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중한 트랙 감사합니다.
아래 정보들을 상세히 기재해주시면 회원들의 산행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1. 산 행 지 : 송학산(松鶴山819.1m).청룡산(靑龍山573.5m)/충북 제천. 강원 영월
2. 산행일자 : 2019년 6월27일(목).
3. 산행코스 : 미고개-임도-독립 가옥-주능선-청룡산(574.6M)-벌목방치된능선-송한천-중생교-급오름-지정사 갈림길-송학산(819M)-강천사- 강천사 임시산신각-산불 급수탑-남동 능선-월명사-월명사 입구 표지석-시곡1리 경노당
4. 산행거리 : 약10.2km.
5. 산행시간 : 약3시간55분
6. 산행참고 :
7. 교통참고 :대중교통;<갈때>동서울(06:30)~제천버스터미널(08:20, 9,500원)~중앙 교차로 우측 제천역방향 시내버스(08:33)~30번 시내버스(1일17회)~미고개(08:53, 850원)
8. 산행트랙 :
송학산.청룡산019-06-27 0928__20190627_0928.gpx
9. 사진 및 기타의견을 라인아래에 등록 해주세요.
송학산(松鶴山819.1m).청룡산(靑龍山573.5m)/충북 제천. 강원 영월
산행일자;2019년 6월27일(목). 날씨;흐림. 산행거리;약10.2km. 산행시간;약3시간55분
교통편;새마포산악회
cf.대중교통;<갈때>동서울(06:30)~제천버스터미널(08:20, 9,500원)~중앙 교차로 우측 제천역방향 시내버스(08:33)~30번 시내버스(1일17회)~미고개(08:53, 850원)
비용;18,000원(하산후 찰밥과 주류제공 비용포함)
산행코스;미고개-임도-독립 가옥-주능선-청룡산(574.6M)-벌목방치된능선-송한천-중생교-급오름-지정사 갈림길-송학산(819M)-강천사- 강천사 임시산신각-산불 급수탑-남동 능선-월명사-월명사 입구 표지석-시곡1리 경노당
■송학산(818.2m)은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와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용석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산에 소나무가 많고 학들이 날아들기도 하므로 송학산(松鶴山)이라 하였다. 용두산의 동쪽 가지이다. 지금은 소악산이라고 부른다. 동쪽으로 비스듬히 뻗어 사슬치(沙瑟峙)가 된다. 조선 전기에는 대덕산, 조선 후기에는 소악산이라고 불렀다.송학산은 송학면 침식 분지의 배후 산지이다. 서쪽으로 용두산·석기암·감악산, 동쪽으로 도덕산·오로산·사슬치·솔미산, 북쪽으로 청룡산, 남쪽으로 무담산과 왕박산이 둘러 있다. 남쪽 비탈면 약 680m 지점에 강천사(江天寺), 약 350m 지점에 월명사(月明寺)가 있고 산기슭에는 마을이 터를 잡았다.
감악산 오른쪽으로는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황둔리 매봉 뒤로 치악산 남대봉·망경봉·비로봉이 매화산과 함께 조망된다. 산에는 소나무가 많이 있으나 산자락에는 화강암 채석장이 여덟 곳이나 있어 송학산의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있다. 정상에는 삼각점과 제천시에서 세운 정상 비석이 있다. 산자락에는 충청북도 기념물 제117호인 제천 입석리 선돌, 소악사지 삼층석탑, 솔미산 남쪽에 충청북도 기념물 제92호인 제천 원호유허비 및 관란정이 있다.
■청룡산(573.5m)은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와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용석리에 소재한 산이다. 오래된 삼각점(판독불가)이 있고 정상표지판이 걸려있다.
■강천사는 해발 약720m 지점에 있는 사찰로 강천사 바로 아래에는 소악사지라는 절터가 있으며, 이 절터에는 신라 하대에 세워진 삼층석탑과 돌확, 기와편들을 통해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조선시대까지 법통을 이었던 것으로 그 뒤 절은 폐허가 된 것을 60여년 전인 1945년 7월 15일 노로당 이대휘 선사가 옛 절 터 위에 초막을 짓고 불상을 모시면서 강천사를 창건하였다. 이어서 이대휘 선사는 1947년에 관음전을 지었는데 , 이 자리는 충북과 강원도 지역의 삼대사찰로 꼽히는 영월의 법흥사, 정선의 정암사, 경북 영주의 부석사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명당터라고 한다. 이후 절은 인근의 불자들에게 점차 알려지면서 신도가 늘어 1981년 도로와 전기를 가설 했으며 1989년 신도들이 다 함께 공부하고 기도 할수 있는 다용도 건물의 3층으로 된 설법보전을 지었다. 1990년에는 대관명전을 지어 삼신불을 봉안하였으며, 범종각을 지어 범좀과 법고를 조성하였고, 1991년에는 독성전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는 사찰이다. 강천사 앞뜰에서 보는 조망이 매우 좋다. 골미산에서 가창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뒤로 삼태산이 보이며 높고 낮은 산들이 올망졸망 모여있는 모습이 아름답다.
