담한 마음이 되어야 정진을 할 수 있는데 번뇌를
끊는 마음으로 정진을 하 기 때 문에 공부에 진전이 없는 것이다.
問 : 시간은 어떻게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까?
答 : 하루 일과를 <정진·수면·일>로 나누고 각각 3분의 1씩 할애한다.
問 : 어떤 상태에서 정진에 효율이 오릅니까?
答 : 방안을 너무 덥지 않게 하여 머리는 차고 발은 따뜻하 게 한다. 그리고 잠이 오지 않는 상태이
면 정진에 효율 이 오른다.
問 : 새벽에 일어난 후에 정진을 하게 되면 곧바로 혼침(昏 沈)에 떨어지는데, 방지책이 있습니까?
答 : 이런 경우에는 밖에 나가 찬 공기를 쐬고 산책을 한다 든지 하여 머리를 맑게 하고 졸음을 완
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졸음을 완전히 없앤 후에 정진을 해야만 혼침에 떨어지지 않게 된다.
問 : 여러 번 삼매(定)에 드셨었다고 하셨는데, 삼매에 들었 을 때의 상태는 어떻습니까?
答 :〈정〉에 들게 되면 시간관념이 없어지고 배고픔도 없 고 아득해진다. 한 번 진정한 정에 든 힘
은 몇 년이 지 속되어 공부에 크게 도움이 된다.
問 : 삼매에도 사정(邪定)과 정정(正定)이 있지 않습니까?
答 : 삿된 정은 물질을 이용한 사술(邪術)이고, 바른 정은 모 든 생각이 쉬어서 신통이 저절로 나오
는 것이다.
問 : 삼매에 못 드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마음을 비우지 않은 상태에서 억지로 정진을 하기 때문 에 장애(魔)가 생겨 삼매에 들지 못하
게 된다.
問 : 오늘날 승가의 문제점과 선지식들의 폐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答 : 스님들이 신자들에게 받기만 하는 습(習)에 젖어서 고마 움을 모르고 세상살이를 쉽게 보는데,
스님들이 남에게 베푸는 생활로 전환해야 한다. 선지식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가르쳐 주지 않고
알음알이로 여겨서 제자들을 꾸짖 으며 제자들을 끝까지 성취시키려는 책임감이 없다. 옛 선지식
들은 평소의 행동으로 제자를 가르쳤었고, 자 신의 상좌 하나에 목숨을 걸고 교육을 시켰었다.
問 : 현 사회에서 포교의 비중이 높아져 가고, 많은 스님들이 포교활동을 하고 계신데, 중생 포교를
어떻게 보십니까?
答 : <자신제도가 곧, 중생제도이다.>
問 : 결제 때 스님의 특별한 생활 방법이 있습니까?
答 : 자연스럽게 생활한다. 계획을 세우지 않고 인력을 투입 하지 않는다. 시간에도 얽매이지 않기
위해서 시계를 없 애고 아주 자연스런 상태에서 정진을 한다.
問 : 결제를 90일 간으로 정하고 수행하십니까?
答 : 결제기간이 90일이라면 실제 결제기간은 10∼15일 정도 된다. 90일 중에서 10∼15일 정도가
실질적인 수행일이 다. 부처님께서는 하근기 중생은 110∼120일, 중근기 중 생은 100∼90일, 상
근기 중생은 90∼80일 간을 결제기 간 으로 정하셨다.
問 : 결제기간에도 도량석과 예불을 꼭 지켜야 합니까?
答 : 관계없다. 모든 것은 형식적인 것이다. 수행자는 <禪 밖에 없다>는 신조로 생사를 걸고 정진
해야 한다.
問 :〈용맹정진〉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答 : 금생에 딱 한 번, 화두타파 직전에 하는 것이다. 정진에 들어가기 전에 부모님·스승·조국의 은
혜를 생각해서 절을 한다. 뜻을 아는 시봉자 이외에는 모든 외부와의 인연을 끊는다.
問 : 절을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부처님께 절을 할 때에는 나쁜 생각을 하지 않게 된다. 절을 할 때에 선근이 심어지고 내생까
지 이어진다.
