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sta가 설치된 시스템의 멀티 부트로 XP 설치하기 |
1. 시작하기
2. 준비 작업 1단계-XP 설치 공간 확보
3. 준비 작업 2단계-드라이브 문자 변경
4. 준비 작업 3단계-새로운 파티션 만들기와 파티션 인식 설정 |
http://191029.tistory.com/5?srchid=BR1http%3A%2F%2F191029.tistory.com%2F5
생각보다 쉽죠?
저도 한참을 고민하다가 PC가 느려지다가
오류도 많이 발생하고 하는 순간에
"어차피 다시 까는거 멀티부팅 해보자!"
하는 마음으로 하니까 쉽게 되더라구요^^
겁부터 먹지 마시고 도전하세요~!!!
이번엔 XP가 깔린 PC에 VISTA를
멀티부팅 해보죠^^
XP에 VISTA를 멀티부팅하기는 그냥
일반 XP 까는 것처럼 쉬운데요^^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는 말처럼
꼼꼼하게 검색해서 실수하지 않도록
보고 하자구요~^^
역시 다음하면 카페!!!
카페에서 찾으면 바로 정보확인이 되네요.
자세한 과정을 살펴보면 요런식이에요^^
아주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고 그림도 함께
첨부해놓으셨으니 참 편리하군요.
윈도 XP와 비스타(Vista) 멀티부팅 하기
멀티부팅, 너만 하니! 나도 하자.
윈도우 XP + 윈도우 비스타(Vista)를 한대의 PC에 깔자.
최근 한참 뜨고, PC 유저들이 관심을 갖는 MS의 새로운 운영체제인 윈도 비스타.
윈도 비스타에 관심이 있다고 해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XP 운영체제를 날려버리고
비스타로 갈아타기가 쉽지만은 않다.
특히 윈도 비스타는 처음 윈도우 XP가 나왔을 때도 그랬지만 하드웨어 그리고 응용프로그램등
의 호환성 문제 와 신속한 업데이트가 기대만큼 빠르지 못하고 아직은 낯설다.
윈도 XP에 익숙한 이용자가 갑자기 윈도 비스타를 쓰게 되면 하드웨어 드라이브 설치, 응용
프로그램 등이 달라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때는 지금 쓰고 있는 비스타를 두고 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 XP는 그대로 나두고
윈도 XP나 윈도 비스타를 따로 깔아서 PC를 부팅할 때 XP나 비스타를 고르는 "멀티부팅"을
꾸미면 쉽게 해결된다.
PC는 어떤 운영체제라도 부팅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운영체제를 띄운다.
부팅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부팅과정은 두 단계로 이뤄진다.
1단계는 하드웨어 검사를 하는 부분이다. 2단계는 실제로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부분이다.
멀티부팅은 2단계인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멀티부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부팅과정에서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 부트 로더 "(boot loader)다.
부트로더는 PC에 깔린 운영체제가 몇 개인지 알려주고 선택한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
즉 PC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깔려 있다면 부트 로더는 바로 부팅 파일을 읽어 오지만 만약 두
개 이상의 운영체제가 깔려 있다면 그 두개 이상의 목록이 표시된 창을 띄운 뒤 이용자가 어떤
운영체제를 쓰려는지 물어보고 이용자가 운영체제를 고르면 그것을 부팅 할 때 필요한 부팅
파일을 불러와 운영체제를 띄운다.
부트 로더를 갖춘 윈도 계열은 NT, 2000, XP, 비스타 등이고 리녹스 등이다.
멀티부팅 설치전 준비
1. 윈도 XP 설치 CD
2. 윈도 비스타 설치 CD
3. MS " 닷넷프레임워크 2.0"(Net Framework 2.0) ↓ 내려받기
4. " 비스타 부트 프로 " (Vista boot pro) ↓ 내려받기
http://blogfile.paran.com/BLOG_602984/200705/1179318569_비스타%20부트%20프로.rar
(3번과 4번은 비스타가 설치 된 PC에서 XP 설치후 멀티부팅에 사용.)< 비스타+ XP >
5. DVD - RAM
멀티부팅 하기 내용.
