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붕, 「오륜가」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사람 사람마다 이 말씀을 들으려므나
이 말씀 아니면 사람이라도 사람 아니니
이 말씀 잊지 않고 배우고야 말 것이니라 <제1수>
[A][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머님 날 기르시니
부모님 아니시면 내 몸이 없었으리라
이 덕을 갚으려 하니 하늘 끝이 없으리로다] <제2수>
종과 주인과를 누구가 만드셨나
벌과 개미가 이 뜻을 먼저 아나니
한 마음에 두 뜻 없이 속이지나 맙시다 <제3수>
지아비 밭 갈러 간 데 밥 광주리 이고 가서
밥상을 들되 눈썹에 맞추는구나
친하고도 고마우시니 손님이나 다르실까 <제4수>
형님 잡수신 젖을 내 따라 먹습니다
어허 저 아우야 어머님 너 사랑이야
형제가 불화(不和)하면 개돼지라 하리라 <제5수>
늙은이는 부모 같고 어른은 형 같으니
같은데 공경치 않으면 어디가 다를까
나이가 많으시거든 절하고야 말 것이니라 <제6수>
01 윗글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자연물을 활용해 가르침을 전달하고 있다.
② 유사한 구조를 반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③ 권계하는 말투를 활용해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④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생각을 강조하고 있다.
⑤ 색채어의 대비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02 [A]와 <보기>를 비교하여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어버이 자식(子息) 사이 하늘 삼긴 지친(至親)이라
부모(父母)곳 아니면 이 몸이 이실쏘냐
오조(烏鳥)도 반포(反哺) 를 하니 부모 효도(父母孝道)하여라
- 김상용, 「오륜가」에서
*반포: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① [A]와 <보기>는 모두 부모의 은덕과 관련된 내용을 형상화하고 있군.
② [A]와 <보기>는 모두 부모로 인해 화자가 존재할 수 있었음을 밝히고 있군.
③ [A]는 <보기>와 달리 부모의 은덕은 갚기가 어려운 것임을 직접 언급하고 있군.
④ <보기>는 [A]와 달리 자연물의 습성을 활용하여 효도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군.
⑤ <보기>는 [A]와 달리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함을 드러내고 있군.
03 <보기>를 참고할 때,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① <제1수>: <제2수>~<제6수>에서 말하고자 하는 유교적 덕목을 사람이라면 잊지 말고 배워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② <제3수>: ‘벌’과 ‘개미’를 활용해 ‘종’도 ‘주인’과 같이 인격을 가진 존재이므로 ‘주인’ 이 ‘종’을 속이지 말 것을 나타내고 있다.
③ <제4수>: ‘지아비’에게 밥상을 올리는 아내의 모습을 통해 아내가 남편을 ‘손님’과 같이 섬겨야 함을 드러내고 있다.
④ <제5수>: 형제가 불화하면 ‘개돼지’와 다르지 않음을 언급하며 형과 아우가 화목하게 지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⑤ <제6수>: ‘늙은이(어른)’는 ‘부모(형)’와 같음을 드러내며 젊은이가 ‘늙은이(어른)’를 공경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도움자료
[2015 EBS 인터넷 수능] 문학(A)
11 주세붕, 「오륜가」
01 ⑤ 02 ⑤ 03 ②
이 작품은 주세붕이 황해도 관찰사로 지낼 때 지은 연시조이다. ‘백성의 생활 풍속이 무지한 것을 보고 이 노래를 지어 사람의 큰 윤리를 밝히고자 했다.’라는 창작 의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삼강오륜(三綱五倫)’이라는 유교적 가치관을 백성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지어졌다. 서사에서 삼강오륜을 배워야 하는 까닭을 밝힌 뒤, 나머지 각 수에서 유교적 덕목에 해당하는 가치들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간이 지켜야 할 도리로서의 오륜
제1수: 삼강오륜을 배워야 하는 이유
제2수: 하늘같이 끝없는 부모님의 은덕 제3수: 주인(임금)에 대한 종(신하)의 자세 제4수: 남편을 섬기는 아내의 자세
제5수: 형제 사이의 화목한 태도
제6수: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과 자세
01 표현상 특징 파악 ⑤
색채어는 빛깔을 나타내는 말을 일컫는다. 이 글에서는 색채 어의 대비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는 부분을 찾아보기 어렵다.
① <제3수>에서 자연물인 ‘벌’과 ‘개미’를 활용하여 주인에 대한 종의 자세를 이끌어 내고 있다.
② <제2수> ‘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머님 날 기르시니’, <제6 수> ‘늙은이는 부모 같고 어른은 형 같으니’에서 유사한 구조를 반복하고 있다.
③ ‘말 것이니라’, ‘맙시다’와 같은 종결을 통해 권계하는 말투를 활용하고 있다.
④ <제4수> ‘친하고도 고마우시니 손님이나 다르실까’에서 설 의적 표현을 활용하고 있다.
02 작품 간의 공통점, 차이점 파악⑤
<보기>와 [A] 모두에서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서 인내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① [A]와 <보기>는 모두 아버지와 어머니의 은덕에 관한 내용을 주제로 삼고 있다.
② [A]의 ‘부모님 아니시면 내 몸이 없었으리라’와 <보기>의 ‘부모곳 아니면 이 몸이 이실쏘냐’에서 부모로 인해 화자가 존재할 수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③ [A]의 ‘이 덕을 갚으려 하니 하늘 끝이 없으리로다’에서 부모의 은덕을 갚기가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④ <보기>의 ‘오조도 반포를 하니 부모 효도하여라’에서 자연물인 ‘오조’의 습성을 활용하여 효도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03 감상의 적절성 평가 ②
<제3수>는 ‘종’은 ‘주인’을 모시는 데에 있어 두 뜻을 품지 말아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3수>는 ‘종’이 ‘주인’을 어떻게 모셔야 하는지를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문맥상 ‘종’도 ‘주인’과 같이 인격을 가진 존재라고 볼 근거도 부족하고, ‘주인’이 ‘종’을 속여서는 안 됨을 나타내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① <제1수>는 삼강오륜을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사람다운 사람이 되려면 유교적 덕목을 잊지 말고 배워야 함을 드러내고 있다.
③ <제4수>는 남편을 섬기는 아내의 자세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아내가 남편을 손님과 같이 대하는 태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④ <제5수>는 형제 사이의 화목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형과 아우가 화합하지 못하면 ‘개돼지’와 다르지 않음을 언급하고 있다.
⑤ <제6수>는 늙은이(어른)를 공경하는 마음과 자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첫댓글 소중한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