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 온통 탄핵 정국 격랑에 휩싸여 있다. 국회 탄핵안 가결을 두고 찬반양론이 격돌하는 중이다. 중립을 지켜야 하는 공직자들이 여야의 눈치를 보느라 연말 행사를 대폭 없애는 바람에 소상공인들만 죽을 맛이라고 한다. 이런 상황이니 정작 눈앞에 닥칠 겨울철 재난은 뒷전이다.
사람들이 다른 곳에 이목을 집중할 때 각종 재난이 발생하는 이유는 인간의 무관심과 부주의 때문이다. 재난은 대개 일을 벌이기 전에 어렴풋이 경고를 보낸다. 인간의 주의력을 시험해 보는 것이다. 이때 사람들이 즉시 반응을 보이면 슬며시 꼬리를 내리는 반면 몇 번의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무감각하면 한꺼번에 몇 배의 재난ㆍ재해를 가한다. 그런 과정을 거쳐 혹독하게 대가를 치루고 난 뒤에야 사람들은 그것이 인재(人災)라며 부산을 떤다.
12월 들어 울산 기온이 영하로 떨어졌다. 중부권과 서해안 지방엔 벌써 폭설 주의보가 한 차례 내렸다. `북극 한파`가 당분간 한반도에 머물며 폭설과 한랭전선을 유지할 것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하지만 이런 소식에도 울산 쪽은 아직 무감각하다. 울산지역엔 통상 2월이나 돼야 눈이 내리기 때문에 마치 남의 일 보는 듯하다. 2015년 연초의 폭설 사태를 생각하면 이런 방심 자체가 재난의 근원이다. 당시 2월도 아닌 정초에 13cm의 폭설이 쏟아질 것으로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별의별 대책을 다 세워두고 있었지만 예상치 못했던 폭설 때문에 결국 시가지 일부가 마비됐다.
이렇듯 엉뚱한 시기, 예상치 않는 장소에서 인간의 준비성을 시험하는 게 자연의 심술이다. 국립환경연구원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울산이 전국에서 가장 기후변화가 심각한 지역이라고 한다. 이 말은 상식선을 벗어난 자연재해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러니 겨울 재난에 대비해 세워둔 대책을 두 번, 세 번 점검해야 한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긴장의 끈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지금 당장은 겨울 한파에 대비해야 한다. 2011년 초 울산 수은주가 영하 13.5도까지 떨어진 적이 있었다. 그 간의 기상이변 상태를 보면 올해도 그럴 가능성은 충분하다. 강추위가 엄습하면 수도관 동파가 가장 심각하다.물론 이런 피해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여러 가지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면 그만큼 피해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