1. 윈도 XP + 윈도 비스타 깔기.
2. 멀티부팅 시 우선 순서로 할 OS를 선택하기. (부팅순서 바꾸기)
3. 윈도 비스타 + 윈도 XP 깔기 또는 멀티부팅에서 OS 다시 깔기.
☞ 멀티부팅 설치 전 조합 알아보기
1. 운영체제를 까는 순서
* 같은 MS 운영체제일 때 : 구형 운영체제를 먼저 깔고 최신 운영체제를 나중에 깐다.
MS 운영체제는 윈도 NT, 윈도2000, 윈도XP 등 NT 계열은 (비스타 포함.) 부트 로더를 가지고 있다.
나중에 설치되는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먼저 깔린 운영체제의 부팅 정보를 더해 멀티부팅 메뉴 만듦.
즉, 서로 다른 운영체제일 때 윈도 계열과 비 윈도 운영체제로 멀티부팅 하려면
윈도를 먼저 깔고 → 비 윈도 운영체제를 나중에 깐다.
( 예 : 윈도XP + 비스타, 윈도 비스타 + 리녹스, 윈도XP + 윈도 비스타 + 리녹스 등 순서로 설치 )
* 윈도 비스타를 먼저 깔고 윈도 XP를 깔면 윈도 비스타의 부트 로더가 지워져서 부팅을 할 수 없다.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는 부트 로더를 쓰지만 윈도 XP는 NT 로더를 쓰고 윈도 비스타는 BCD
( boot config data )를 쓴다. BCD는 NT 로더가 버전업된 것이다. 윈도 XP의 부트 로더가 상위
버전인 윈도 비스타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이유 때문이다.
( 참조 : 윈도 비스타 + 윈도 XP 설치는 '닷넷프레임워크와 비스타 부트 프로'를 윈도XP에 설치 필요.)
2.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이 필요 하다.
같은 파티션에는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를 설치 할 수 없다.
각 운영체제를 다른 파티션에 깐다는 것이다.
파티션(드라이브)이 멀티부팅 하려는 운영체제의 숫자 이상 있어야 한다.
(예 :윈도 XP 와 윈도 비스타를 멀티부팅 하려면 C: 드라이브에 (윈도XP), D: 드라이브에(윈도비스타 )
윈도 XP + 윈도 비스타 순서로 설치 하기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는 같은 파티션에 깔 수 없으므로 하드디스크가 하나라면 파티션을 두 개
이상으로 나눠야 한다. 윈도 XP가 설치된 PC에 파티션이 두 개 이상이라면 바로 비스타를 깔 수
있지만 하나의 파티션에 윈도 XP가 깔려 있다면 윈도 XP를 새로 깔면서 파티션을 나눈다.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 모두 FAT 32와 NTFS 파티션을 쓸 수 있다.
FAT 32 보다는 NTFS가 성능과 보안성이 좋으므로 포맷을 할 때 NTFS를 고른 뒤 포맷 한다.
윈도 XP 설치 CD로 파티션 나누고 깔기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은 여럿 있지만 그중에서 윈도 XP 깔면서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으로 한다.
이 방법은 하드디스크의 데이터를 모두 날려버리는 방법 이지만, 이번 기회에 파티션을 운영체제
이상으로 나누워 윈도 XP나 윈도 비스타를 쓰면서 중요한 파일을 보관하는 창고라는 파티션을
만들어서 시스템 오류나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하더라도 안전하게 파일을 보관하는 파티션 만들자.
( 원래 쓰던 파티션에 데이터를 지우지 않고 멀티부팅을 하고 싶다면 " 윈도 관리 도구" 에서 또는
파티션 매직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파티션을 나눈다. )
1. 부팅중에 " Del " 키나 " F2 " 키를 눌러서 바이오스로 진입한다.
바이오스 창이 뜨면 CMOS Setup에서 부팅 우선 순서를 CDROM 으로하고 F10 키를 눌러서 저장 후
다시 부팅 한다.
