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들, 색조화장품 및 편리한 화장품 선호 -
- 특색있는 립제품, 진출 성공 가능성 높아 -
□ 멕시코 화장품 산업 현황
ㅇ 산업규모
- 멕시코 화장품산업 회의소(Canipec : Cámara Nacional de la Industria de Productos Cosméticos)에 따르면, 멕시코는 화장품 소비 10위 국가
· 미용과 관련된 산업은 멕시코 GDP의 1%를 차지하며 약 30만 명 이상의 직접고용을 창출
ㅇ 화장품 구매주기
-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 주기는 일반적으로 1개월에서 2개월 이내인 것으로 조사됨
· 라이프스타일 잡지인 Merca 2.0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41.2%가 매월 화장품을 구매하고, 2개월마다 구매한다고 답한 응답자는28.4%, 3개월마다 구매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9.6%임.
ㅇ 색조화장품 시장규모 확대
- 리서치 전문기업인 Euromonitor에 따르면 2016년 멕시코 색조화장품 시장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21억 달러 규모로 성장
· 2015년 색조화장품 시장 성장률은 6%
- 향후 색조화장품 시장의 규모는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가성비가 우수한 한국산 화장품의 진출전망이 밝을 것으로 전망
ㅇ 편리함을 추구하는 멕시코 소비자들
- 2016년 멕시코 화장품 시장에 콤팩트 쿠션이 등장하여 인기를 끌기 시작
· 콤팩트 쿠션은 콤팩트 파우더 용기에 액체 파운데이션이 담겨 있는 화장품으로 한국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화장품임
- 콤팩트 쿠션 화장품은 더 수분기 있고 가벼운 화장을 연출할 수 있으며 휴대성이 좋다는 점에서 인기를 끌고 있음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345%2F20170729093856950_5FZICB16.png)
자료원 Lancôme, Clinique
- 세트, 키트 제품은 한 제품으로 다양한 색조 화장이 가능하고 휴대가 편하다는 이점 때문에 2016년 판매량이 전년대비 8% 상승함
· 멕시코에서 판매되는 색조 화장품 세트, 키트 제품 중 아이섀도 팔레트가 가장 인기 있는 상품
· 또한 블러셔, 아이섀도, 립스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색조 화장품을 결합한 세트 및 키트 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음
□ 주요 기업 정보
ㅇ Dirsamex SA de CV in Beauty and Personal Care
- 독일에 모기업을 두고 있는 미용제품 회사로 대표 브랜드인 Jafra를 통해 멕시코 화장품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향수, 색조화장, 스킨케어, 선케어, 유아용 제품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 젊은층 소비자들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음
- 대부분의 소비자층은 중산층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음
- Euromonitor에 따르면 2016년 색조화장품 분야 매출 4위, 점유율 8.1%를 기록했음
ㅇ Perfumes & Esencias Fraiche SA de CV in Beauty and Personal Care
- 1989년 설립된 멕시코 기업
- 멕시코 주요 화장품 프랜차이즈 회사로 중저가의 제품을 판매하고 멕시코 주요 도시들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 주로 향수, 데오도란트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구매한 향수를 담는 병의 디자인이나 색을 선택할 수 있음
- 제품의 홍보를 위해 Facebook, Twitter, Youtube 등 SNS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음
- 2016년 멕시코 화장품 시장에 콤팩트 쿠션이 등장해 인기를 끌기 시작하고 있음.
□ 수입동향
ㅇ 관세
- 멕시코 내 주요 화장품 관세율은 10~15%로 조사됨
주요 화장품 관세율
HS CODE | 품명 | 일반관세율(%) |
3304.10.01
| 입술 화장용 제품
| 10
|
3304.20.10
| 눈 화장용 제품
| 10
|
3304.30.01
| 매니, 페디큐어 제품
| 10
|
3304.91.00
| 가루
| 10
|
3304.99.01
| 유액
| 15
|
3304.99.99
| 기타
| 10
|
* 멕시코 hs code 기준
자료원: 멕시코 관세청
ㅇ 주요 화장품 수입국
- 미국은 멕시코 화장품 수입시장의 약 40%를 차지하며 수입국 1위, 수입규모는 약 2억 달러 수준
- 미국을 제외하면 대부분 수입물량을 FTA를 체결한 유럽에서 구입하고 있음.
