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건설업체들이 올해 하도급률 목표치인 33%를 달성했다고 한다. 하지만 목표치를 0.8% 초과했다. 올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행정기관이 앞장선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울산시가 하도급 영업까지 나서지 않았어도 이런 성과를 낼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 울산시가 우는 아이에게 떡 하나 더 주고 있는 건 아닌가.
울산시는 올해 지역 건설업체 하도급 비율을 높이기 위해 민간업체와 영업팀까지 구성했다. 지역에서 대형건설 공사를 진행하는 건설업체들을 초치해 `만남의 자리`도 마련했다. 그들에게 여러 가지 특전 제공도 제안했다. 지역업체 하도급 정도에 따라 건축 용적률을 최대 20%까지 늘려주겠다고도 했다. 건설업체들에게 용적률 20% 인상은 떼돈을 안겨 주는 것과 마찬가지다. 지역에서 대형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건설업체들이 울산시가 이런 특전까지 제공하며 지역업체 하도급을 종용하면 딱히 외면할 수 없는게 사실이다. 그리고 마지못해 나간 `만남의 자리`에서 지역업체들을 협력업체에 등록시켰을 수도 있다.
지역업체들의 하도급률 제고를 위해 울산시가 측면 지원을 이어가야 할 필요는 있다. 울산 업체들이 수도권 하청 업체들과 정면 대결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자금력, 기술력, 수주 전력 등 모두에서 밀린다. 연간 300억원 이상 하청수주를 달성한 지역업체가 10곳 미만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쯤에서 지역 건설업체들이 하도급률 상향을 위해 어느 정도 노력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지역업체들이 지하 5층 이상 토목 작업을 할수 없다는 게 관련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결국 지역 건설업체들이 외지 기업에 비해 영세한데다 시공 능력까지 부족해 하도급에서 밀리고 있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부실ㆍ부적격 업체들이 난립해 과당경쟁까지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러니 하도급 비율을 높이기 위해 울산시가 아무리 노력해도 사업 주체인 대형 건설사들이 울산지역 업체에 하도급을 줄 수 없다는 핑계를 대는 것이다. 지자체에만 하도급 비율 제고를 요구할 게 아니라 지역업체들도 스스로 필요한 능력을 갖춰야 한다. 지역업체들도 자구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