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outlook: 2Q22부터 코로나19 백신 CMO 생산 본격화 및 하반기 HD201(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유럽 판매를 통해 실적 개선 기대.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3만 원으로 하향 조정: 코로나19 백신 업체 및 바이오 시밀러 업체 밸류에이션 디레이팅으로 주가 흐름 부진. 2Q22 모멘텀에 주목.
WHAT’S THE STORY?
2022년 outlook: 2021년 11월 인도 제약사 엔소 헬스케어와 Sputnik 라이트(러시아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1.36억달러 계약금 계약 체결(416배치 생산 계약). 계약금 인식은 Sputnik 라이트에 대한 CMO 생산이 본격화되는 2분기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 5월부터 Sputnik 라이트 CMO 인도향 물량 출하 외에 HD201(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유럽 발매가 시작됨에 따라 FY2023(2022.07-2023.06) 매출액 6,405억원(+284.8% y-y), 영업이익 2,550억원(+886.9% y-y) 전망.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HD201(브랜드명 TUZNUE), 2019년 4월 EMA 허가 신청 이후 코로나19로 인한 실사 미실시로 허가 또한 지연되었으나, 지난 1월 프레스 티지바이오로직스 EU GMP 획득. 2Q22 내로 EMA 산하 자문위원회 CHMP로부터 승인 권고 예상. EMA 승인 이후 FDA 허가 신청 및 연내 FDA 실사 예정.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HD204, 임상 3상 중.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임상 1상 중. 신약 PBP1510(췌장암 치료제) 임상 1/2a상 개시.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30,000원으로 하향 조정: DCF 밸류에이션 기반으로 목표주가 산출. 2021년 예정됐던 HD201(허셉틴 바이오시밀러) EMA 승인 지연 외에 코로나19 백신 Sputnik의 EMA 승인 불발로 주가 흐름 부진. 2021년 11월 엔소 헬스케어와 Sputnik에 대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수요는 2021년에 예측됐던 것보다 줄어든 만큼 코로나19 백신 업체 밸류에이션 디레이팅 지속 전망. 또한 국내 바이오시밀러 Peer 기업인 셀트리온 그룹의 미국, 유럽내 바이오시밀러 매출 현황을 토대로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장성 우려 확대. 하지만 단기적으로 두 가지 모멘텀 예정. 1) 2Q22 HD201에 대한 EMA로부터의 승인 예정, 2) 2Q22 내로 Sputnik 계약 외에 신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추가 CMO 계약 기대.
삼성 서근희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