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공간의 구획방법(Zoning)
 |
생활공간에 의한 분류 |
- 개인권-부부침실,노인실,자녀실 등과 같은 개인의 독립적 생활공간
- 노동권-조리,세탁,재봉,의류정리 등 주부의 작업공간
- 사회권-온 가족이 모여서 대화를 나누거나 식사를 하고 TV를 보는 등의 공간(거실,식사실,가족실 등)
|
|
|
|
 |
사용 시간별 분류 |
- 낮에 사용되는 공간-거실,식당,부엌
- 낮과 밤에 사용되는 공간-화장실,욕실
- 밤에 사용되는 공간-침실
|
|
|
|
 |
공간별 계획 |
- 구성원 본위가 유사한 것은 서로 접근시킨다.
- 시간적 요소가 같은 것끼리 서로 접근시킨다.
- 유사한 요소는 서로 공용시킨다.
- 상호간의 요소가 다른 것은 서로 격리시킨다.
|
방위에 따른 각 실의 배치
 |
동쪽 |
- 아침 햇살이 깊게 들어오고,여름철에 유쾌한 열을 얻으며,겨울철은 최대한의 열손실을 막는 이중효과를 얻을 수 있다.
|
|
|
서쪽 |
- 계절적 변화가 크며,여름철 오후에 열과 반사가 심하고 깊은 일조를 받는다. 나무를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남쪽 |
- 집의 가장 좋은 방향으로 여름철의 높은 태양 고도,겨울철의 깊은 일사로 블라인드와 지붕창이 햇빛 차단용으로 필요하다.
|
|
|
북쪽 |
- 햇빛이 비치지 않고 거울 찬바람이 불며,일광이 비추어도 매우 적은 양이다,충분한 일조를 위해 큰 창문이 필요하다.하지만 큰 창문의 설치는 열손실의 증대를 가져온다,
|
주택계획의 새로운 방향
생활형태를 고려한 주택 설계방향
구조 및 시공기술을 고려한 주택 설계방향
- 내구성 증대-구조적 내구성과 사회적 내구성을 고려한 주택일 것.
- 유동성-주택내 간막이벽을 사용한 유동성이 큰 주택일 것.
- 모듈 코디네이션(modular coordination)-모듈을 이용한 칫수조정을 함으로써 경제적인 건축이 가능하며 공기가 단축됨은 물론 보수 또한 용이하다.
주생활 수준의 기준
- 주생활수준의 기준은 1인당 주거면적으로 나타내며,주거면적은 주택 연면적에서 현관,복도,부엌,유틸리티,욕실,화장실 등 생활지원 부분을 감한 순수 거주면적으로 건축 연면적의 50~60%정도 차지한다.
1)최소 표준:10㎡/인(실용면적 6㎡,지원부분 4㎡) 2)Frank Am Mein의 국제주거회의:15㎡/인 3)UIOP(세계가족단체협회)의 기준:16㎡/인) 4)숑바르 드로브(chombard de lawve)의 기준 a)병리기준:8㎡/인(거주자의 신체 및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 b)한계기준:14㎡/인(개인,가족적인 거주의 융통성을 보장하지 못함) c)표준기준:16㎡/인(적극적으로 추천)
거실 평면계획
 |
|
- 거실은 공통의 쓰임을 갖는 가족의 단란한 장소이다. 따라서 외부인의 침해를 받는 통로적 성격이나 혹은 응접실에 면해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거실의 위치:남향으로,햇빛과 통풍이 좋고 주거 공간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위치로 침실과는 대칭된 위치가 좋다.
- 거실의 크기
1)그 실내인원의 소요면적으로 결정될 수만은 없다.그 가족의 규모,접객의 필요성,가구의 크기와 사용상의 조건(TV,음악감상 등)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2)일반적 규모는 4-6㎡이다.-5인용 소파와 TV를 시청할 수 있으며 식당을 겸할 수 있는 거실의 넓이는 최소한 16.5㎡(5평)가 적당하나 18~24㎡정도면 더욱 바람직하다.(100㎡내외의 주택에서는 약 20㎡가 필요하다.
