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정기(趙廷機)
[문과] 명종(明宗) 19년(1564) 갑자(甲子) 별시(別試) 병과(丙科) 1위(04/12)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815AE30B1537X0
자(字) 형선(衡善)
생년 정유(丁酉) 1537년 (중종 32)
졸년 을해(乙亥)【補】(주1) 1575년 (선조 8)
향년 39세
합격연령 28세
본인본관 풍양(豊壤)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이조정랑, 헌납, 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형선(衡善).
이조참판 조익정(趙益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사 조팽(趙彭)이고, 아버지는 전한 조종경(趙宗敬)이며, 어머니는 부사 이잠(李箴)의 딸이다.
1561년(명종 16) 감시생원(監試生員) 제1인으로 뽑혔고, 1564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대교·승문원주서를 거쳐 홍문관수찬으로서 을사궤망의 원억(乙巳掛網之寃抑)을 신설(伸雪)하고, 이황(李滉)의 저술을 『유선록(儒先錄)』에 넣을 것을 건의했으며, 향약을 시행할 것을 건의하였다.
부수찬·수찬·지평을 거쳐 교리에 이르렀을 때, 재상 이준경(李浚慶)이 죽음에 임하여 조정에 붕당의 조짐이 있음을 말한 데 대하여 삼사(三司)가 공격하여 죄주기를 청하자 심희수(沈喜壽)와 더불어 이준경을 적극 변호하였으며, 성혼(成渾)을 적극 천거하였다.
이조정랑·의정부검상사인·헌납·장령을 거쳤다.
1575년(선조 8)에 병이 나니, 선조가 즉위 이래 시강(侍講)의 공을 생각하여 약을 내리고 의원을 보내주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조정기(趙廷機))]
[생원] 명종(明宗) 16년(156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생원] 1등(一等) 1[壯元]위(1/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2명 [甲1‧乙2‧丙9]
전력 생원(生員)
관직 응교(應敎)
관직 한림(翰林)
문과시제 책문(策問):학교불흥(學校不興)‧풍속불미(風俗不美)‧인심불순(人心不純)‧기강불진(紀綱不振)‧고금이단성쇠(古今異端盛衰)‧승도치장(僧徒鴟張)‧역대환시선악(歷代宦寺善惡)
타과 명종(明宗) 16년(156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1등(一等) 1위[壯元]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조종경(趙宗敬)[文]
[조부(祖父)]
성명 : 조팽(趙彭)[進]
[증조부(曾祖父)]
성명 : 조익정(趙益貞)[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잠(李箴)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강욱(姜昱)[文]
본관 : 진주(晉州)【補】
[안항(鴈行)]
형(兄) : 조정건(趙廷楗)【補】(주3)
형(兄) : 조정추(趙廷樞)[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가정40년신유8월19일사마방목(嘉靖四十年辛酉八月十九日司馬榜目)』(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연민,고 920.051 가359])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3]안항 : 『가정40년신유8월19일사마방목(嘉靖四十年辛酉八月十九日司馬榜目)』(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연민,고 920.051 가359])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조수익(趙守翼)
[문과] 선조(宣祖) 24년(159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5위(25/3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218C775B1565X0
자(字) 시보(時保)
호(號) 자오(自娛)
생년 을축(乙丑) 1565년 (명종 20)
졸년 임인(壬寅) 1602년 (선조 35)
향년 38세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풍양(豊壤)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홍문관부수찬, 부교리, 임천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시보(時保). 조팽(趙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종경(趙宗敬)이고, 아버지는 홍문관응교 조정기(趙廷機)이며, 어머니는 강욱(姜昱)의 딸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자립하여, 1590년(선조 23)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성균관학유에 제수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어머니를 하직하고 죽음으로써 관직을 지키려고 하였으나 이미 묘사(廟社)가 옮겨졌고 궁성이 비었음을 알고, 국왕이 계신 행재소(行在所)에 이르러 검열에 제수되었다.
