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
이집트, 꾸준히 성장하는 냉동식품시장 | |||
작성일 | ![]() |
2012-07-30 | 작성자 | ![]() |
김효근 ( nabeel@kotra.or.kr ) |
국가 | ![]() |
이집트 | 무역관 | ![]() |
카이로무역관 |
-->
-->
이집트, 꾸준히 성장하는 냉동 식품 시장 - 연 평균 7%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 성장세 기대 - - 라마단 기간 식품소비 증가로 냉동식품에도 영향 - □ 냉동식품 시장 동향 ○ 2011년 기준, 냉동식품시장 연평균 성장률은 7%를 기록해 꾸준한 성장을 나타냄. 2007 ~ 2011년 냉동식품 품목별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이집트파운드)
자료: Euromonitor ○ 이집트 냉동식품시장은 이슬람 국가 특성상 가금류에 대한 높은 소비와 아동계층의 선호 증대로 냉동 가금류 식품은 냉동식품분야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함. ○ 이집트의 2011년 냉동 가금류 식품판매규모는 277만 이집트파운드(약 46만 달러)에 달함. 특히 냉동식품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인 품목으로는 아동계층이 선호하는 윙이나 너겟제품으로 나타남 . ○ 냉동육류제품은 가금류에 이어서 가장 많은 인기를 보이는 제품 군으로 버거 패티와 미트볼 제품군은 각각 60%, 20%의 판매 점유율을 차지함. ○ 냉동 어류·해산물 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냉동 해산물 제품은 타냉동 제품군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가격대로 구성돼 주 고객층이 고소득층인 것으로 분석됨. 2011년 전년 대비 14%의 성장률을 보임. ○ 냉동 가공 채소류의 경우 일반 채소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돼 판매량이 낮음. ○ 이집트는 2011년 혁명 이후 9.8%에 달하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생필품과 식품 가격은 계속 오르며 이에 따라 냉동식품 가격 또한 증가함. ○ 냉동식품은 일반 식품에 비해 높은 가격대로 형성돼 주로 고소득층에 선호됨. 냉동·해동을 위한 가전 제품이 구비된 고소득층에서 조리시간 단축을 위해 냉동 식품을 선호함. □ 브랜드 경쟁 동향 ○ 이집트 냉동식품시장에서 2010년 Cairo Poultry Processing사가 22%의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함. Cairo Poultry Processing사는 닭고기를 포함한 다양한 냉동 식품을 판매하고 Koki 브랜드를 소유. 육류 가격이 급격하게 올라 닭고기의 인기 또한 상승함. ○ Koki 브랜드의 많은 프로모션과 텔레비전 광고로 이집트 내 Koki 브랜드의 선호도가 높음. ○ 냉동식품시장에서 2010년 16%의 두 번째 점유율을 나타낸 Al Moutaheda Foods사의 Three Chefs 브랜드는 높은 품질과 다양한 종류의 제품으로 Koki 브랜드와 경쟁함. ○ Egyptian Co for Advanced Foodstuff Industries(Faragello)사는 타제품에 비해 싼 가격과 효과적인 광고로 냉동식품 시장점유율 12%를 차지함. ○ 대부분의 효과적인 판매 전략은 특별 프로모션과 신제품 런칭으로 구분할 수 있음. 또한 저소득층을 위한 저가상품을 계속해서 내놓으나 현재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함. 기업별 냉동식품 시장점유율 현황 (단위: %)
자료: Euromonitor □ 라마단 기간, 식품 소비량 급증 ○ 이집트 국교로 지정 된 이슬람은 이집트 전체 인구 중 91%인 약 8000만 명이 무슬림으로 구성됨. 이슬람력으로 아홉 번째 달에 시행되는 라마단은 올해 7월 20일부터 약 한달간 시행됨. 모든 무슬림은 해가 뜨기 시작할 때부터 해가 저물 때까지 음식, 음료, 흡연 등이 금지됨. ○ 라마단은 고행의 기간이자 축제의 기간으로 해가 진 저녁 허기짐을 채울 식품, 음료, 외식산업의 소비량이 급증함. 평소에 비해 라마단 기간에 식품 소비 지출이 40% 증가함. ○ 카르푸와 같은 대형 마트에서는 라마단 기간에 프로모션을 통한 더 많은 식품 소비를 유도함. 일반 식당에서도 라마단 특별 메뉴를 제작하는 등 라마단 특수를 노림. ○ 까르푸 매니저 파와즈 타이포씨의 인터뷰에 의하면 라마단(7~8월) 기간 동안 식품 판매량이 평균 40%가 증가한다고 응답함. 이번 라마단 기간에도 냉동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의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라고 말함. □ 시사점 ○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젊은층 소비자의 구매력 증가에 따라 간편한 조리가 가능한 냉동식품은 이집트에서 꾸준히 성장할 것임. 2016년까지 연 평균 7%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 냉동 가금류 제품의 경우 육류보다 싼 가격과 아동계층의 선호도의 영향으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일 것임. 고소득층의 선호로 냉동 어류·해산물 품목은 두 번째로 높은 성장할 것임. ○ 새롭게 진출하는 글로벌 기업들과 제품 판매 촉진을 위해 현지 업체들은 다양한 프로모션과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임. ○ 냉동·해동을 위한 가전 제품이 구비되지 못한 가정이 많아 현재 주 고객은 고소득층이지만 가전 제품의 보급률 상승과 저렴한 가격의 제품으로 점차 다양한 고객층을 공략할 수 있을 것임. ○ 한국기업의 냉동식품시장 진출 시 이슬람 율법에 따라 도살·처리·가공된 식품을 일컫는 할랄제품의 인증을 받는 절차를 거쳐야 함. 또한 라마단과 같은 식품 소비가 급등하는 특수 기간을 공략한다면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자료: Euromonitor, 현지 자료 및 코트라 카이로 무역관 보유 자료 등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