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만과 공항 확충으로 탄자니아의 지리적 이점 최대화 -
- 산업화 추진 정책에 부응한 건설업 수요 증가에 주목할 필요 -
가. 산업특성
□ 탄자니아의 건설관련 주요 정책 및 규제
ㅇ탄자니아 개발비전 2025 (Tanzania Development Visions, TDV 2025)
- TDV 2025는 2025년까지의 중소득국가 진입을 목표로 2000년에 제시된 탄자니아의 중장기 개발철학 및 가이드라인임.
- 교통, 전력, 상하수도 등 사회 인프라를 향상시켜 투자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인프라 건설에 적극 나섬.
* 2018/2019 회계년도의 국가 지출은 약 14억 1,048만 4천달러이며 개발지출이 약 37%를 차지함.
- TDV 2025 달성을 목표로 정책들을 추진함에 따라 도로, 다리, 철도 등 교통 인프라뿐 아니라 주택, 건물, 공장에 대한 건설 수요가 모두 늘어남.
ㅇ 건설관련 허가를 주관하는 탄자니아 건설 시공업체 등록청 (CRB, Contractors Registration Board)
- CRB는 각종 건설허가를 원스톱 지원하기 위한 노동부 산하 담당관청임.
- 1997년 제정된 의회 법 (Act of Parliament No.17)을 근거로 2008년 설립됨.
- 다레살람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지역 사무소는 므완자, 음베야, 아루샤에 위치함.
□ 통계로 살펴보는 탄자니아의 건설업 동향
ㅇ 건설업은 3년간 총 GDP 성장율의 약 두 배에 해당하는 10%이상의 비율로 성장함.
- 건설업 GDP 점유율은 안정적으로 10% 이상을 차지하며, 2016부터 매해 약 1% 증가함.
GDP로 보는 탄자니아 건설업 (2016~2018년)
단위: 백만 달러
구분 | 2016 | 2017 | 2018 |
건설업 성장율 | 14.5% | 15.1% | 12.9% |
총 GDP 성장율 | 6.9% | 6.8% | 7.0% |
건설업 생산 점유율 | 11.3% | 12.2% | 13% |
국내 총 생산(GDP) | 47,135 | 51,651 | 56,270 |
자료: 탄자니아 통계청
ㅇ 산업화 달성을 목표로 정부 차원에서 인프라가 활발히 구축됨.
- 2019년 탄자니아 건설 분야 GDP 성장률은 1/4분기 13.2%, 2/4분기 19.6%로 두 분기 연속으로 탄자니아 산업 부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탄자니아 경제 성장을 견인함. (탄자니아 통계청)
- 현재 진행중인 국가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큰 규모의 다년도 사업들이기 때문에 향후 당분간 건설업 분야의 수요는 계속 증가할 전망임.
ㅇ World Bank등 국제기구들도 탄자니아의 인프라 건설에 대한 관심 및 자금 지원이 활발함.
- World Bank는 약 41억 2천만달러를 탄자니아 국내 프로젝트에 투입함. (2019년 12월 기준)
* 탄자니아는 World Bank의 아프리카 대륙 내 제4위 지원 국가임. (1위 에티오피아: 114억7천만달러, 2위 나이지리아: 103억9천만달러, 3위 케냐: 68억 5천만달러)
□ 해외기업들의 탄자니아 건설시장 진출 현황
ㅇ 탄자니아는 건설업 분야에 중국 등 외국계 기업 진출이 매우 활발함.
