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이사명(居易俟命)
현재의 처지에서 편안하게 하면서 천명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자신의 지위나 처지에 맞춰 합당하게 최선을 다한 뒤에 그 결과를 하늘에 맡기는 것을 말한다.
居 : 있을 거(尸/5)
易 : 쉬울 이(日/4)
俟 : 기다릴 사(亻/7)
命 : 목숨 명(口/5)
출전 : 중용(中庸)
이 성어는 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저작이며 사서(四書)의 하나이며 동양철학의 중요한 개념을 담고 있는 중용(中庸) 14장에 나오는 말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君子素其位而行, 不願乎其外.
군자는 현재 자신이 처한 위치에 맞게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내 분수 밖의 것은 원하지 않는다.
素富貴, 行乎富貴;
素貧賤, 行乎貧賤;
素夷狄, 行乎夷狄;
素患難, 行乎患難;
君子無入而不自得焉.
현재 부귀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 부귀한 처지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현재 빈천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 빈천한 상황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현재 오랑캐의 나라에 있는 상황이라면 오랑캐 나라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현재 환란의 상황이 닥친 상황이라면 환란의 상황 속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니, 군자는 어떤 상황에 처하더라도 스스로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
在上位, 不陵下;
在下位, 不援上.
윗 자리에 있으면 아랫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고, 아랫 자리에 있으면서 윗 사람에게 매달리지 않는다.
正己而不求於人, 則無怨,
上不怨天, 下不尤人.
자기를 바르게 하고 남에게 요구하지 않으면 원망할 일이 없으니,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아래로는 남을 탓하지 않는다.
故君子居易以俟命, 小人行險以徼辛.
고로 군자는 현재의 위치에서 편안하게 하면서 천명(天命)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짓을 행하면서 요행(徼幸)을 바란다.
子曰: 射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
공자가 말하기를 “활쏘기는 군자의 자세와 유사한 점이 있으니, 활을 쏘아 정곡을 맞추지 못하면 자신을 돌이켜 그 원인을 찾는다.'고 했다.
거이사명(居易俟命)
君子居易以俟命(군자거이이사명)
小人行險以徼幸(소인행험이요행)
군자는 편안함에 처하여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짓을 하며 요행을 바란다.
중용(中庸)에 나오는 구절이다. 군자와 소인은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을 가리키는 말로서 원래는 신분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공자는 거기에 도덕적인 의미를 부가해 수양을 통해 내면의 덕성과 도의를 갖춘 사람을 군자라 부르고, 신분과 지위가 높아도 도의를 저버리고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을 소인이라 불렀다. 이후 군자는 오랫동안 유교의 이상적인 인간형이 되었다.
편안함에 처한다는 말은 자신의 지위나 처지에 맞춰 합당하게 행동하는 것을 말하고, 천명을 기다린다는 말은 최선을 다한 뒤에 그 결과를 하늘에 맡기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자신의 직분과 상황에 합당하지 않은 짓을 하면서 요행을 바라는 것은 소인의 길이다.
군자와 소인은 현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용어지만, 그 내적 함의는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자면 군자는 자신의 직분에 합당하게 행동하며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을 가리키고, 소인은 자신의 분수에 맞지 않게 행동하며 요행을 바라는 사람이다.
요즈음 가상화폐 거래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가상화폐 거래가 정상적인 투자 행위인지 비정상적인 투기 행위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주식, 부동산, 가상화폐를 막론하고 재테크에 과도하게 매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재테크에도 군자의 길과 소인의 길이 있다.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맞게 적절히 투자하되 그 결과에 담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군자의 길이고, 한탕주의에 빠져 무리한 투자를 하면서 그 결과에 일희일비하는 것은 소인의 길이다.