이 후 주서·봉교·사서, 성균관전적·사헌부지평·예조정랑·전라도사·병조정랑·홍문관부수찬·부교리, 임천군수 등 내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병을 얻어 고향에 돌아와 죽었다.
사후 1603년에 호성선무종훈녹권(扈聖宣武從勳錄券)이 내려졌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증직되었다.
타고난 성품이 깨끗하고 조용하였고, 효성과 우애가 깊었으며 생활이 청빈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조수익(趙守翼))]
[생원]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1위(51/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4명 [甲3‧乙7‧丙24]
전력 생원(生員)
관직 옥당리(玉堂吏)
관직 한림(翰林)
타과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 21위
기타 상촌찬지(象村撰誌) 낙전찬표(樂全撰表)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조정기(趙廷機)[文]
관직 : 의정부사인(議政府舍人)
[조부(祖父)]
성명 : 조종경(趙宗敬)[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조팽(趙彭)
[외조부(外祖父)]
성명 : 강욱(姜昱)[文]
본관 : 진주(晉州)【補】
[처부(妻父)]
성명 : 변순(邊循)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조수륜(趙守倫)[進]【補】
제(弟) : 조수인(趙守寅)[文]【補】(주2)
[가족과거]
증손(曾孫) : 조성보(趙聖輔)[文]
[주 1]거주지 : 『황명만력18년경인10월초6일상존호증광사마방목(皇明萬曆十八年庚寅十月初六日上尊號增廣司馬榜目)』(『청좌부군방목(淸坐府君榜目)』, 대전시립박물관)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안항 : 『황명만력18년경인10월초6일상존호증광사마방목(皇明萬曆十八年庚寅十月初六日上尊號增廣司馬榜目)』(『청좌부군방목(淸坐府君榜目)』, 대전시립박물관)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조수륜(趙守倫)
[진사] 선조(宣祖) 12년(157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3위(43/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218B95CB1555X0
자(字) 경지(景至)
생년 을묘(乙卯) 1555년 (명종 10)
졸년 임자(壬子)【補】(주1) 1612년 (광해군 4)
향년 58세
합격연령 25세
본인본관 풍양(豊壤)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대흥현감, 호조좌랑, 평택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경지(景至), 호는 풍옥헌(風玉軒)·만귀(晩歸).
조팽(趙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문관전한 조종경(趙宗敬)이고, 아버지는 홍문관응교 조정기(趙廷機)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강욱(姜昱)의 딸이다. 처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현감 정선복(鄭善復)의 딸이다.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79년(선조 12)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84년에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며, 1590년에 선릉참봉(宣陵參奉)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중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임명되었으나 곧 해직되고, 1601년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복직되었다.
1604년 대흥현감에 제수되었다가 1607년에 파직되었고, 1609년(광해군 1) 호조좌랑으로 기용되었다가 1611년에 평택현감이 되었다.
1612년 신율(申慄)이 황혁(黃赫)과의 오랜 원한으로 역옥(逆獄)을 일으켰는데 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죽었다.
