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yilbo.com/sub_read.html?uid=344234§ion=sc30§ion2=
정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공모를 통해 선정한 실증화 단지가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실증화 사업이 끝난 다음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한 후속타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정부가 공모사업을 발표하면 지자체 특성상 실증화 공모사업이 지역에 적합한 사업인지, 실증 후 사업화가 실현될 것인지가 중요 관심 항목이어야 한데, 오로지 정부 보조금만 탐을 내다보니 공모에 선정된 뒤에는 속이 빈 강정처럼 알맹이 없는 사업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울산시도 지금까지 다양한 실증사업에 참여해 실증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실증을 마친 사업도 있고, 현재 한창 추진 중인 사업도 있다.
4차 산업혁명 속 교통의 꽃이라면 자율주행차를 꼽을 수 있다. 80년대 초 `마이카시대` 용어가 처음 등장한 지 40년 만에 1가구 1 승용차 시대를 넘어 자율주행차 시대가 성큼 우리 곁으로 다가와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양산 자동차인 `포니`가 울산공장에서 만들어졌고, 2000년 초 승용차 천만 시대를 연 것도 울산이다. 울산이 자율주행자 시대 주역이 돼야 하는 이유다.
자율주행차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자동차의 생산과 달리 자동차 자율주행의 문제는 기술이 아닌 현실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들이 많다. 이처럼 산적한 문제들을 풀기 위한 방안이 실증사업이다. 실증사업은 새로운 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에 앞서 문제가 무엇인지,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지 등에 대한 해법을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이다.
실증화 사업의 결실에 따라 사업 실현의 성패가 좌우된다. 그 때문에 어느 실증화 사업보다 자율주행차 실증화 사업이 중요하다.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은 내년부터 급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30년이면 버스ㆍ택시ㆍ배송 등의 서비스에 자율주행 기술이 대중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도 지난해 테크노 산단 내 1.8km 구간이 자율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선정된 바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울산시의회도 자율주행 자동차 선도 도시로 만들기 위해 지원체계 정비에 나섰다. 울산이 자율주행차 선도 도시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시의회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율주행차의 안전 운행에 있어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제도적 장치의 정비이기 때문이다.
천미경 울산시의원은 최근 `자율주행자동차 시범 운영지구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을 위한 간담회 자리에서 "울산시가 미래 첨단 교통기술로 주목받는 자율주행기술의 선도 도시로 도약하려면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 촉진과 시범 운영지구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율주행차 실증화 사업의 성공이 울산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 일임이 분명하다. 실증화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어 2030년에는 울산이 자율주행 자동차 선도 도시로 우뚝 서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