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멸가치속 |
이명 | 홍취, 개머위, 명가지, 옹취, 총취, 선경채(腺梗菜), 야로(野蕗) |
생약명 | 야로(野蕗) |
내용 | • 국화과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의 산지나 들의 음지에서 자란다. 짧은 땅속줄기에서 나온 원줄기는 높이 30~60c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근생엽은 모여 나고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6~12cm, 너비 11~22cm 정도의 신장형이다. 표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흰빛이 돌고 백색의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8~9월에 피는 두상화는 길이 2.5mm, 지름 5mm 정도로서 긴 화병이 있고 대가 있는 선이 있다. 열매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길이 6~7mm 정도의 도란형이다. ‘머위속’에 비해 자웅이주가 아니며 수과에 선체가 있어 잘 달라붙고 관모가 없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
효능 | • 주로 강장, 건위, 이뇨산어, 지해평천, 지혈, 진정, 진통 등의 치료에 쓴다. • 이뇨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데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기침을 멎게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산후에 복통이 있을 때에도 효과가 있어 산모에게도 좋다. 막히거나 뭉쳐 탁하게 변한 피를 풀어주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
이용법 | • 근경과 뿌리는 지혈, 소염, 기침, 천식, 산후복통, 수종, 소변불통에 내용하고 골절에 외용한다. •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전초를 채취하여 갈아 끓여서 염액을 내었다. 많은 양은 아니었으나 비교적 잘 물드는 식물로 매염제에 의해 독특한 색을 얻을 수 있었다.
|
식용 | • 멸가치는 봄에 어린 순을 캐서 바로 무쳐 먹기도 하고, 말린 다음 묵나물로 먹기도 한다. 된장국과 같은 국물 요리에 넣어 먹는 경우도 있고, 쌈채소로 활용하여 고기와 함께 먹을 수도 있다. |
번식 | •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새싹이 올라올 때 뿌리나누기를 하거나 11월에 열리는 종자를 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화단에 뿌린다. 종자 발아율이 높은 식물이어서 일정 간격의 시기를 두고 뿌리는 것이 좋다. - 나무가 많아 햇볕을 많이 가려주는 화단에 심는 것이 좋고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 집단생활을 하는 품종이어서 심을 때 여러 개체를 심거나 묘종과 묘종과의 거리를 짧게 심어 관리해도 좋다. |
유래 | • 멸가치는 이름으로 미루어 멸치와 상관이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지만 전혀 관련이 없다. 단지 이 식물이 나물로 사용되니까 ‘취’자가 바뀌어 ‘치’자가 된 것이 아닐까 한다. |
꽃말 | '당신에게 모든 것을 바칩니다.' |
출처 | 국가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다음백과,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민속 특산식물사전, 야생화도감 : 여름편,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