■월명사(月明寺)는 충북 제천시 송학면 송학산(松鶴山)에 자리한 한국불교태고종 사찰이다. 송학역은 제천과 영주를 잇는 기차가 하루에 한번 정차하는 쓸쓸한 간이역이다. 이 간이역에서 개울을 건너 작은 마을로 접어들면 소나무 숲이 나타나는데, 소나무숲길 끝에 작은 절 월명사가 자리한다. 월명사는 단아하고 조용한 사찰이다,
월명사(月明寺)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는 않는다. 절의 창건은 1929년 무렵으로 송학면의 부자였던 이원성 처사가 별세하면서 자신의 별장을 사찰로 쓰게 유언을 남기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후 강천사의 이대휘 스님을 비롯해 여러 스님들이 머물렀지만, 현재의 주지스님인 법해(法海)스님이 23년 동안 가꾸어 오늘날 가람을 이룩하였다고 한다. 월명사에 들어서면 수령 150년으로 추정되는 노송이 팔을 벌려 중생을 반기고, 뜰아래의 연못에는 해수관음이 세워져 있다. 단아하게 정돈된 경내에는 대웅전, 삼성각, 범종각 등의 건물들이 있으며, 대웅전에 올라서면 시원스레 산 아래 풍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
2019년 6월 28일 목요일 (07:00) 합정역 8번출구 50m 전방 KB손해보험 앞에서 새마포산악회 2호차(cf. 1호차는 지맥팀)에 탑승합니다. (07:20)경 양재역1번출구 20m 수협은행 앞에서 (07:40) 경부고속도로 죽전간이정류장에서 대원들 탑승합니다.
새마포산악회 전창완총무님과 사모님이 밤새 준비해 온 호박죽. 찐감자. 오랜지가 전대원들에게 나누어 집니다. 장 트러불 때문에 전부 사양하니 미안 합니다. 곽재희여사님이 커피믹스 1통을 희사합니다. 참으로 고마운 분들입니다. 잘 먹었습니다.
중간 문막휴게소에서 약10분(08;50~)간 휴게 시간 갖고 산행들머리 영월군 주천면 금마리 미고개(제천시 송학면과 경계지점)에 (09;25) 도착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미고개](09;25)
미고개에서 하차후 임도따라 진행한다. 독립가옥을 지나고 임도는 밭고랑이 끝난 산길 초입에서 끝난다. 동물길 같은 길을 개척하여 우측능선에 붙는다. 능선에 붙어 좌측으로 완만하게 능선 오름길 오른다. 다소 가파르게 치고 올라서니 3~4평의 공터. 오래된 삼각점이 있는 최고봉 청룡산 정상이다.[1.3km] [30분]
1.3km 30분 [청룡산]574.6m (09;55)
청룡산 정상은 대구김문암님이 부착한 목판정상 표지목이 걸려 있다. 그리고 햇볕을 제대로 받지 못해 이끼가 잔뜩 낀 삼각점(판독불가)이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시계 종주 완만한 능선길 따라 가다가 급경사가 되는 지점에서 90도 좌향 동남쪽 방향으로 급사면으로 내려선다. 잡목을 벌목하여 방치한 탓에 길을 무시하게 되고 걸거쳐 진행이 불편하다. 약간 좌측 경사가 성근곳을 택해 내려 서다가 다시 우측으로 내려 서니 아스팔트도로다.[1.3km][30분]
2.6km 60분[아스팔트도로](10;25)
우측은 송한리이고 좌측은 용석리 방향이다. 바로 앞에 있는 농장가는 다리를 건너야 하는데 (cf.송한리 방향으로 도로따르다가 사방댐을 건너 임도를 만나 우측임도가 너무 돌아 오르기에 임도따라 좌측으로 내려서니 농장가는 다리로 돌아 온다.)
이곳에서도 농장길을 따라야 하는데 밭으로 들어가니 결국 농장 돼지축사를 만난다. 돼지축사를 빠져 나오니 처음다리에서 바로 올라오는 임도를 따랐으면 농가지나서 (10;39)쉽게 만날 이정표(송악산정상2.2km)를 만난다.
