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전공대가 들어서는 나주 부영CC. © News1 |
부영그룹이 한전공대 부지로 무상기부하고 남는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내 부영cc 잔여부지에 5000여세대의 아파트를 짓겠다고 나주시에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특혜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최대 6700억원의 사업수지를 내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부영 측이 이같은 무리수를 두는 배경에 전라남도, 나주시와의 사전합의설 등 여러 의혹이 일고 있다.
-->
건설사의 철저히 계산된 기부였다는 비난도 제기되는 상황이다.◇부영주택 무리수 두는 배경은
논란의 시작은 부영주택이 지난해 10월 골프장인 녹지의 토지 용도를 고층 아파트 건축이 가능한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을 해달라고 나주시에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불거졌다.
문제는 부영 측의 제안대로 용도변경을 하고 아파트를 지어 분양할 경우 부영 측이 버는 돈이 수천억원에 이른다는 데 있다.
이 과정에서 특혜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고, 부영 측이 이같은 과도한 요구를 하는 배경에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
한전공대 부지 무상기부와 관련해 전라남도와 나주시, 부영 측이 작성한 합의서에 이미 이같은 내용이 포함돼 있었던 것 아니냐는 합리적인 의심이 이는 배경이다.
나주시는 합의서 존재는 인정하면서도 신의성실의 원칙을 지켜야하기 때문에 내용을 공개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 |
부영그룹이 28일 한전공대 설립부지 40만㎡ 기부증서를 전라남도에 전달하고 6월 말까지 학교법인 한전공대로 소유권 이전을 마치기로 했다. 이날 서울 중구 부영빌딩에서 열린 전달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양환 부영그룹 사장, 신정훈 국회의원, 이세중 부영그룹 회장 직무대행, 김회천 한전 부사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강인규 나주시장, 우윤근 한전공대 범시도민 지원위원회 고문, 윤병태 전남도 정무부지사.(전라남도 제공)2020.6.28/뉴스1 © News1 |
한전공대 설립지원위원회가 지난해 1월 부영cc를 한전공대 부지로 결정했고, 부영 측이 골프장 부지를 무상으로 기부하겠다고 나선 게 지난해 8월이다.
이후 실무적인 조율을 거쳐 지난 6월29일 소유권을 전라남도에 넘기기로 협약을 맺었다. 해당 토지의 감정가는 806억원이다.
하지만 부영이 800억원 상당의 부지를, 그것도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한전공대 설립과 관련해 기증에 나서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기도 했다.
◇아파트 분양해 얻는 수익 최대 6700억
골프장 절반가량을 한전공대 부지로 무상기부하고 잔여부지에 5000여세대의 아파트를 지어 분양할 경우 부영 측이 얻는 수익은 가히 천문학적이다.
부영이 무상기부한 한전공대 부지는 40만㎡, 그리고 남는 골프장 잔여부지가 35만여㎡다.
부영 측은 여기에 최대 28층 높이의 아파트 5328세대를 짓겠다고 구상이다. 이는 당초 부영 측이 제시했던 원안에서 나주시와 조정해 540여세대가 줄어든 수치다.
주택업계가 부영 측의 아파트 신축 계획안을 토대로 사업성을 분석한 결과 부영 측이 얻는 수익은 최대 6700억원으로 나타났다.
총 사업비(분양대금)는 1조5000억원이며 여기서 토지대 840억, 건축비 6600억, 판매비 340억, 제세공과금 등 부대비용 440억, 금융비용 630억 등 지출비용을 제하고 남은 사업수지가 6700억원이었다.
나주 부영cc와 같은 규모인 국내 18홀 골프장 기준 연간 매출은 평균 100억원에 이르고 수익은 연평균 30억원 정도에 불과하다.
![]() |
한전공대 조감도(건축설계시 변경 가능). © News1 |
비록 현 나주 부영cc의 자산가치가 1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부영 측이 골프장 운영을 통해 얻는 수익은 연간 30억원 수준에 그친다는 설명이다.
연간 30억 수익에 불과한 골프장에 아파트를 지을 경우 단번에 얻는 수익이 6700억에 이르면서 특혜논란은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다.
◇부영 측 제안서대로 진행될까
당초 지난해 10월 나주시에 제출한 부영주택의 제안서에는 골프장 잔여부지에 건폐율 50%이하, 용적률 185%이하, 최고 28층·평균 24층, 주택규모 59㎡초과~85㎡이하 아파트 5868세대를 신축하겠다고 제시했다.
하지만 나주시와 협의과정에서 용적률과 세대수 등이 줄었지만 여전히 과도한 용적률과 층고 등은 논란의 대상이다.
부영주택이 제안한 용적률은 179.94%이나 기존의 나주 혁신도시 내 다른 아파트들의 용적률은 175%다.
용적률을 5%포인트 높이지 않을 경우 가장 인기 있는 32평형, 전용면적 85㎡의 규모의 5000여세대를 지을 수 없기 때문이다.
부영 측이 최고 28층으로 짓겠다고 제안한 것 역시 현재 혁신도시 내 아파트의 최고 층수는 모두 25층 이하라는 점에서 이대로 허가가 나올 경우 특혜논란이 일 수밖에 없다.
부영에서 제출한 도시계획결정 변경 입안서는 나주시의회 의견 청취, 열람공고, 주민의견수렴, 환경영향평가, 전남도 도시계획심의위원회 등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 절차는 최소 9개월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한 아파트 건설업체 관계자는 26일 "부영 측의 요구대로 아파트 건축사업을 승인해 줄 경우 특정기업에 대한 특혜시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yr200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