問 : 정진하실 때에 눈을 뜨고 하십니까? 아니면…….
答 : 눈을 뜨고 정진하면 피로해서 눈을 감고 정진한다.
問 : 눈을 감고 정진을 하면 혼침이 오지 않습니까?
答 : 잠을 자야겠다는 생각을 해야 잠이 온다. 잠을 조복받기 위해 얼음을 깨고 들어가서도 있었고,
젓가락을 뾰족하 게 갈아서 다리를 찌르면서 공부를 했었다.
問 : 호흡은 어떻게 하십니까?
答 : 따로 호흡을 하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호흡한다.
問 : 일반적으로 출가를 해야 정진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데 출가 생활과 속가 생활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答 : 수행에는 출가자와 속가자의 차이는 없다. 오히려 출가 자는 구속적 생활로 인한 심리적 갈등
이 심화되어 생활 이 힘들다고 본다.
問 : 도인(道人)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答 : 업에서 풀려난 자연인·자유인이다. 위로는 불조(佛祖) 를 공경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불쌍히
여긴다.
問 : 화두를 깊이 참구할 때 괴로운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答 : 과거생의 업이 제거되면서 뇌를 스치고 지나가기 때문 에 괴로운 것이다.
問 : 마음과 생각에 대해서 한 말씀 해 주십시오.
答 : 마음은 바다와 같이 잔잔한 물이고, 생각은 그 위의 거 품이다. 중생은 본바탕 마음을 모르고
거품을 진짜로 여기고 살고 있다.
問 : 대체로 해안가와 같이 외곽 지역이나 변방 지역에 거주 하는 사람들이 다른 지역보다 신심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변방에는 주변 환경에 풍파가 많고 심하기 때문이다. 고 래(古來)부터 신(神)에게 제를 지내는
풍습이 많았고 지 금도 이런 전통이 내려오고 있다.
問 : 어떤 것이 정법(正法)입니까?
答 : 견성 전은 외도(外道)이다. 자기 위주의 삶은 외도(外道)이고 이타적인 삶은 복을 짓는 일이다.
이 두 가지를 떠난 것이 정법(正法)으로 공(功)과 덕(德)이 합일되어야 공부를 성취한다. 정진을 하
면 피아노건반이 각기 다른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이 모 든 것에 능통하게 된다. 치우치는 것은 외도
이다.
問 : 수행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答 : <스승과 도반·도량>이다. 스승이 가장 중요하지만 세 가지 모두가 화합이 되어야 한다.
問 : 수행자가〈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터〉가 센 곳에 는 정진을 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答 :〈터〉는 무정(無情)이고, 사람은 유정(有情)이다. 유정 이 무정보다 높은 것이 이치인데 오히
려 사람들은 무정 인 〈터〉를 더 높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손톱이나 머 리카락은 유정과 무정이
같이 한 몸을 이루고 있다. 수 행하는 사람은 유정과 무정을 하나로 보아야 한다.
問 : 대부분의 큰스님들은〈터〉가 센 곳을 눌러 지내시는데, 큰스님들과 같이 도력이 높아지면
〈터〉에 구애받지 않 고 어느 곳에서든지 지낼 수 있게 됩니까?
答 : 각 도량에 따라 틀리다. 스님들의 인연에 따라서 도량신이 바뀌어지고 도량의 상 주신(常住神)
과도 맞아야〈터〉를 누르고 지낼 수 있게 된다.
問 : 수행자에게 특별한 인연지가 있습니까?
答 : <고향·입산지·성취한 자리>를 수행인의 3지(地)라고 한다. 이 세 곳은 중요하므로 잊지 말아
야 한다.
問 : 선방은 어느 곳이 좋습니까?
答 : 비산비하(非山非河)가 좋다. 자연적인 기(氣)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면 수행자가 기(氣)를 받을
수 있기 때문 에 정진에 도움이 된다.
問 : 산에서 도인이 많이 나오고 해안에서는 도인이 나기 어 려운 것은......?
答 : 물은 자력(自力)을 빼앗아 가기 때문이다. 전기도 기를 빼앗기 때문에 전등을 켜는 것보다 촛
불을 켜고 정진하 는 것이 좋다.
