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다짐도를 판정하는 방법
1. 다짐도 또는 상대다짐도(Rc) 로 판정하는 방법.
Rc= rd ×100 / rd max
- 실험실에서 얻은 rd max과 현장다짐에서 얻은 rd의 백분율로 표시
- 시방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면 합격 (예 노체 90%이상, 노상 95%이상)
- 도로의 흙쌓기 및 흙댐에 주로 이용
- 제한
*토질의 변화가 심하거나 기준이 되는 최대건조밀도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
*함수비가 높아 이를 저하시키는 것이 비경제적인 경우
*Over Size를 함유한 Rock 재료 등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2. 상대밀도 (Dr)로 판정하는 방법

- 시방서에서 규정한 값 이상이면 합격
- 사질토에 적용
3. 포화도 또는 공기함유율로 규정하는 방법
- 고함수비의 점토와 같이 다짐도로 규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
- 현장에서 다진흙의 건조단위중량, 함수비, 비중등을 측정하여 구함.
포화도

공기함유율

- 도로표준시방서 규정
* 포화도 : 85∼95%
* 공기함유율 : 10∼1%
- 포화도 및 공기함유율에 상한 및 하한을 설정한 이유
① S ≥ 85%, A ≤ 10%
* 조립토(사질토)등의 다짐도 (Rc ≥ 90%)에 상당하는 규정이며, 강도를 크게하고 압축성 및 투수성을 감소시켜 흙을
안정화하고 성토의 Trafficbility를 확보한다. 또한 부등 압축침하에 의한 비탈면의 붕괴등에 대처하는 규정임.
② S ≤ 98%, A ≥ 1%
* 예민비
4. 강도특성으로 규정하는 방법
- 강도기준으로서 보통CBR 값, 평판재하시험에서 얻은 K값 등으로 규정.
- 또는 현장전단강도(Vane 전단, 콘관입시험)와 실험실의 일축압축강도 및 삼축압축시험에 의하여 강도 규정
5. 프루프 로울링(Proof Rolling)에 의한 규정
- Proof Rolling)에 덤프트럭이나 타이어 로울러를 노상면에 주행시켜 하중에 의한 큰 변형 및 불균일한 변형을 일으키는
불량한 곳을 발견하여 장래 생길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행하는 것으로 추가 다짐(Additional Rolling)과
검사다짐(Inspection Rolling)으로 나눈다
6. 공법을 규정하는 방법
- 현장다짐에서 소요의 다짐도에 도달하기 위햐여 다짐기종, 다짐횟수, 다짐두께, 다짐폭과 속도 등을 규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