성혼의 문하에서 단아한 행실로 인해 명성을 얻었으며, 경학에도 조예가 있어 그가 집무하는 관아에서 여러 동문들과 함께 『우계집(牛溪集)』을 편집, 출간하였다. 병조참판에 추증되고, 서천의 건암서원(建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조수륜(趙守倫))]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조정기(趙廷機)[生]
품계 : 조산대부(朝散大夫)
관직 : 수의정부사인(守議政府舍人)
관직 : 지제교(知製敎)
[안항(鴈行)]
제(弟) : 조수익(趙守翼)[生]
제(弟) : 조수인(趙守寅)[生]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출전]
『만력7년기묘4월초2일사마방목(萬曆七年己卯四月初二日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8])
조수인(趙守寅)
[문과] 선조(宣祖) 30년(1597) 정유(丁酉) 별시(別試) 갑과(甲科) 1[壯元]위(01/19)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218C778B1568X0
자(字) 직재(直哉)
생년 무진(戊辰) 1568년 (선조 1)
합격연령 30세
본인본관 풍양(豊壤)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생원] 선조(宣祖) 22년(1589) 기축(己丑)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8위(58/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9명 [甲1‧乙5‧丙13]
전력 생원(生員)
관직 현감(縣監)
타과 선조(宣祖) 22년(1589) 기축(己丑)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 28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조정기(趙廷機)[文]
[조부(祖父)]
성명 : 조종경(趙宗敬)[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조팽(趙彭)
[외조부(外祖父)]
성명 : 강욱(姜昱)[文]
본관 : 진주(晉州)【補】
[처부(妻父)]
성명 : 이세온(李世溫)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조수륜(趙守倫)[進]【補】(주2)
형(兄) : 조수익(趙守翼)[文]
[주 1] 거주지 : 『만력17년기축3월17일종계증광사마방목(萬曆十七年己丑三月十七日宗系增廣司馬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貴B13KB-0048])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안항 : 『만력17년기축3월17일종계증광사마방목(萬曆十七年己丑三月十七日宗系增廣司馬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貴B13KB-0048])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
조종경(趙宗敬)
[문과] 중종(中宗) 15년(1520) 경진(庚辰) 별시(別試) 을과(乙科) 1[亞元]위(02/11)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885ACBDB1495X0
자(字) 효백(孝伯)
호(號) 독암(獨菴)
생년 을묘(乙卯) 1495년 (연산군 1)
졸년 을미(乙未) 1535년 (중종 30)
향년 41세
합격연령 26세
본인본관 풍양(豊壤)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장령, 사간, 사섬시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신(子愼), 호는 독암(獨庵).
조온지(趙溫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익정(趙益貞)이고, 아버지는 조팽(趙彭)이며, 어머니는 이사손(李嗣孫)의 딸이다.
1516년(중종 11) 사마시를 거쳐, 1520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주서·부수찬·정언·수찬 등을 차례로 지냈다.
1524년 이조정랑에 천거되었으나 당대의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반대로 좌절되었다가, 1526년 지평을 거쳐 비로소 취임하게 되었다.
그 뒤 장령·사간·전한 등의 관직을 역임하고, 1531년 사섬시정(司贍寺正)으로 재직하던 중 심정(沈貞)의 당여(黨與)라는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어 과천에 물러나 있게 되었다.
1537년 김안로가 사사(賜死)되자 신원되고, 죽은 뒤 과천의 호계서원(虎溪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독암유고(獨庵遺稿)』가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조종경(趙宗敬))]
[생원] 중종(中宗) 11년(151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59위(89/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1명 [甲1‧乙2‧丙8]
전력 생원(生員)
관직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
관직 전한(典翰)
문과시제 책문(策問)
타과 중종(中宗) 11년(151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59위
기타 여호찬표(黎湖撰表)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조팽(趙彭)[進]
[조부(祖父)]
성명 : 조익정(趙益貞)[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조온지(趙溫之)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사손(李嗣孫)
본관 : 고성(固城)【補】
[처부(妻父)]
성명 : 이잠(李箴)[文]
본관 : 경주(慶州)【補】
[가족과거]
자(子) : 조정추(趙廷樞)[文]
자(子) : 조정기(趙廷機)[文]
[주 1] 거주지 : 『정덕11년병자식생원진사방(正德十一年丙子式生員進士榜)』(개인)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조팽(趙彭)
[진사] 연산(燕山) 1년(149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진사] 1등(一等) 4위(4/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870D33DFFFFB1473X0
자(字) 백수(伯壽)
생년 계사(癸巳)【補】(주1) 1473년 (성종 4)
졸년 신유(辛酉)【補】(주2) 1501년 (연산군 7)
향년 29세
합격연령 23세
본인본관 풍양(豊壤)【補】(주3)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사과(司果)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조익정(趙益貞)[文]【補】(주4)
[처부(妻父)]
성명 : 이사손(李嗣孫)【補】(주5)
본관 : 고성(固城)【補】
[안항(鴈行)]
제(弟) : 조이(趙耳)[生]【補】(주6)
[주 1] 생년 : 『씨족원류(氏族源流)』 [풍양조씨]편(289쪽)과 『풍양조씨세보(豊壤趙氏世譜)』(1979)를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2] 졸년 : 『씨족원류(氏族源流)』 [풍양조씨]편(289쪽)과 『풍양조씨세보(豊壤趙氏世譜)』(1979)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 본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자 조종경(趙宗敬)의 급제 기록과 『씨족원류(氏族源流)』 풍양조씨편(289쪽)을 참고하여 본관을 "양주(楊州)"에서 "풍양(豊壤)"으로 수정.