- 식당,화장실,부엌 위치와 가까울수록 유리하며 정원,테라스와 연결시킨다.
|
 |
|
- 소형일 경우에는 부엌과 직결하고 대형은 부엌과 식사실 사이에 배선실(pantry)을 가운데 두고 해치나 출입구를 통해 공급한다.
- 위치별 구분
1)분리형-거실이나 부엌과 완전히 독립된 식사실 2)개방형
①리빙 다이닝(living dining):거실내에 커튼이나 스크린만으로 간막이된 식사실 ②다이닝 알코브(dining alcove):거실의 일부에 식탁을 꾸미는 것(보통6~9㎡정도 크기) ③리빙 키친(living kitchen):거실,식사실,부엌을 겸한 것 ④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부엌의 일부에다 간단한 식탁을 꾸민 것 ⑤다이닝 포치(dining porch):여름철 좋은 날씨에 테라스나 포치에서 식사하는 것
3)면적:가족수에 따라 결정되나 최소한 3인가족 5㎡(1.5평),4인가족 7.5㎡(2.25평),6인가족 10㎡(3평)가 요구된다.요즘은 식사실이 가족실을 겸하는 추세로 면적이 커지면서 설비가 고급화되는 경향이 있다. |
부엌 평면계획
 |
|
- 주부의 가사노동권이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으로 항상 쾌적하고 일광에 의한 건조,소독을 할 수 있는 남측이나 동측이 유리하다.
- 배선실(pantry)이나 유틸리티(다용도실)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주택 연면적의 8~12%정도이다. 연면적 100㎡이상의 경우 7%이하도 가능하다.
- 부엌의 크기 결정기준
1)작업대의 면적 2)작업인(주부)의 동작에 필요한 공간 3)수납공간(식기,식품,조리용 기구) 4)연료의 종류와 공급방법 5)주택의 연면적,가족수,평균 작업인 수,경제수준
|
침실 평면계획
 |
|
- 정적이며 무의식적인 생활공간이므로 사적 생활의 확립과 독립된 공간으로서의 기능적 분리가 요구된다.
- 평면계획상 거실,식당,부엌 등의 공간과 구분하여 현관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다.
- 침실별로는 부부침실은 단순한 침실이외에 부부생활을 위해 기밀성이 요구되며,아동침실은 공부방과 유희실을 겸하는 것이 좋으며 야간에는 취침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노인실은 일조가 충분하고 전망이 좋은 조용한 곳으로 아동실에 가까운 주거 중심부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가 좋으며 식당,욕실 및 화장실에 근접시킨다.
- 침실의 사용 인원 수에 따른 1인당 소요 바닥 면적
1)성인 1인당 필요로 하는 신선한 공기 요구량:50㎥/h(아동은 성인의 1/2) 2)소요공간의 크기:자연환기 횟수율 2회/h로 가정하면 50㎥/h÷2회/h=25㎥이다 3)1인당 소요 바닥면적:천장 높이 2.5m인 경우 25㎥÷2.5m=10㎡(아동은 성인의 1/2)
- 반침:가능하면 붙박이 장으로 설치한다.침실 면적의 15~20%정도로 내벽에 면하도록 하고 깊이는 70~80cm정도이다.
|
화장실/욕실 평면계획

 |
|
- 욕실과 화장실은 급.배수의 설비 배관 관계를 고려하여 부엌과 인접시켜 급배수 배관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 욕실:욕실의 크기와 형,세탁겸용 여부,욕실의 설비 정도에 따라 다르다.
①최소:0.9mx1.8m 또는1.8mx1.8m ②보통 1.6~1.8mx2.4~2.7m정도
- 화장실:각 방마다 욕실과 같이 침실 전용으로 두는 방법과 분리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①최소:0.8mx1.2m
- 욕조,세면기,양변기를 함께 설치할 경우:최소1.7mx2.1m
- 근래에는 샤워부스를 설치하는 것이 욕실의 건식화를 위하여 많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 | |
첫댓글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