2. 윈도 XP 설치 CD를 드라이브에 넣고 시스템을 켜면 CD-ROM 으로 부트하는 과정에 엔터(Enter)를
치면 윈도 XP 설치 창이 열린다.
3 . 설치과정이 진행되면 현재 파티션 상태가 보인다.
파티션( 하드디스크)이 한 개 일 경우 파티션을 2개 이상으로 나누워야 하니 그 파티션을 선택하고 →
< D > 키를 눌러서 파티션을 지운다.
( 파티션이 2개 이상이라면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 각각의 파티션에 XP와 윈도 비스타를 깔면 된다. )
파티션 삭제 엔터( Enter ) 키 눌러서 삭제.
( L ) 키 눌러서 삭제 확인.
4. 파티션을 삭제하고 나면 " 분할되지 않은 공간 " 으로 표시 된다.
" 분할되지 않은 공간에 파티션을 만들기 " < C > 키를 눌러서 파티션을 3개 정도로 만든다.
( 윈도 XP, 윈도 비스타, 자료 보관용 파티션 해서 3개를 만든다. )
운영체제를 깔 파티션의 크기는 20GB ~ 30GB 정도로 한다. ( 개인에 맞게 설정. )
중요한 자료 보관용 파티션을 가장 크게 잡는 것이 좋다. ( 프로그램등도 설치.... )
5. 만들 파티션의 크기를 입력하고 → 엔터( Enter ) 키를 눌러 파티션을 만든다.
( 예: 80G 가일 때 20GB, 20GB, 40GB 식으로 3개 )
C 드라이브로 쓸 디스크의 용량을 적는다. 여기서는 전체 80GB 중에서 20GB를 잡으면
20GB를 뺀 나머지가 아직 " 분할되지 않은 공간 " 으로 나온다.
( 60GB )정도 이것을 고른 뒤 다시 " C " 키를 눌러서 나머지 파티션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파티션
을 파티션을 2개 더 만들어 3개 정도로 만든다.
6 . 파티션을 다 나누면 윈도 XP를 설치 할 C: 파티션을 선택하여 NTFS 형식의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하면 윈도 XP가 깔린다.
윈도 XP를 C드라이브에 깔고나면 윈도 비스타를 D 드라이브에 깐다.
1. 윈도 비스타 깔기
2 . 드라이브 옵션(고급)(A)를 클릭하면 파티션을 포맷 하거나 파티션을 나눌수 있다.
( 파티션을 나누고자하면 사용.)
3. 새로 만들기(W) 클릭하면 파티션을 나눌수 있다.
4. 윈도 비스타를 깔 드아이브를 고르고 → 포맷을 눌러서 포맷하고 윈도 비스타를 설치 한다.
5. 아래 이미지는 각각 드라이브에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를 깐 이미지.
( 푸닥이 삼촌은 하드디스크 4개를 여러 파티션으로 나눠 각각 드라이브를 용도에 맞게 사용.)
6. 시스템을 부팅하면 윈도 비스타의 부트 로더 BCD 화면이 뜬다.
원하는 운영체제를 골라 부팅할 수 있다.
멀티부팅 순서 바꾸기
1. 우선 윈도 비스타로 부팅 한다.
시작 → 제어판 → 시스템 → 고급시스템 설정 → 시스템 속성 → 고급 → 시작 및 복구 에서
시스템 시작 할 기본 운영 체제를 고르고 확인하면 부팅 순서가 바뀐다.
2. 윈도 비스타의 부트 로더 BCD 화면이 뜬 다음, 운영 체제 목록을 표시할 시간을 조정 한다.
윈도 비스타가 깔린 PC에 윈도 XP 깔 때 또는 OS 다시 깔기
윈도 비스타가 설치된 PC를 쓰다가 이전버전인 윈도 XP를 깔아 사용하려 할 때 나중을 생각해서라도
윈도 비스타를 지워버리기엔 아쉬움이 남는다. 윈도 비스타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윈도 XP를 깔 수는
없을까? 또는 윈도를 깔고 쓰다가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윈도를 다시 깔아야 할 때는 어떻게 하나!