다리건너 농가 도로 따라 농가로 들어와 집을 통과 하면 쉽게 만날 이정표 (송학산 정상2.2km) 약3분 거리를 9분정도 고생하면서 혜면 것이다. 기왕에 이정표 세울 봐에 도로변 다리입구에 이정표를 세웠으면 얼마나 좋았을가 생각해본다.
이정표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능선쪽으로도 잡초밭이 거칠어 정상적인 등로가 아닌줄 알면서도 우측으로 희미한 길따라 올라간다. 지능선에서 정상적인 등산로 만나 오르니 (11;00) 이정표(내려가는길)을 만난다. 이정표 방향 반대로 오름길 오르니 무명봉이다. (11;27) 이정표(내려가는길 용석버스종점3.1km)를 만나 능선오름길 오르면 바위지대를 몇번 통과한다. (11;48) 바위지대를 통과 하여 소악산 전위봉에 오르고 완만한 능선길 이어가다가 마지막 급경사길을 힘들게 오르면 넓은 공터 송학산정상이다.[3.3km][100분]
5.9km 160분 [송학산](819m)(12:05)
송학산 정상은 검은대리석 정상석이 있다. 삼각점 (영월11/ 1995복구)과 옆에는 산불방지 감시초소가 자리잡고 있다. 산불초소 옆 이정표(강천사 0.3km/월명사 2.0km/사슬치 3.4km/입석 3.8km)가 있다. 이정표(용석버스종점 3.3km,/지장정사 2.5km)있다.
송학산의 이름값을 할만큼 소나무숲이 좋은 산이다. 전망대에서 보는 조망이 좋다는데~~ 송학 앞쪽으로 골미산에서 왕박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나지막히 보이고 그 뒤편으로 높다란 산은 어상천 뒷산인 삼태산이고, 우측으로 높다란 산은 가창산이며 삼태산 뒤편으로 높다란 산은 태화산이 조망된다는데~~날씨 탓에 조망은 꽝이다. 비 안맞고 산행한것을 다행으로 생각한다.
인증 사진 남기고 강천사방향 정상아래 그늘에서 간식시간 잠시 갖고 하산길로 든다.(12;12) 월명사 /강천사 갈림 3거리 이정표(강천사0.2km/월명사2.0km/정상0.1km) 에서 유래가 깊은 강천사를 들렀다 가기로 한다. 강천사에서 월명사로 하산하는 길이 있어 Back하지 않아도 된다. 좀더 내려서면 (12;15)다시 이정표(강천사 0.1km/ 정상 0.3km/ 포천리 3.9km)가 나온다. 포천리 방향으로 계속 능선을 따라가면 제천의 진산인 용두산으로 향하게 되고 좌측으로 내려서면 강천사로 향한다. 가파르게 내려서니 강천사 대광명전의 지붕이 내려다 보이고 차츰 더 내려서서 강천사 종탑을 지나 요사채가 있는 마당에 닿는다. [0.3km][10분]
6.2km 170분[강천사](12;15)
(cf.강천사에서 진입로를 따라 하산을 하게 되면 송학중학교나 송학초등학교가 있는 송학면소재로 하산을 하게 된다.)
월명사로 하산하기 위해서는 강천사 대광명전에서 대광명전을 바라보고 우측 江天寺(강천사)임시산신각 건물을 통과 하면서 강천사 수돗물 한모금 하고 뒤편 건물을 오르면 월명사가는 등로가 나온다. 허리길 등로 따르면 월명사 /강천사 갈림 3거리 이정표(강천사0.2km/월명사2.0km/정상0.1km)에서 이정표(월명사2,0km)로 내려오는 능선길 정규등산로을 만난다. 우측으로 고속도 같은 길을 따르면 (12;27)무인중계탑을 지나고 이후 송림우거진 좋은 등산로를 따라 내려선다.(12;49) 월명사다.[2.0km][35분]
8.2km 205분[월명사](12;50)
월명사 경내 구경하고 (12;50)월명사 표지석과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 목상을 지나 도로따라 내려 온다. 도로3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 가야 하는데 우측으로 내려가 도로 따라 고개를 넘으니(13;08)커다란 월명사 표지석과 이정표(월명사0.8km/송학산정상2.7km)그리고 송학산등산로 안내도 서있는 곳에서 좌측 도로를 따라야 하는데 밭길따라 직진으로 내려서다가 길없어 다시 되돌아 온다. 동네에 와서 알바를 두 번이나 한다. 계속 도로따르니 (13;20) 시곡1리 마을회관 공터에 산악회버스 주차 되어 있다.산행종료한다.[2.0km][30분]
10.2km 235분 [시곡1리마을회관](13;20)
전창완 총무님께서 따라주는 막걸리 2잔 거푸 받아 마시고 에어컨 틀어 시원한 버스안에서 대충 짐 정리한후 옷 보따리 들고 나옵니다. 그런데 씻을 곳이 없어 화장실 앞 그늘에서 산악회에서 준비해준 물 한통 받아 수건에 물 적셔 머리 감고 땀에 젖은 몸 닦아 냅니다.