시대가 바뀌고 제도가 변해도 삶의 기본적인 양태는 큰 차이가 없다. 고전의 지혜가 오늘날에도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 居(살 거, 어조사 기)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주검시엄(尸; 주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古(고; 고정시키는 일,거)로 이루어졌다. 앉아서 거기에 있음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居자는 ‘살다’나 ‘거주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居자는 尸(주검 시)자와 古(옛 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古자는 방패와 입을 함께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모양자 역할만을 하고 있다. 居자의 금문을 보면 尸자와 古자가 함께 그려져 있었다. 그런데 글자의 조합이 마치 사람이 의자에 앉아있는 듯한 모습을 연상케 한다. 居자는 이러한 모습을 통해 ‘앉다’나 ‘자리를 잡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였다. 하지만 후에 뜻이 확대되면서 한곳에 정착한다는 의미에서 ‘거주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居(거, 기)는 ①살다, 거주하다 ②있다, 차지하다 ③처지에 놓여 있다 ④벼슬을 하지 않다 ⑤자리 잡다 ⑥앉다 ⑦쌓다, 저축하다 ⑧곳, 자리, 거처하는 곳 ⑨집 ⑩무덤 ⑪법(法), 법도(法度) ⑫저축(貯蓄) ⑬까닭, 이유(理由) ⑭평상시(平常時), 보통(普通) 때 ⑮살아 있는 사람, 그리고 ⓐ어조사(語助辭)(의문)(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로 살 주(住), 살 활(活), 깃들일 서(栖)가 있다. 용례로는 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머물러 사는 거주(居住), 평소에 기거하는 방을 거실(居室), 정해 두고 항상 있는 곳을 거처(居處), 집에서 한가롭게 지냄을 거가(居家), 일시적으로 머물러 삶을 거류(居留), 산 속에 삶을 거산(居山), 보통 때를 거상(居常), 그 땅에 오래 전부터 사는 백성을 거민(居民), 부모의 상을 당하고 있음을 거상(居喪), 그 자리에 머물러 있으며 살아감을 거생(居生), 잠시 몸을 의탁하여 거주함을 거접(居椄), 흥정을 붙이는 일을 거간(居間), 첫째 자리를 차지함이나 두목이 됨을 거갑(居甲), 항상 마음을 바르게 가져 덕성을 닦음을 거경(居敬), 굵고 큰 나무를 거목(居木), 이편과 저편의 사이에 있음을 거중(居中), 사는 마을을 거촌(居村), 머물러 살음이나 어떤 곳에 자리잡고 삶 또는 그 집을 주거(住居), 타향에서 거주함을 객거(客居), 세상을 피해 숨어 삶을 은거(隱居), 무리 지어 삶을 군거(群居), 나가서 활동하지 않고 집에 틀어박혀 있음을 칩거(蟄居), 한 집에 같이 거주함을 동거(同居), 따로 떨어져서 살음을 별거(別居), 살아가는 형편이나 손님을 맞으러 일어남을 기거(起居), 혼자서 삶이나 홀로 지냄을 독거(獨居), 평안할 때에도 위험과 곤란이 닥칠 것을 생각하며 잊지말고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거안사위(居安思危), 사람은 그가 처해 있는 위치에 따라 기상이 달라지고, 먹고 입는 것에 의해 몸이 달라진다는 거이기양이체(居移氣養移體), 살아감에 편한 것만 구하지 말라는 거무구안(居無求安) 등에 쓰인다.
