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E FRANCIS ANGELUS, Palm Sunday, St. Peter's Square, 13 April 2025 (Text prepared by the Holy Father)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As we celebrate Palm Sunday today, we have listened to the account of the Lord's Passion according to Luke (cf. Lk 22:14-23:56) in the Gospel. We have heard Jesus addressing the Father several times: " “Father, if you are willing, take this cup away from me; still, not my will but yours be done.” (22:42); Father, forgive them, they know not what they do ‘ (23:34);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end my spirit" (23:46). We have seen him walk towards the cross defenceless and humiliated, with the feelings and the heart of a child clinging to his father's neck, fragile in the flesh, but strong in trusting abandonment, until he fell asleep, in death, in the Father’s arms.
교황 프란치스코, 삼종기도,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5. 4. 13. 주일 (교황님 작성)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주님 수난 성지 주일에 우리는 루카 복음(루카 22,14-23,56 참조)이 전하는 주님의 수난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아버지께 여러 번 말씀드리는 것을 들었습니다. “아버지, 아버지께서 원하시면 이 잔을 저에게서 거두어 주십시오. 그러나 제 뜻이 아니라 아버지의 뜻이 이루어지게 하십시오.” (22,42)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 (23,34) “아버지, ‘제 영을 아버지 손에 맡깁니다.’” (23,46) 우리는 예수님께서 마치 아버지의 목에 매달리는 어린 아이의 감정과 마음으로, 육신은 약하지만 버려짐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십자가를 향하여 무방비상태로 굴욕적으로 걸어가시어, 마침내 죽음으로 아버지 품 안에 잠드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These are feelings that the liturgy calls us to contemplate and make our own. We all have sorrows, physical or moral, and faith helps us not to give in to despair, not to close ourselves off in bitterness, but to face them, feeling enveloped, like Jesus, by the providential and merciful embrace of the Father.
전례는 우리에게 이러한 감정들은 묵상하고 우리의 것으로 만들라고 청합니다. 우리 모두는 육체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슬픔을 느끼지만, 신앙은 우리가 절망에 굴복하거나 비통함에 갇히지 않고, 예수님처럼, 아버지의 섭리적이고 자비로운 품에 안겨있다는 마음으로 슬픔을 직면하도록 도와줍니다.
Sisters and brothers, I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prayers. At this time of physical weakness, they help me to feel God's closeness, compassion and tenderness even more. I too am praying for you, and I ask you to entrust all those who suffer to the Lord together with me, especially those affected by war, poverty or natural disasters. In particular, may God receive in His peace the victims of the collapse of a building in Santo Domingo, and comfort their families.
자매형제 여러분, 여러분의 기도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몸이 약해진 이 시기에 여러분의 기도는 제가 하느님의 친밀함과 연민, 그리고 다정함을 더욱 깊이 느끼도록 도와줍니다. 저도 여러분을 위해 기도하며, 여러분에게 청합니다. 저와 모든 고통 받는 이들, 특히 전쟁, 빈곤, 자연재해로 고통 받는 이들을 주님께 의탁하십시오. 특별히 하느님, 산토도밍고 건물 붕괴 사고의 희생자들을 당신의 평화로 맞아주시고, 그 가족들을 위로해주소서!
The 15th of April will mark the second sad anniversary of the beginning of the conflict in Sudan, in which thousands have been killed and millions of families have been forced to flee their homes. The suffering of children, women and vulnerable people cries out to heaven and begs us to act. I renew my appeal to the parties involved, that they may end the violence and embark on paths of dialogue, an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 that the help needed may be provided to the populations.
4월 15일은 수단 내전 발발 2주년이 되는 슬픈 날입니다. 이 내전으로 수천 명이 목숨을 잃고 수백만 가족이 피난길에 올랐습니다. 어린이, 여성, 그리고 취약 계층의 고통은 하늘을 향해 울부짖으며 우리에게 행동할 것을 간절히 요청합니다. 저는 관련 당사자들에게, 폭력을 종식시키고 대화의 길로 나아가기를, 그리고 국제 사회에, 주민들에게 필요한 지원이 제공되도록 다시 한 번 호소합니다.
And let us also remember Lebanon, where the tragic civil war began fifty years ago: with God's help, may it live in peace and prosperity.
그리고 50년 전 비극적인 내전이 시작된 레바논도 기억합시다. 하느님, 레바논이 평화와 번영 속에 살게 도와주소서!
May peace come at last to martyred Ukraine, Palestine, Israel,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to Myanmar, to South Sudan. May Mary, Mother of Sorrows, obtain this grace for us and help us to live this Holy Week with faith.
순교 우크라이나,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콩고민주공화국, 미얀마, 남 수단에 마침내 평화가 오기를 빕니다. 슬픔의 어머니, 성모 마리아여, 저희에게 이 은총을 얻어주시고, 저희가 이 성주간을 믿음으로 살게 도와주소서!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