쓰고 있는 운영체제가 하나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두개 이상이라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가 깔린 멀티부팅에서 윈도 비스타는 다시 깔아도 자동으로 멀티부팅을 할 수
있지만, 윈도 비스타가 깔린 PC에서 윈도 XP를 깔거나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를 멀티부팅으로 쓰는
PC에서 윈도 XP를 다시 깔면 윈도 비스타가 부팅되지 않는다.
* 윈도 비스타를 먼저 깔고 윈도 XP를 깔면 윈도 비스타의 부트 로더가 지워져서 부팅을 할 수 없다.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는 부트 로더를 쓰지만 윈도 XP는 NT 로더를 쓰고 윈도 비스타는 BCD
( boot config data )를 쓴다. BCD는 NT 로더가 버전업된 것이다. 윈도 XP의 부트 로더가 상위
버전인 윈도 비스타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이유 때문이다.
이때는 " 비스타 부트 프로 "(Vista boot pro)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
" 비스타 부트 프로 "는 윈도 비스타의 부트 로더인 BCD를 고치거나 복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윈도 XP를 다시 깔고 " 닷넷프레임워크 2.0 "과 " 비스타 부트 프로 "를 깔아서 BCD를 복구하면 된다.
복구하여 멀티부팅을 할 수 있다. 윈도 비스타와 윈도 XP에 모두 깔아서 쓸 수 있다.
윈도 비스타에서 윈도 XP 깔 때 또는 윈도 XP를 새로 깔 때.
1. 윈도 XP설치 CD를 넣고 설치과정에서 윈도 XP가 깔려있던 파티션(여기서는 < C >드라이브)을
선택해서 포맷한 뒤 윈도 XP를 깐다. 윈도 XP를 깐 뒤 아직은 윈도 XP만 부팅이 된다.
우선 윈도 XP를 깐 다음에 바이오스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고 하드웨어와 프로그램 등을 모두 설치
하고 다음에 " 닷넷프레임워크 2.0"과 " 비스타 부트 프로 "를 내려 받는다.
( 윈도 비스타가 깔려 있는 시스템에서는 파티션이 하나라면 윈도 비스타 →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파티션을 2개 이상으로 나눈다. )
2. " 닷넷프레임워크 "(Net Framework 2.0)을 깔 고 윈도를 재부팅 한다.
"비스타 부트 프로"(VistaBootPRO)는 동작을 위해 " 닷넷프레임워크 2.0 "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MS " 닷넷프레임워크 2.0"(Net Framework 2.0) ↓ 내려받기
3. " 비스타 부트 프로 "(VistaBootPRO)를 깐다.
" 비스타 부트 프로 " (Vista boot pro) ↓ 내려받기
http://blogfile.paran.com/BLOG_602984/200705/1179318569_비스타%20부트%20프로.rar
4. 비스타 부트 프로를 실행하고 " Bootloader "를 누른다.
5. Reinstall the Vista Bootloader를 고른 뒤 → Configure lt 버튼을 누른다.
6. Manage Entries 를 누른다. 아래에 Add an Entry에서 Legacy OS(이미지 1번)에 체크하고
Driver Letter(이미지2번)에는 C를 넣는다.
Entry Name:에는 원하는 대로 이름을 수정하여 쓰고
7. 이미지 1번에 Reorder Entries에서 부팅 시 우선 순서로 할 OS를 선택하고 이미지 2번에
Up + Down 을 눌러서 상위에 놓는다.
이미지 3번에 Add 버튼을 눌러서 PC를 재부팅하면 이제 멀티부팅 메뉴가 뜬다.
윈도 비스타를 다시 깔 때
윈도 비스타는 윈도 비스타 설치 과정에서 윈도 비스타가 깔려있던 파티션( 여기서는 하드디스크 3 에
파티션 1 드라이브 )에 새로 깔면 된다.
윈도 비스타는 상위버전이기에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멀티부팅 메뉴가 그대로 뜬다.
드디어 모든 작업이 끝이다. ^^
글 : 푸닥이 삼촌
자~ 이제는 멀티부팅으로 기사에 뜬 비스타에관한
장점, 단점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체험 해보는게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