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f는 서양권에서 부르는 용어 입니다.
한식 레스토랑에서 쉐프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듯이 서양식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말씀을 드립니다.
(일부 프랜차이즈 한식 다이닝은 제외 입니다.)
먼저 조직도 입니다.
1. Executive Chef
2. Sous Chef
3. Chef de Partie
4. 1st Commis
5. 2nd Commis
6. 3rd Commis
보통 이렇게 구성이 됩니다.
뭐 레스토랑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분명 날 수 있지만, 10명 정도 일하는 레스토랑의 경우의 기준인데,
주방도 다른 회사와 같이 경력과 실적을 통해서 진급을 하게 됩니다.
레스토랑 마다 진급의 속도의 차이는 분명 있겠으나,
쉐프라는 칭호가 들어가고자 한다면 최하 5년 이상은 되어야 하겠죠.
3번 정도가 보통 한국식으로는 주임 혹은 계장 정도 입니다.
다만 조리에서 쉐프라 칭하는 부분은 1번과 2번 뿐 입니다.
곧 쉐프라 칭하는 뜻은 총주방장을 뜻하니깐요.
단순 요리사라 하면 Cook이 될겁니다.
물론 3명이 근무하는 작은 레스토랑이고 자신이 오너이자 주방장이면 쉐프라 불릴수 있습니다.
실력을 떠나 경력을 떠나서도 말이죠.
어찌하든 그 레스토랑의 책임 주방장이니깐요.
책임 주방장 즉 총주방장인 쉐프는 단순 요리뿐 아니라 위생, 메뉴개발, 매출, 원가, 교육 등 레스토랑의
전반적인 사항을 컨트롤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요식업에 이제 16년째인데,
저의 선배가 했던 말이 있습니다.
"손님 앞에서 와인을 오픈하고 서비스하는것으로 너는 충분히 소믈리에로서 일을 하고 있는것이다."
"다만, 소믈리에가 가져야할 지식과 능력과 경험은 부족하니 항상 겸손하게 작실히 내공을 쌓아라"
"그렇게 해서 인정을 받으면 레스토랑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대표 소믈리에가 될것이다."
왠만한 요리사만큼 요리잘하는 일반인들도 있습니다.
소믈리에보다 뛰어난 지식을 가진 분도 있습니다.
다만, 그들을 쉐프 혹은 소믈리에라고 호칭 할 수 있냐에서는 분명 의문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요리사와 요리연구가의 차이는
요리사는 직접 손님앞에서 요리를 하는 사람이고,
요리연구가는 직접적으로 손님앞에서 요리를 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차이입니다.
논란이 되는 맹기용의 경우는 요리사라기 보다는 요리 연구가가 더 어울리겠죠.
★ 공지사항, 이용지침 필독 요망 (http://cafe.daum.net/ilovenba/1qYd/48)
- 글 분량 : 3줄 이상 / 줄당 20자 이상 권장 - 위반시 별도 보관함 이동
- 제목 크기 및 굵기 변경 금지. 국내 인터넷기사 무단전재 전면 금지
- 카페 성(性)적표현 규정 및 방송/영상/음원 저작권 준수
* 상기 내용 위반시 징계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항상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글을 작성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한때 이슈메이커였던 에드워드권은 그 유명한 7성 호텔의 주방장이었다고 떠든 적이 있죠.
말씀하신 1번~6번 중에서 에드워드권은 정확히 몇 번에 속하는건가요??
호텔의 경우 건물안에 많은 레스토랑과 연회장 등이 많습니다. 일반 레스토랑은 1번이 한명이고 2번도 한명이겠지만, 호텔은 2번이 여려명이죠. 두바이 7성급이면 열명이 넘을수도 있습니다. 제가 애기를 들은것은 2번과 3번 사이라 들었습니다.
@레이 ALLEN 두바이호텔의 제2 연회파트 부주방장으로 알고 있습니다.
@레이 ALLEN 오 그 정도면 실력 자체는 우수한 편이네요. 근데 에드워드권도 말이 많더군요. 말씀하신 정도라면 실력이 분명 있긴 있는건데...
말이 많은 이유가 뭘까요??
2번과 3번 사이인데.. 1번이라고 뻥을 쳐서 그럴까요?? 아님 좋은 스펙에 비해 실제 음식 맛이 별로여서 일까요??
@넌나만의TOP 노력이나 실력은 인정받으나
학력위조가 큰문제였습니다.
지금 그분의 레스토랑인 랍24 가보면 호불호가 있지만 괜찮습니다.
@레이 ALLEN 아 학력위조때문에 그런거였군요.
스펙 중에서 하필 학력을ㅡㅡ
우리나라에서는 제일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부분 중 하나죠.
@넌나만의TOP 허세끼가 있고 학력문제가 있었기는 했지만, 노력과 실력은 분명 있었죠.
근데 쉐프라고 쓰는데 맞나요?
chef 를 늘려발음하면 쉬-에프 순으로 나오는데 이경우 셰프가 정확하지 않나 싶습니다
외국말을 정확하게 쓴다는게 어려운 일이지만..
쉐프를 풀면 수-에프로 풀리는데 전혀 다른 발음이 나오는데 애초에 잘못 쓰고 잘못 읽는건 아닌가 해서요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거라면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그러고 보니 그렇군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꾸벅!
@레이 ALLEN 헐쿵 나도 꾸벅!
'슈ㅔ프' 라는 발음이 더 가까워서 쉐프라고 쓰는 것 같네요... 밀크쉐이크 같이요....
외래어 표기방식? 아무튼 이런거에는 셰프가 맞을겁니다...
호텔직급은 전문적으로 파고들어가면 굉장히 논란이많이생길수 밖에없어요..심지어 주방에서 요리하는분들도 대부분이 헷갈려하거든요 권영민쉐프의경우도 언론에서 잘모르는부분에서 번역에의한 오해도있었고 물론, cia졸업 관련이나 이런부분은 잘못했다고 밝혔고 충분히 질타를받을만했습니다만 에드쉐프의 경력과 실력은 과소평가할정도는 아니라고생각합니다
레오갈쉐프도....마찬가지구요..
에드워드와 레오의 경력은 분명 대단한겁니다. 의견 잘 보았습니다.
소믈리에!! 멋있어요!! 저도 양식으로 시작해서 주방에서 일한지 10년이 넘었는데 요리사라는 말도 간지러워서 누가 직업 물어보면 그냥 식당에서 일한다고 말해요ㅋㅋ 예전에 일했던데서 솊솊 이러는데 으어.. 누가 솊이야!! 하는일은 개잡부구만!!
ㅋㅋㅋㅋ 쉪쉪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