問 : 스님은 하안거보다 동안거를 중요시하고 동안거 결제는 꼭 하시는데.....?
答 : 기(氣)의 작용을 알기 때문이다. 동짓달 중순 이후에는 다시 기가 상승작용을 하는 기의 순환
이 잘 이루어진 다. 기가 움직이는 여름철에는 기의 힘을 받을 수가 없 지만 겨울철은 기가 땅에 뭉
쳐 있어서 수행자가 기의 힘을 받을 수 있다.
問 : 바람은 무엇입니까?
答 : 지·수·화·풍 사대(四大)중에서 예리한 것에 속한다. 무리를 지어서 다니거나 홀로 다니면서 소
리를 낸다.
問 : 둔갑술은 무엇입니까?
答 : 혼이 다른 짐승의 가죽에 들어갈 수 있다.
問 : 지구를 중심으로 한 인종의 형성과정은 어떻습니까?
答 : 피부색의 갈림으로 세계는 서로 대립하고 있으며 각 국 은 국업(國業)에 따라 분류되어진다.
問 : 임종시에는 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
答 : 수행자는 생(生)과 사(死)를 동일하게 보아야 한다.
問 : 죽은 후의 경계는 어떻습니까?
答 :평소에 익힌 습(習)에 의한 업(業)에 끌려간다. 죽은 후 혼은 49일 간 머물다가 다른 곳에 태어
나게 되는데, 49 일 동안 고통을 받게 된다. 평소에 집에 애착이 많았던 사람은 죽은 후에 그 집의
개로 태어나서 집을 지키는 경 우도 있다. 애착하는 것이 없으면 죽은 후에 혼은 원 하는 곳으로 갈
수 있다.
問 : 윤회는 어떻습니까?
答 : 수행력이 높을수록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윤회가 빨 리 이루어진다. 한 사람이 태어날 때는
과거생의 인연 있는 혼들이 그룹으로 몰려다니면서 따라서 같이 태어 나게 된다.
問 : 극락이 있습니까?
答 : 윤회가 없는 것을 극락이라고 한다. 극락과 지옥은 자기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 자신의 식(識)
이 맑게 되면 극락 이 된다. 그리고 아미타불을 계속 염하거나 극락세계로 가는 습을 익히게 되면
극락에 가게 된다.
問 : 죽은 후에 육체는 어떻게 됩니까?
答 : 신체의 모든 부분이 사대(四大)로 각각 흩어지게 된다. 같은 사대끼리 뭉쳐서 새로운 삶을 살
게 된다.
問 : 임종 전이나 후에, 망자에게 염불을 해 주거나 경전을 읽어 주면 혼이 제도되어 좋은 곳에 태
어나게 됩니까?
答 : 각자의 근기에 따라서 제도가 되기도 하고, 제도가 되지 않기도 한다. 기름은 기름을 낳고, 중
생은 번뇌를 만들 고, 부처님은 부처님을 만드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평 상시의 습에 따라서 염불
을 받아들이는 혼도 있고 듣지 않 는 혼도 있다.
問 : 마(魔)란 무엇입니까?
答 : 수행에 여러 경계가 나타나고 마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 다. 마란 다겁생의 번뇌가 수행을 통해
서 나타나는 것으 로 <염식(染識)이 풀어지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이다.
問 : 도고마성(道高魔盛)이라 하여 <도가 높을수록 마가 세 다>고 하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答 : 번뇌(염식)가 제거될 때는 하나가 수천 개로 분산되어서 여러 형태로 되어 없어진다. 수행이
깊어질수록 번뇌가 크게 없어지게 되고, 내생에 받을 고통을 미리 금생에 다 받게 된다. 가능하면
금생에 모든 고통을 다 받는다 는 자세로 정진을 해야 한다.
問 : 마의 대처 방안은 없습니까?
答 : 마는 염식작용으로 근본뿌리가 없는 것이다. 다겁생으로 익힌 나의 업(業)이 벗어나는 과정이
므로 <저것이 바로 나로구나> 하고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마를 당할 때 의 마음상태에 따라서
크게, 작게 느껴지게 되기도 한다. 타의적인 힘으로 막으려 하면 공부에 진전이 없게 된다. 가능한
한 방편을 쓰지 않고 목숨을 걸고 관문을 통과해 야 한다.