옷 다 갈아입고 보니 화장실 앞 하쪽 귀퉁이에 수돗물이 나온 수도꼭지가 있음을 늦게야~~~
그늘에 차린 식탁에서 오랜만에 만난 최영택김과 무주공산님과 테이블메이트가 되어 이복순여사님이 고맙게 담아주신 새마포산악회표 찰밥 배급 받고 집에서 준비해 온 반찬으로 즐거운 식사하고 새마포산악회표 막걸리로 건배 건배 합니다.
장 트러블 때문에 먹지 않고 진행한 산행이 힘들었는데 다행히 치료가 된듯 싶습니다.
식사 끝나고 뒷정리 끝난 (14;15) 시곡리 경로당을 출발 (15;55~16;05) 덕평휴게소에서 휴게시간 갖습니다. 중간 김분례여사님이 쏜 아이스 콘 배급 받아 맛나게 먹습니다. 감사합니다.
(16;30)죽전간이정류장에 내려 (16;40)죽전역에서 분당선타고 (17;33)선정릉역에서 9호선 환승(18;05) 가양역도착 귀가 합니다.
09;25 미고개 등산로입구 임도 입니다.
09;45 청룡산오름길에 조망입니다.
0;45조망2
09;55 청룡산 정상표지판 입니다.
09;55 청룡산정상 삼각점(판독불가) 입니다.
09;55 청룡산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0;25 송한리/용석리도로에 내려섭니다.
10;26 보이는 농가 진입로를 따랴 하는데~~
10;30 사방댐을 건너 임도를 따라 결국 농가(농장)으로 가는 임도로 돌아 옵니다.
10;39 이정표(송학산정상2.2km)입니다.
10;39 등로가 불분명하여 좌측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우측능선으로 붙습니다.
10;56 숲길은 희미하게 연결됩니다.
11;00 능선에 오르니 이정표(내려가는길/용석리버스종점)과 금줄입니다. 우측으로 능선따라 오릅니다.
(11;27) 이정표(내려가는길 용석버스종점3.1km)입니다.
12;05 송학산정상 산불초소 옆 이정표(강천사 0.3km/월명사 2.0km/사슬치 3.4km/입석 3.8km)입니다.
12;05 송학산정상석 입니다.
12;05 삼각점 (영월11/ 1995복구)과 옆에는 산불방지 감시초소입니다.
12;05 송학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12) 월명사 /강천사 갈림 3거리 이정표(강천사0.2km/월명사2.0km/정상0.1km)입니다.
(12;15)다시 이정표(강천사 0.1km/ 정상 0.3km/ 포천리 3.9km)입니다.
12;15 강천사 대광명전 입니다.
12;16 대광명전에서 내려다본 요사체 입니다.
12;17 강천사 임시 산신각/독성각 건물입니다.
12;27 월명사하산 주등산로상 송신안테나 기지국 탑입니다.
12;34 송학산 이름값을 하는 소나무숲 입니다.
12;49 월명사입니다.
12;50 월명사 범종입니다
(12;50)월명사표지석과 천하대장군/지하여장군 목상입니다.
13;06 3거리에서 직진도로를 따라야 하는데 우측으로 잘못 내려섭니다.
(13;08)커다란 월명사 표지석과 이정표(월명사0.8km/송학산정상2.7km)그리고 송학산등산로 안내도에서 좌측도로를 따라야 하는데~~직진으로 밭길따라 왕복 알바합니다. 시곡리마을회관이 4군데나 있어 길 찿기가~~시곡리마을 동네에 와서 2번이나 알바합니다.
13;20 시곡1리마을회관에 도착 산행종료합니다.
산행지도
e-동아지도
오록스맵지도
오록스맵 송학산 청룡산 트랙입니다.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더사계님
감사합니다 ~~^^
즐감하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푸른산하님
감사합니다.죤저녁되세요 ~~^^
수고하셨습니다.
사랑투님
감사합니다 ~~^^
수고많이 하셨습니다.
편집 완료
반드시님
감사합니다 ~~^^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나들이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매직님.
오랜만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