최근 3년간 화장품 수입규모 상위 10개국 수입동향(단위: 백만 달러)
순위 | 국가 | 2014 | 2015 | 2016 |
1 | 미국 | 185 | 205 | 202 |
2 | 프랑스 | 79 | 77 | 79 |
3 | 중국 | 25 | 31 | 36 |
4 | 콜롬비아 | 21 | 22 | 28 |
5 | 캐나다 | 25 | 20 | 21 |
6 | 브라질 | 15 | 11 | 21 |
7 | 스페인 | 14 | 17 | 20 |
8 | 이탈리아 | 16 | 17 | 20 |
9 | 독일 | 12 | 12 | 13 |
10 | 폴란드 | 10 | 9 | 12 |
| 합계 | 464 | 482 | 515 |
주: HS CODE 3304(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약품을 제외하며, 썬스크린과 썬텐 제품류를 포함한다) 및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류)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대한 수입동향
- 최근 3년 동안 한국의 대멕시코 화장품 수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수출액은 2015년 95%, 2016년 73.6% 증가했으며 2017년 6월 누계 기준 122% 증가
한국화장품 수입동향(MTI 코드 2273 기준)
(단위: 천 달러)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인증절차 및 제도
ㅇ 인증
- 현재 화장품 수입에 관한 특별한 검사는 없음.
· 화장품에 사용되는 옥살산(Acido oxalico), D 글루코스(D glucosa anhidra), 황색, 청색 에오신(Eosina amarillenta, azulada)등 대부분의 성분은 인증 없이 멕시코 세관에 신고하기만 하면 됨
·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 바람(연방관보에 공표된 인증 불필요 항목)
□ 전망 및 시사점
ㅇ 립 관련 제품 유망할 것으로 전망
- 립 제품 특히 립스틱의 경우 멕시코 화장품 기본 품목 중의 하나로 향후 매출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
- 여러 색상과 수분 충분 등의 기능을 결합한 립 제품을 유통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
· 단, 한국인 여성들과 다르게 화려한 색조 화장방법을 선호하는 등 문화적 차이를 염두에 두고 철저한 시장조사를 해야 실패를 줄일 수 있음.
- 또는 여성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키는 독특한 디자인 상품도 인기가 있을 것으로 보임.
· 예를 들어, 세일러문 컬렉션 화장품은 90년대 애니메이션을 보고 자란 젊은 층을 타깃으로 판매됨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345%2F20170729094219537_P7PJ0X5Q.png)
자료원 : Diario de Yucatan
- 최근 멕시코에서는 집중력 향상을 목적으로 ‘Fidget Spinner’라는 상품이 인기를 끌었음. 이런 인기에 힘입어 관련 립글로스 제품이 판매되기도 했음.
· Fidget Spinner는 손가락으로 중앙 부분을 잡고 돌리는 장난감으로 집중력 향상에 좋다고 알려짐.
- 향후 한국 업체들도 멕시코 내 유행을 조사해 멕시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끈다면 진출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Glamspin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ews.kotra.or.kr%2Fcrosseditor%2Fbinary%2Fimages%2F000345%2F20170729094233197_J2NIOS2F.png)
자료원: Glamspin 홈페이지
자료원: Glamspin 홈페이지, Diario de Yucatan, 한국무역협회, World Trade Atlas, Lancôme, Clinique, Merca 2.0, 멕시코 화장품산업 회의소(Canipec : Cámara Nacional de la Industria de Productos Cosméticos), 멕시코 연방관보(DOF)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