問 : 몽사(夢死)를 당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자기 번뇌를 누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조급한 마음으로 수행하지 말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자연스럽게 정진을 해야 한다.
問 : 꿈은 무엇입니까?
答 : 꿈이란 자기의 염식이 풀려 나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 다. 정식(淨識)의 장엄된 꿈은 부처님·
보살님들이 나타 나는 것이고 염식(染識)의 장엄된 꿈은 삿된 것이 나타 난다. 수행의 초기에는 꿈
으로 마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 은데 처음에는 강하게 나타나다가 점점 약해진다. 미래의 일들이
꿈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問 : 세속인에게 마가 없는 것은 왜 그렇습니까?
答 : 수행은 때를 벗기는 작업인데, 세속인들은 때를 묻히면 서 살고 있다.
問 : 〈업〉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答 : 마음에 두지 않으면 업이 형성되지 않는다. 금생에 지은 업은 7∼10일 기도로 소멸될 수 있지
만, 전생의 업은 쉽 게 소멸되지 않는다. 90%가 전생의 업이고 작은 업이라 도 지은 것은 금생에
몇 배로 불어나게 된다.
問 : 귀신은 어떻습니까?
答 : 인간이 귀신보다 우월한데 배짱이 적어 눌려 산다. 선신 (善神)과 악신(惡神)이 공존하고 있는
데 세속에는 아귀 종류가 많고 도량에는 도량신이 있다.
問 : 무섭다는 것과 겁난다는 것은 어떻게 다릅니까?
答 : 본능적인 것이다. 무섭다는 것은 자기의 몸을 숨기는 것 이고, 겁은 숨이 끊어질까 봐 두리번
거리는 것을 뜻한다.
問 : 인과(因果)란 무엇입니까?
答 : 도(道)가 곧, 인과(因果)이다. 수행을 할수록 인과가 확 실히 드러나는 것을 보게 된다. 인과는
정신과 물질에 똑같이 적용되고 인과의 양은 복이고, 질은 수행력이다. 인과는 한 치의 오차도 없
는 것이고 꿈에서 음식을 많 이 먹고 깨면 배가 아픈데 탐심에 의해 인과가 붙는 것 이다. 현대인에
게 병(病)이 많은 것도 인과를 모르고 자 신에 게 주어진 복 이상의 것을 인위적으로 성취하려는 탐
심에 원인이 있다.
: 복(福)이란 무엇입니까?
答 : 남에게 베푸는 과정에서 업이 소멸되어지고 남에게 베 푼만큼 자신에게 복이 된다. 복을 짓는
그대로 자기자 신의 통장에 예금되어지게 된다. 복을 많이 쌓으면 천 상계에 태어나게 되는데 점점
복이 감해져서 인간계로 오게 된다. 사업을 하다가 망하는 것도 새로 복을 짓지 않고 나머지 복을
다 쓰게 될 때의 경우가 많다. 현재 의 사찰도 숨은 개개인의 복력으로 유지되고 있고 복이 많으면
악신도 선신으로 변한다.
問 : 복은 어떻게 지어야 하는 것입니까?
答 : 재물을 아껴 써서 남에게 베푸는데 주변 여건도 살펴야 하고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서로 성
심 성의껏 해야한 다. 무엇보다도 진리(眞理)에 맞게 복을 지어야 한다. 가 사를 보시하는 경우에,
옛날 가사는 <진리는 막힘이 없 다 >는 사상에서 가사 바느질을 막힘이 없이 하였는데 요즘에는
이것을 무시하고 바느질을 한다. 이렇게 진리 에 맞지 않게 시주한 사람도 죄를 짓게 된다.
問 : 토굴 수행하실 때의 마음가짐은 어떤 것입니까?
答 :회향처로 생각하며 목숨을 내놓고 정진한다. 정진하다가 죽는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토굴
로 떠나기 전날 부모님·스승·부처님의 은혜를 생각해서 절을 하는데, 이렇게 하면 토굴생활을 할
때에 스스로의 약속을 굳게 지 키게 된다. 평상시 거대한 배짱을 갖고 있는 인간이 면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問 : 대중선방생활과 토굴생활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입니까?
