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13일 월요일 신문을 통해 알 게 된 것 들
1. 3월 한파특보 → 오늘(13일) 최저 -8도-2도... 전국에 꽃샘추위. 서울을 비롯한
내륙지역 곳곳에 한파특보. 기온이 영하이면서 전날보다 10도 이하 낮을 때
‘한파주의보’
2. 중국, 자국민 한국 단체관광 계속 불허 → 중국이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를 40개국 추가하면서 한국을 또다시 배제. 미국과 일본도 제외.(중앙선데이)
3. ‘퍼주기 식 대책’에도 출산율 역대 최악 → 지난해 전국 지자체의 출산지원정책
예산은 1조 809억원. 이는 2021년 8522억원보다 26.8% 증가한 것.(세계)
4. ‘현금 안 받습니다. 버스비 계좌이체 하세요’ → 3.1일부터 서울시 일부
노선에서 시행된 ‘현금 없는 버스’에서는 카드가 없거나 잔액이 부족하면 계좌이체
해야... 결제수단 선택도 소비자 권리. 노인, 초등학생 불편도.(중앙선데이)
5. 결혼은 줄어드는데 ‘결혼중개업체’는 늘어 → 지난해 결혼상담소는 1823곳으로
4년 사이에250곳 넘게 늘어. 결혼 적령기 인구는 줄었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이성과의 만남을 원하는 수요는 끊이지 않으면서 결혼상담소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분석.(매경)▼
6. 美 실리콘 밸리 ‘SVB’ 은행파산... ‘블랙먼데이’ 공포 → 총자산 2000억 달러
(264조원)가 넘는 美16위 은행. 국민연금도 3800여억 투자... 美기술업체,
보건업체의 44%가량이 SVB 자금 활용... 스타터업들 줄파산 우려. 고금리 속
단기성
예금을 국채 등 장기 자산에 ‘올인’한 게 화근.(서울 외)
7. ‘내가 메시아’ 세뇌 후 성폭력 → JMS 사건 등 종교 빙자 ‘준강간’...
준강간 혐의는 물리적 폭행이나 협박이 아닌, 피해자가 저항하지 못하는
상태를 이용해 성폭행 한 경우 적용된다.(국민)
8. 조폭도 세대교체 중? 10대 검거 2배 이상 늘었다 → 지난해 검거된 조폭 3221명,
전년대비 6.7% 증가. 2030이 59%로 가장 많았지만 같은 기간 검거된 10대 조폭은
98명에서 210명으로 2배 넘게 늘어. 전체 검거 인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2%에서
6.5%로 크게 뛰어.(국민)
9. 국내 체류 외국인 215만 → 웬만한 도, 광역시 인구보다 많아.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광주, 울산, 대전은 인구 200만이 안 돼. 1994년 ‘외국인 산업연수생’ 제도
처음 도입. 2004년에는 ‘고용허가제’ 실시 후 급속히 증가.(중앙선데이)
10. 강원도, ‘민물가마우지’ 유해 야생동물 지정 신청 → 철새인 민물가마우지가
텃새화 되면서 도내 하천과 호수에 2만 마리 이상이 서식... 배설물로 나무들을
죽게하고 물고기를 잡아 먹어 내수면 어업 피해...(동아)
2023년 3월 13일 월요일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1. 전세계 주요 통화 가운데 한국 원화값의 변동성이 4위 수준에 달할 정도로 큰
것으로 분석됐음. 12일 매일경제가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데이터 등을 가공해
분석한 결과 지난 1년간 미국 달러당 원화값의 일간 평균 변동률은 0.53%에
달했음. 영국 파운드화나 일본 엔화 같은 기축통화를 빼면 호주달러(0.66%)에
이어 2위임. 원화값이 그만큼 강달러 시대에 취약성을 드러냈다는 뜻.
2.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을 놓고 카카오와 ‘쩐(錢)의 전쟁’을 벌였던 하이브가
12일 인수경쟁 중단을 전격 선언했음. 이로써 치열했던 SM엔터 인수전은 카카오가
최대주주가 돼 경영권을 손에 쥐고, 하이브는 주요 주주로 남아 플랫폼 사업에서
이득을 취하는 방향으로 일단락됐음. 하이브는 이날 “SM 인수를 위해 제시해야 할
가격이 적정 범위를 넘어섰다고 판단했다”고 밝힘.
3. 미국 자산규모 16위 은행이자 미국 스타트업의 산파 역할을 해온 실리콘밸리
뱅크(SVB)가 대량인출 사태(뱅크런)에 직면한 지 48시간 만에 전격 폐쇄됐음.
미 금융당국은 뱅크런이 다른 은행으로 번질 것을 염려해 속전속결로 파산을
선택했음. 연방준비제도에 따르면 SVB는 총자산이 2090억달러 규모에 달함.
상업 은행으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무너진 워싱턴뮤추얼은행
(총자산 3070억달러)에 이어 21세기 들어 가장 큰 은행이 파산한 것.
4.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추진하는 연금개혁 법안이 상원 관문을
통과했음.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1일(현지시간) 프랑스 상원에서 연금개혁 법안은
찬성 195표, 반대 112표로 가결됨. 거리에선 연금개혁 반대 시위가 이어지고
있지만, 상원은 미래를 보고 정년 연장을 골자로 한 개혁안을 선택한 셈이다.
마크롱 행정부가 추진하는 연금개혁은 정년을 62세에서 2030년까지 64세로
높여 연금 수령이 시작되는 시점을 늦추는게 핵심이다 투자금이 크게 줄어든
국내 벤처기업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됨.
5. 정부가 반도체·자동차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제2의 국부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12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르면 오는 5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산업대전환’ 계획을 발표할 예정. 전세계 경기위축과 고금리 여파에 투자금이
크게 줄어든 국내 벤처기업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됨.
6.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진료가 처음 허용된 지난
2020년 2월 24일부터 올해 1월 31일까지 2만5697개 의료기관에서 1379만명을
대상으로 3661만건의 비대면 진료가 실시된 것으로 나타남. 비대면 진료에 참여한
의료기관도 매년 증가해 현재 2만6000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됨. 정부는 원격의료
효율성과 안전성이 어느 정도 입증된 만큼 의료법 개정을 통한 제도화 작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음.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