▶️ 易(바꿀 역, 쉬울 이)는 ❶상형문자로 昜(이)는 동자(同字)이다. 반짝반짝 껍질이 빛나는 도마뱀의 모양이란 설과 햇볕이 구름사이로 비치는 모양이란 설 따위가 있다. 도마뱀은 아주 쉽게 옮겨 다니므로 바뀌다, 쉽다는 뜻으로 되고 햇볕도 흐렸다 개였다 바뀌며 햇살은 어디나 비치므로 쉽다는 뜻이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易자는 ‘바꾸다’나 ‘쉽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易자는 日(해 일)자와 勿(말 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易자의 갑골문을 보면 그릇이나 접시를 기울여 무언가를 쏟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그릇에 담겨있는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담는다는 뜻이다. 그릇에 담긴 것을 내다 버리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易자에는 ‘쉽다’라는 뜻도 파생되어 있다. 이때는 ‘이’로 발음을 한다. 그래서 易(역, 이)는 ①바꾸다, 고치다 ②교환(交換)하다, 무역(貿易)하다 ③전파(傳播)하다, 번지어 퍼지다 ④바뀌다, 새로워지다 ⑤다르다 ⑥어기다(지키지 아니하고 거스르다), 배반하다 ⑦주역(周易), 역학(易學) ⑧점(占) ⑨점쟁이 ⑩바꿈 ⑪만상(萬象)의 변화(變化) ⑫국경(國境) ⑬겨드랑이 ⑭도마뱀(도마뱀과의 파충류) 그리고 ⓐ쉽다(이) ⓑ편안하다, 평온하다(이) ⓒ경시(輕視)하다, 가벼이 보다(이) ⓓ다스리다(이) ⓔ생략(省略)하다, 간략(簡略)하게 하다(이) ⓕ기쁘다, 기뻐하다(이) ⓖ평평(平平)하다, 평탄(平坦)하다(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될 화(化)이다. 용례로는 얼굴빛을 바꾸어 어진 이를 공손히 맞이함을 역색(易色), 나라의 왕조가 바뀜을 역성(易姓), 음양으로 길흉 화복을 미리 아는 술법을 역수(易數), 점치는 일로 업을 삼는 사람을 역자(易者), 바꾸어 놓음을 역치(易置), 초벌로 쓴 원고를 고침을 역고(易藳), 사태의 판국을 바꾸어 놓음을 역국(易局), 솜씨를 바꾼다는 뜻으로 여러가지 방법이나 수단을 써서 탐욕스럽게 남에게서 재물을 뜯어냄을 이르는 말을 역수(易手), 줄을 바꾸어 맨다는 뜻으로 종전의 규정이나 법규를 고치어 바꿈을 이르는 말을 역현(易絃), 이곳 물건과 저곳 물건을 팔고 삼을 무역(貿易), 서로 물건을 사고 팔아 바꿈을 교역(交易), 고치어 바꿈을 개역(改易), 해가 바뀜을 삭역(朔易), 바꾸어 고칠 수 없음 또는 그리하지 아니함을 불역(不易), 격한 마음을 누그려뜨려 기색을 즐겁고 편안하게 함을 이기(易氣), 군대의 양성에 관한 일을 소홀히 하는 일을 이사(易師), 아주 쉬움을 용이(容易), 간단하고 쉬움을 간이(簡易), 까다롭지 않고 쉬움을 평이(平易), 어려움과 쉬움을 난이(難易), 몸가짐이나 언행이 까다롭지 않고 솔직함을 솔이(率易), 글에 담긴 뜻이 얕고 쉬움을 천이(淺易), 처지를 서로 바꾸어 생각함이란 뜻으로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해 봄을 역지사지(易地思之),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소년이로학난성(少年易老學難成), 목이 마른 자는 무엇이든 잘 마신다는 갈자이음(渴者易飮), 머리를 잘라 술과 바꾼다는 절발역주(截髮易酒),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에서 생겨난다는 난사필작이(難事必作易), 쉽기가 손바닥 뒤집는 것과 같다는 이여반장(易如反掌), 내 자식과 남의 자식을 바꾸어서 가르친다는 역자이교지(易子而敎之), 양으로 소와 바꾼다는 이양역우(以羊易牛), 하늘을 옮기고 해를 바꾼다는 이천역일(移天易日), 횡포로써 횡포함을 바꾼다는 이포역포(以暴易暴), 변하지 않고 바뀌지 않는다는 불천불역(不遷不易),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절지지이(折枝之易), 남을 헐뜯는 나쁜 말을 하기 쉽다는 악어이시(惡語易施), 작은 것으로 큰 것과 바꾼다는 이소역대(以小易大), 싸우기는 쉬워도 지키기는 어렵다는 전이수난(戰易守難), 식량이 없어 자식을 바꾸어 먹는다는 역자이식(易子而食), 진을 치면서 장수를 바꾼다는 임진역장(臨陣易將) 등에 쓰인다.