答 :대중선방은 초보 수행자에게 알맞다고 생각한다. 대중적 습의를 익히게 되고 여럿이 생활을 하
니까 의지는 되지 만 공동생활에 신경이 많이 써지게 되고 시간에 구애를 받게 되어 깊은 정진을
할 수가 없다. 공부를 깊게 하려 면 토굴생활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問 : 토굴은 어떤 것으로 짓는 것이 좋습니까?
答 : 자연 소재로 짓는 것이 좋다. 나무나 흙으로 지으면 자 연적으로 통풍이 되어 호흡에 좋고, 시
멘트로 지은 집은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問 : 계획을 세우고 토굴 생활을 하십니까?
答 :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 몸이 요구하는 것을 들어준다. 목숨을 내놓고 한다. 배짱을 크게 갖
는다. 모든 경계를 나자신으로 생각해서 그대로 받아들이고 동요하지 않는 다. 억지로 하려 하지
않고 아주 자연스럽게 생활한다. ( 평소에도 이와 같이 수행한다.)
問 : 음식은 어떻게 드십니까?
答 : 미리 며칠 분의 밥과 국을 해 놓고 먹는다. 밥은 묽게 하고 물은 많이 먹지 않는다. 반찬은 된
장이나 김으로 한다.
問 : 씻는 것은 어떻게 하십니까?
答 : 피부 보호를 위해서 자주 씻지 않고, 머리와 수염도 깎 지 않고 지낸다.
問 : 혼자서 토굴생활을 하시면서 여러 경계를 당하셨을 텐 데, 그럴 때 어떻게 극복하셨습니까?
答 :혼자서 정진을 하면 경계를 더 많이 겪게 되는데 경계 가 생기면 고속버스를 타고 가면서 스쳐
가는 것 같이 무심하게 그대로 넘긴다. 모두 과거생에 내가 살아온 모 습들이 나타나는 것이지, 타
의에 의한 것은 없는 것이다. 내 가 지어 놓은 번뇌를 내가 그대로 받는 것으로 형상에 집착하면 견
디어 내지 못한다.
問 : 고기를 먹는 것이 나쁜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고기는 벌레(蟲)들이 모여서 살이 된 것이다.
問 : 채식을 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答 : 채식을 함으로써 업이 점점 벗겨진다.
問 : 수행인에게 좋은 음식과 건강요법을 소개해 주십시오.
答 : 채식을 하고 소량을 먹는다. 자연요법으로 해풍(海風)을 몸에 직접 쐬면 좋다.
問 : 파·마늘 등을 금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答 : 음심(淫心)이 일어난다.
問 : 염분(소금)의 섭취에 대해서 한 말씀 해 주십시오.
答 : 몸 자체에 힘이 있다. 싱겁게 먹는다.
問 : 음식 조리법은 어떻게 합니까?
答 : 불기운을 쐬지 않을수록 좋다. 식은 음식이 영양분이 많 다. 기름은 피부호흡을 막기 때문에
나쁘다.
問 : 그릇은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습니까?
答 : 나무같이 자연적인 것이 기가 돌게 되어 좋다.
問 : 의복은 어떻게 입는 것이 좋습니까?
答 : 혈이 잘 도는 헐렁한 것이 좋다.
問 : 신발은 어떤 것이 좋습니까?
答 : 발바닥에 충격을 주어서 피를 빠르게 돌게 하는 신발이 좋다.
問 : 방석은 어떤 것이 좋습니까?
答 : 자연산인 목화솜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塵勞逈脫事非常
緊把繩頭做一場
不是一蒜寒徹骨
爭得梅花撲鼻香
진로를 벗어나는 일이 예삿일이 아니니
승두를 꽉 잡고 한바탕 공부할지어다.
추위가 한 번 뼈에 사무치지 않을 것 같으면
어찌 코를 찌르는 매화향기를 얻을 수 있겠는가.
― 黃檗 ―
|
첫댓글 옴아비라훔캄스바하
감사합니다 _()()()_
감사합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