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없는 날' 동참 거부한 쿠팡 "과로사 문제 방치하나"
진보당 고양시지역위, 민주노총 고파지부
14일 오금동 쿠팡5캠프 앞 기자회견
[고양신문] 연일 폭염날씨가 지속되는 가운데 쿠팡 물류 자회사인 쿠팡 로지스틱스서비스(이하 쿠팡CLS)가 택배노동자들의 공식적 휴가일로 지정된 ‘택배없는 날’(8월 14~15일)에 대해 참여를 거부해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진보당 고양시지역위원회와 민주노총 고양파주지부는 14일 덕양구 오금동에 자리한 쿠팡5캠프 앞에서 택배없는 날 참여를 거부한 쿠팡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택배없는 날’은 2020년 당시 고용노동부와 한국통합물류협회, 택배 4사가 택배 종사자들의 휴식보장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지정한 날로 올해로 다섯 번째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쿠팡 CLS는 아직까지 ‘택배없는 날’과 ‘과로방지 사회적 합의’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참석자들은 “쿠팡은 CLS라는 택배자회사를 설립하고 소속 정규직 기사 대다수를 위수탁 택배노동자로 이전시켰으며 이로 인해 1만여 쿠팡택배 노동자들은 타 택배사 택배노동자들과 마찬가지로 주6일 근무에 연월차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그러함에도 쿠팡은 자신들이 ‘택배사업자’가 아닌 ‘유사택배’업체라고 주장하며 사회적합의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들은 “쿠팡의 동참거부로 인해 오히려 쿠팡 택배노동자들은 택배없는 날에 물량이 더욱 몰리면서 과로 위험에 처하고 있다”며 “택배없는 날의 취지와 가치가 쿠팡의 무임승차 행위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송정현 전국택배노조 쿠팡택배 일산지회장은 “얼마 전 쿠팡 배송 노동자 정슬기 님의 과로사 사건 발생 이후에도 쿠팡은 아직까지 책임회피로 일관하고 있다”며 “쿠팡이 노동자들의 죽음에 진정으로 책임을 느낀다면 즉각 사죄하고 택배노동자 과로사 방지를 위한 사회적합의에 동참할 것을 약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영주 진보당 고양시지역위원장은 “택배없는 날의 취지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택배사들이 일정정도 공정한 부담을 해야 한다. 이를 회피하는 쿠팡의 이기주의적 행태에 대한 관리감독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고 주장하며 정부의 책임있는 대처를 촉구하기도 했다.
남동진 기자 xelloss1156@mygoyang.com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