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산돌기 or 삼산밟기의 목적과 의미 ]
삼산돌기는 삼산밟기라고도 하며 지역, 제자의 무속 선생님 등의
의견과 방법이 다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무속에서 삼산돌기 목적은 제자가 신맞이를 하기 위해 옳은 신명
(神命, 神名)을 모시기 위해 허주굿과 산을 밟는 행위인 삼산돌기
에서 이루어집니다.
무속 제자로서 모셔야 할 신령님과 공부가 부족한 신령님 등 제
자가 모셔야 할 신령님, 보내야 할 신령님으로 구분하는 허주굿
신내림의 첫 과정이며 이때 삼산돌기(삼산밟기)를 통해 제자의
몸주신 신명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신명을 받는 것은 허주 굿부터 이루어지지만 보다 정확히 확인
하는 것은 삼산돌기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허주 굿에서는 몸주
신을 느끼고 확인하는 것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삼산돌기는 절차상 굿의 개념은 아니지만, 실제로 무속인 자신
에게 오신 신령님(몸주신) 확인하는 첫 과정입니다.
삼산(三山)을 도는 행위는 신명 받기를 위해 명산에 올라 허공
에서 내림을 받는 것이며 산을 밟는 것은 종교 수행자가 순례
하는 이치와 같습니다.
전대의 만신들은 '산문받이'라 하여 본인(선생)의 본향산에 가서
산의 정기를 받거나 신내림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명산에서 '산
신의 문'을 여는 무속 행위를 하기도 했습니다.
삼산을 정할 때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신(神) 선생(신부모)의 본향 산과 신 제자의 본향 산, 그리고 결혼
한 제자의 경우 남편 또는 부인의 본향산을 도는 방식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만신의 신맥과 통하는 지역의 신령스러운 곳을
방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잘 알려진 대관령 국사성황당, 강릉 여 서낭당, 지리산,
태백산, 계룡산 등 국내의 이름 있는 산과 서낭이라고 칭하는 곳
을 방문하여 기도 및 치성을 드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삼산돌
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과정은 각 지역의 이름난(정기 서린) 서낭
을 방문하는 것입니다.
신명 받기 과정에서 서낭은 신이 거주하는 거처의 대문 구실을
하기 때문이고, 누군가의 집을 방문했을 때 대문 밖에서 본인의
존재를 알리듯이 무업의 시작을 알리고 이곳에 왔음을 고하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삼산돌기(삼산밟기) 행위를 할 때 서낭 방문하는 것을 '
서낭 돌기'라고 하며 신(神) 선생(신부모) 님들은 서낭문이
열려야 잘 불린다고 강조하는 이유가 이러한 이유들이 있기
때문이고 삼산돌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신내림은 앞으로
무업으로 삶을 영위해야 하는 무속인(제자)이 몸주신의
신명과 신격을 정확히 모시는 과정입니다.
삼산돌기
삼산돌기는 기성종교의 성지순례와같이, 기존의 단순한 산맞이
에서 벗어나 종교적의례로서 산맞이를 해야한다는 인식에서 삼
산밟기, 삼산돌기를 하는것이다.
마을굿에서 굿을 시작하기전에 신을모시기위한 제의장소의 정화
와 청배를 위해 지신밟기 혹은 세경돌기를 행한다.
지신밟기와 세경돌기는 하늘과 땅에 모든 신과 살아있는 만물에
고하는 행위이다.
같은 맥락으로 내림굿을 하기전 삼산밟기와 삼산돌기를 하는것임
따라서 지신밟기와 세경돌기, 삼산밟기와 삼산돌기는 같은 의미다.
내림굿이후 일정기간이 지나거나 신부모를 다시 만나 새로운 신맥
을 형성하고자할때,신가리, 가리잡는다고한다.
신가리는 지역이 다른 굿으로 연행하다온 경우에 신가리라고하며,
같은 지역굿으로 연행할때 가리굿, 가리잡는다라고 한다.
(황해도굿의 정체성 참조)
신가리나 가리를 수월하게 하는방법은 서로의 양보가 우선시된다.
신가리가 필요한 제자는 기존에 오신 신명을 염두하여 고집(?)을
부리면 안된다.
그것을 인도하는 선생 또한 강요가 아닌 자기고집에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어야 한다.
어느한쪽의 강요나 억측은 신을 모시는것이 아닌 자기자신의 신격
화과정이 되기십상이다.
10년 혹은 그 이상의 연차가있는 제가의 신가리는 가리잡는것이
아니라 대례를 올린다.
대례를 올린다는것은 신부모의 신을 대접하는것을 의미한다.
제자의 진적이 아니라 부모로 모시는 선생의 신명을 놀리고 대접
하는굿이 대례굿이다.
그러나 대례굿은 신맥을 형성하는 신가리나 가리굿이 아니다.
서로의 신명을 인정하고 선생의 가르침을 청하는것, 즉 사사받기
위한 굿이 대례굿이다.
간혹 븐산을 잘못 지목하는경우가있다.
본산은 제자가 태어난곳이나 본관(성씨)의 산이 아니다.
신조상의 본향, 윗대의 고향을 의미한다.
태어나기를 서울에서 태어났어도 내 부모의 고향이 다른지역,
가령 부산이라면 제자의 본산은 인왕산이 아니라 금정산이 된다.
즉, 탯줄 본향이 아니라 뼛줄 본향을 의미한다
신 굿이 끝나면 정해진 신령 아정기도로 21일 100일 제자마다
다르지만 신 선생의 인도에 따라 다르지만 안정되는 상황을 보
아가며 명산 기도도 함께 할수있다
신을 선택받은 태백산 , 계룡산 , 지리산은 기본으로 본다
우선 태백산은 천제단의 단군 성전 과 태백 서낭 필수일것이고
계룡산은 계룡산신 과 국사봉 에 예를 갖추고 나면 지리산 에는
천황 할매당 성모암 , 과 관문인 지리산 서낭 알현으로 예를갖춰
참배 함을 우선시 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