▶️ 俟(기다릴 사, 성씨 기)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矣(의, 사)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俟(사, 기)는 ①기다리다 ②대기(待機)하다 ③떼지어 가다 ④가는 모양 ⑤서행하는 모양, 그리고 ⓐ성(姓)의 하나(기)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시간이나 기회의 틈이 생기기를 기다림을 사극(俟隙), 임금의 명령을 기다림을 사명(俟命), 많은 사람이 떼를 지어 천천히 걷는 모양을 사사(俟俟), 기다리지 아니함 또는 기다리지를 못함을 불사(不俟), 언제나 흐려서 누런 황하의 물이 맑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될성부르지 않은 일을 기대한다는 말을 사하청(俟河淸), 가만히 기다리고 있다는 말을 정이사지(靜而俟之), 물이 맑아지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는 말을 여사하청(如俟河淸), 현재의 처지에서 편안하게 하면서 천명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자신의 지위나 처지에 맞춰 합당하게 최선을 다한 뒤에 그 결과를 하늘에 맡긴다는 말을 거이사명(居易俟命), 항상 흐린 황하의 물이 천년에 한번 맑아진다는 뜻으로 기다릴 수가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하청난사(河淸難俟) 등에 쓰인다.
▶️ 命(목숨 명)은 ❶회의문자로 입 구(口; 입, 먹다, 말하다)部와 令(령)의 합자(合字)이다. 입(口)으로 뜻을 전한다는 뜻으로, 곧 임금이 명령을 내려 백성을 부린다는 뜻으로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命자는 ‘목숨’이나 ‘명령’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命자는 亼(삼합 집)자와 口(입 구)자, 卩(병부 절)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亼자는 지붕을 그린 것으로 여기에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을 그린 卩자가 더해진 命자는 대궐에 앉아 명령을 내리는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상관이 내리는 명령은 반드시 목숨을 걸고 완수해야 한다. 그래서 命자는 ‘명령’이라는 뜻 외에도 ‘목숨’이나 ‘생명’이라는 뜻이 파생되어 있다. 그래서 命(명)은 (1)목숨 (2)운명(運命) 등의 뜻으로 ①목숨, 생명(生命), 수명(壽命) ②운수(運數), 운(運) ③표적(標的), 목표물(目標物) ④명령(命令), 분부(分付)⑤성질(性質), 천성(天性) ⑥말, 언약(言約) ⑦규정(規定), 규칙(規則) ⑧가르침 ⑨작위(爵位), 작위의 사령서나 그 신표(信標: 증거가 되게 하기 위하여 서로 주고받는 물건) ⑩하늘의 뜻, 천명(天命) ⑪도(道), 자연의 이법(理法) ⑫호적(戶籍) ⑬명령하다 ⑭가르치다, 알리다 ⑮이름짓다, 이름을 붙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윗사람이 아랫 사람에게 무엇을 하도록 시킴을 명령(命令), 시문의 제목을 정하여 주는 것을 명제(命題), 사람이나 물건에 이름을 지어 붙임을 명명(命名), 살아 있는 목숨을 이어 가는 근본을 명백(命脈), 겨냥한 곳에 바로 맞음을 명중(命中), 생명의 근본을 명근(命根), 목숨의 한도를 명한(命限), 앞으로의 존망이나 생사에 관한 처지를 운명(運命), 관직에 명함 또는 직무를 맡김을 임명(任命), 타고난 수명이나 하늘의 명령을 천명(天命), 날 때부터 타고난 운명을 숙명(宿命), 제 명대로 살지 못하는 목숨을 비명(非命), 맡겨진 임무나 맡은 일을 사명(使命), 생물이 살아 있는 연한을 수명(壽命), 사람의 목숨을 인명(人命), 목숨이 경각에 달렸다는 명재경각(命在頃刻), 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할 만한 뛰어난 인재를 명세지웅(命世之雄), 연거푸 생기는 행복을 명야복야(命也福也), 병이나 상처가 중하여 목숨에 관계됨을 명맥소관(命脈所關), 팔자가 사나움을 명도기박(命途奇薄), 목숨을 義에 연연하여 가볍게 여기다는 명연의경(命緣義輕)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