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교 문화권의 길수(吉數)는 하나님이 천지 창조를 마치고 안식(安息)한 날 수인 `7' 이다. 일본 사람은 `8' 수를 좋아한다. 한국 사람이 싫어하는 `4' 수를 유태인과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좋아하고. 희랍 사람들은 `3' 수를 좋아한다. `3'은 천(天)-지(地)-인(人)하는 우주의 기본 구조요, 음(陰)-양(陽)-합(合)하는 헤겔의 변증법과도 통하는 천지창조의 수라고 한다. 3이라는 숫자 다음으로 좋아하는 수가 6, 9, 12인 것은 그것이 3으로 나누어지는 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3월 중에서도 홀수 날인 1, 3, 5, 7, 9 일과 짝수 날 중에서는 6, 12 일을 대길일(大吉日)로 여겼다. 눈치 코치없는 아둔한 여자를 두고 `삼짇(3월3일)날 밤 마실 다니는 계집'이라고 빗댔던 것도 이 합방 길일(吉日)의 `은밀한 창조 작업'을 보장시켜 주기 위한 금기(禁忌)에서 생겨난 속담이라고 한다. 비단 아이를 낳는 데 뿐 아니라 거사(擧事)나 창업(創業), 그리고 과거(科擧)도 그 앞 날의 번창이나 영화를 비는 뜻에서 이 3월 초순의 길일을 택했다. 3.1 운동을 굳이 그날에 잡은 것도 결코 그날이 고종인산(高宗因山) 날이라는 우연의 일치 때문만은 아니다. 거사를 의논하는 가운데 3월5일로 하자는 의견이 나왔던 것으로도 미뤄 알 수가 있다. 민족 대표로서 33인을 채운 것이며 옛날 과거에 33, 36 수로 급제시킨 것도 그렇다. 임금에게 올리는 하례(賀禮) 때 정승, 판서, 방백(方伯)을 36명으로 제한, 참여시킨 것이라든지 요즈음 친목 클럽이나 회사 이름에 가장 선호되는 숫자가 `삼오(三五)'인 것도 이 민족 심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싶다. 새해가 가까워지면 한국 TV에 출연하는 나이 어린 탤런트나 개그 하는 사람들이나 배우 할 것 없이 거침없이 점 보러 다녔다는 이야기를 막 터놓고 하는 것을 본다. 미신인 줄 알면서도 길수(吉數)를 찾기 위해서다. 그런데 인디언의 달력을 보면 12개월 모든 달이 숫자 개념의 달력이 아니라 의미가 있다. 1년 내내 길수인 셈이다. 인디언들은 ..... 1월을 ‘마음 깊은 곳에 머무는 달’(아리카라 족), ‘나뭇가지가 눈송이에 뚝뚝 부러지는 달‘(쥬니 족), ‘얼음 얼어 반짝이는 달’(테와 푸에블로 족)이라고 부른다. 2월은 ‘물고기가 뛰노는 달’(위네바고 족), ‘홀로 걷는 달’(수우 족), ‘기러기가 돌아오는 달’(오마하 족), ‘삼나무에 꽃바람 부는 달’(테와 푸에블로 족). 3월은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달’(체로키 족), ‘암소가 송아지 낳는 달’(수우 족), ‘한결같은 것은 아무 것도 없는 달’(아라파호 족). 4월은 ‘생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달’(블랙푸트 족), ‘머리 밑에 씨앗을 두고 자는 달’(체로키 족), ‘옥수수 심는 달‘(위네바고 족). 5월은 ‘들꽃이 시드는 달’(오사지 족), ‘말이 털갈이하는 달’(수우 족), ‘오래 전에 죽은 자를 생각하는 달’(아라파호 족). 6월은 ‘옥수수 수염이 나는 달’(위네바고 족), ‘더위가 시작되는 달’(퐁카 족), ‘나뭇잎이 짙어지는 달’(테와 푸에블로 족), ‘말없이 거미를 바라보게 되는 달’(체로키 족). 7월은 ‘사슴이 뿔을 가는 달’(키오와 족), ‘천막 안에 앉아 있을 수 없는 달’(유트 족), ‘들소가 울부짖는 달’(오마하 족). 8월은 ‘옥수수가 은빛 물결을 이루는 달’(퐁카 족), ‘다른 모든 것을 잊게 하는 달’(쇼니 족). 9월은 ‘사슴이 땅을 파는 달’(오마하 족), ‘풀이 마르는 달(수우 족), 옥수수를 거두어들이는 달’(테와 푸에블로 족). 10월은 ‘시냇물이 얼어붙는 달’(샤이엔 족), ‘추워서 견딜 수 없는 달’(키오와 족), ‘큰 바람의 달’(쥬니 족). 11월은 ‘물이 나뭇잎으로 검어지는 달’(크리크 족), ‘산책하기에 알맞은 달’(체로키 족), ‘강물이 어는 달’(히다차 족),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아라파호 족). 12월은 ‘다른 세상의 달’(체로키 족), ‘침묵하는 달’(크리크 족), ‘나뭇가지가 뚝뚝 부러지는 달’ (수우 족), ‘무소유의 달’(퐁카 족), ‘늑대가 달리는 달’(샤이엔 족)이다. 이렇게 부르는 인디언 달력을 통해 나는 소중한 것 두 가지를 확인하게 된다. 하나는,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삶이다. ‘나뭇가지가 눈송이에 뚝뚝 부러지는 달’, ‘한결같은 것은 아무 것도 없는 달’, ‘머리 밑에 씨앗을 두고 자는 달’, ‘천막 안에 앉아 있을 수 없는 달’, ‘추워서 견딜 수 없는 달’, ‘늑대가 달리는 달’ 등, 인디언의 달력에는 자연에 대한 이해와 애정이 가득 담겨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다른 하나는,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이다. ‘마음 깊은 곳에 머무는 달’, ‘생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달’, ‘오래 전에 죽은 자를 생각하는 달’,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무소유의 달’ 등,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는 달 이름이 많다. 한편 여기서 숫자에 의해서만 시간과 계절의 흐름을 가늠하는 우리의 시간 개념이 얼마나 메마르고 빈약한 것인지를 깨닫게 된다. 우리도 우리의 시간에다 의미 있는 이름을 붙여보자. 새해가 다가 온다. 2020년은 1년 내내 의미 있는 달이 되게 하자. (장재언)  |
첫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信仰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