[주 4] 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자 조종경(趙宗敬)의 급제 기록과 『씨족원류(氏族源流)』 [풍양조씨]편(289쪽)을 참고하여 부를 추가.
[주 5] 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자 조종경(趙宗敬)의 급제 기록과 『씨족원류(氏族源流)』 [풍양조씨]편(289쪽)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주 6] 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풍양조씨]편(289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사마방목【홍치8년을묘】(司馬榜目【弘治八年乙卯】)』(『지헌선생일고(止軒先生逸稿)』 卷之3, 李哲明, 국립중앙도서관[古3648-62-1013])
조익정(趙益貞)
[문과] 세조(世祖) 11년(146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0위(20/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870C775C815B1436X0
자(字) 이원(而元)
시호(諡號) 공숙(恭肅)
생년 병진(丙辰) 1436년 (세종 18)
졸년 무오(戊午)【補】(주1) 1498년 (연산군 4)
향년 63세
합격연령 30세
본인본관 풍양(豊壤)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한성부좌윤, 공조참판, 춘추관동지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이원(而元).
회양부사(淮陽府使) 조신(趙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조좌랑 조안평(趙安平)이고, 아버지는 한산군(漢山君) 조온지(趙溫之)이며, 어머니는 예빈시판사 오축(吳軸)의 딸이다.
1453년(단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1465년(세조 11)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1466년『동국통감』의 편찬에 수찬낭관으로서 참여하였다.
1467년 예문관봉교·승정원주서를 지냈고, 1468년(예종 즉위년) 10월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1469년 사헌부지평·행세자시강원문학을 거쳐 춘추관수찬관으로 『세조실록』 편수에 참여하였고, 1470년(성종 1) 형조참의가 되었다.
1481년에 한성부좌윤으로 한평군(漢平君)에 봉하여지고, 이듬해 이조참판이 되었다.
1489년 호조참판으로 성절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서 대사헌·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이어 다시 대사헌·예조참판·경상우도병마절도사 등을 지냈다.
1494년 12월 사은사에 배명(拜命)되었으나 성종의 죽음으로 중지하였다.
1495년(연산군 1) 한성부좌윤, 같은해 8월 공조참판, 1498년 오위도총부부총관을 겸임하고, 춘추관동지관사(春秋館同知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수에 참여하였다가 완성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문장이 뛰어나 성종 대의 문예에 공헌하였다. 시호는 공숙(恭肅)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조익정(趙益貞))]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乙3‧丙7‧丁23]
전력 진사(進士)
관직 이조참판(吏曹參判)
공신 익대공신(翊戴功臣)
봉호 한평군(漢平君)
문과시제 책문(策問):경륜(經綸)
타과 단종(端宗) 1년(1453) 계유(癸酉) 진사(進士)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조온지(趙溫之)
[조부(祖父)]
성명 : 조안평(趙安平)
[증조부(曾祖父)]
성명 : 조신(趙愼)
[외조부(外祖父)]
성명 : 오축(吳軸)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권관(權關)
본관 : 미상(未詳)
[가족과거]
손(孫) : 조종경(趙宗敬)[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첫댓글 강욱은 진주강씨 은렬공파 후손입니다
진주강씨 누구의 사위도 좋지만
진주강씨 누구는 누구의 후손인가를 가급적 찾아 밝혀 주시는 것도
글을 돋보이게 하는거라고 생각해 주시기를 청합니다
예, 참고하겠습니다.
씨족원류의 저자 조종운(趙從耘)은
강욱의 외손인 조수륜의 손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