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업무에 관심과 애정을 가져 주신 점 깊이 감사드리며, 귀하께서 우리 부에 제출한 민원사항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질의내용
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8조제1항에 앞서 같은 법 제66조 제4항을 근거로 교육지원청 소유의 편입토지에 대하여 무상양여가 아닌 매각요청이 가능한지, 매각요청이 불가하다면 손실보상청구가 가능한지
나. 가항이 불가능하다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8조1항으로 무조건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양여를 해야 하는지
다. 나항만 가능하다면 현재는 행정재산으로 해당하므로 행정재산등의 용도와 성질을 유지할 것등을 부여(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제19조)하여 양여하되 현 용도에서 벗어나는 필지는 무상양여하지 않고 존치하거나 매각요청을 할 수 있는 것인지
2. 회신내용
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8조제1항에 따라 주거환경개선구역에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는 토지는 같은 법 제28조제4항에 따른 사업시행인가의 고시가 있은 날부터 종전의 용도가 폐지된 것으로 보며, 「국유재산법」,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및 그 밖에 국유지・공유지의 관리 및 처분에 관하여 규정한 관계 법령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으로 양여됩니다.
나. 같은 법 제68조제1항 단서에 따라 「국유재산법」 제6조제2항에 따른 행정재산은 국・공유지 무상양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을 것이나, 동 행정재산이 행정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같은 법 제68조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시장・군수와 협의 시 당해 관리청에서 무상양여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을 알려드립니다.
다. 아울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65조제1항에서는 시장・군수 또는 주택공사등이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새로이 정비기반시설을 설치하거나 기존의 정비기반시설에 대체되는 정비기반시설을 설치한 경우에는 「국유재산법」,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정비기반시설은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으로 귀속되고 새로이 설치된 정비기반시설은 그 시설을 관리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귀속됨을 알려드립니다.
라. 참고로, 정비기반시설에 해당하는 도로는 「도로법」 제23조에 따라 도로관리청이 관리하는 도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0조에 따라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되어 설치된 도로, 「도시개발법」 등 다른 법률에 따라 설치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도로, 그 밖에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른 공유재산 중 일반인의 교통을 위하여 제공되고 있는 부지를 말합니다.
3. 추가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우리부 주택정비과(업무담당 김준영 ☏ 044-201-3386, 이메일 kjy2543@korea.kr)로 문의하여 주시면 친절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붙임 : 처리결과통보서 1부. 끝.
첨부파일
목록
첫댓글 정확한 답변입니다.
특히,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경우는 말할것도 없이 무상양여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주택재건축사업의 경우는 둔촌의 경우처럼 유상일 것입니다.
따라서 둔촌경우는 정비구역 내 국'공유지는 무상범위 내에서만 사업용지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국공유지로 남겨 단지 내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설계를 했어야 합니다.
한마디로 둔촌의 조합장은 도시계획을 모르는 자 이기에 약 1천억원의 비용이 추가부담하게 된 것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