- CRB*에 등록된 외국계 건설회사는 총 205개 이며, 그중 약 41%는 중국회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2019년 11월 기준)
* Contracts Registration Board, 탄자니아 건설 시공업체 등록청
- 탄자니아 통계청은 건설업 부문에서 가장 투자가 많은 기업 32개를 발표했으며, 그 중 10개가 외국 기업에 해당함. (2018년 4월 기준)
탄자니아 건설시장에 진출한 주요 외국기업
건설회사 | 로고 | 국가 |
China Merchants Port Holdings Company Ltd |
| 중국 |
Chin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Corporation |
|
China Communications Construction Company Ltd |
|
China Railway Group Ltd |
|
China Wu Yi Company Ltd |
|
Premier Electric Contractors |
| 미국 |
JFM Construction Ltd |
| 북아일랜드 |
Aurecon South Africa(Pty) Ltd |
| 남아공 |
Atlas African Industries Ltd |
| 케냐 |
자료: 탄자니아 통계청
나. 최근 건설업 현황
□ 주요 건설산업 이슈
ㅇ 인도양 연안, 빅토리아호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항만 인프라가 활발히 구축됨.
- 탄자니아는 인도양에 인접하는 1084km의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항만 인프라를 강화하여 지리적 이점을 극대화하고자 함.
- TPA(Tanzania Port Authority)는 최근 빅토리아호에 인접한 Mwanza, Musoma, Bukoba 세 개 항구의 개선 사업을 위해 미화 약 720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함. (2019년 12월 기준)
탄자니아의 주요 항만도시
지역구분 | 항만도시 | 특징 |
인도양 | 탕가(Tanga) | 해안선 최북단 위치, 우간다-탄자니아 송유관 및 석유 수출 |
바가모요(Bagamoyo) | 동아프리카 최대규모, 석유화학단지 등 산업단지 조성 |
다레살람(Dar es salaam) | 'Dar Maritime Gateway'로 시설 현대화 사업 |
음트와라(Mtwara) | 천연가스 터미널 구축/ 항구에 100억 달러의 FDI 유입 예상 |
빅토리아호 | 므완자(Mwanza) | 빅토리아 호수 인근으로 Dry Port육성 |
무소마(Musoma) | 2020년 4월 항구와 철로 연결 다리 건설예정 |
부코바(Bukoba) | 북서부 최북단 위치, 우간다와 인접 |
자료: 다레살람무역관 종합
탄자니아의 주요 항만도시
자료: Encyclopedia Britannica
ㅇ 행정수도의 도도마 이전에 따른 도시 개발 수요가 증가함.
- 수도가 이전됨에 따라 14개 행정부 및 관련기관이 본격적으로 이전됨.
- 도도마에 도시 인프라와 신규 주택 건설이 본격적으로 추진됨.
도도마 주요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프로젝트명 | 기간 | 규모 (USD) | 특징 |
Dodoma 외곽순환 도로 | 2019-2020 | 180 | AfDB 차관, 110.2km |
Msalato 신공항 | 2020-2023 | 165 | AfDB 차관 |
Nzughuni 버스 터미널 건설 | 2018-2020 | 33.9 | 87헥타르 (면적) |
Modern Central Market | 2018-2020 | 6.14 | 화물차 30대, 승용차 300대 주차시설 등 |
경찰공무원 주택단지 건설 | 2018-2019 | 1.1 | 1백 가구 수용가능 |
자료: 다레살람무역관 종합
ㅇ 2021년 전력 수출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전력발전소 확충 사업이 전국적으로 진행됨.
- 탄자니아는 전체 인구중 32.8%만이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 전력공급이 부족함. (WB, 2016)
- 수력 및 화력발전소 확충으로 2021년까지 국내 총 발전용량을 5,000MW로 확장할 계획임.
2018/2019년도 주요 전력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프로젝트명 | 기간 | 규모 (USD) | 특징 |
Stigler's Gorge 수력발전 | 2019-2022 | 3900 | 환경논쟁 지속 |
400kV 북서부 송전선 구축 | 2019-2024 | 123 | AfDB , EDCF 차관 |
Rusumo 폭포 수력발전 | 2017-2021 | 340 | AfDB 차관 |
자료: 다레살람무역관 종합
ㅇ 아프리카 중부 내륙국가를 연결하는 교통 인프라 구축이 매우 활발함.
2018/2019년도 주요 교통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분야 | 프로젝트명 | 기간 | 규모 (USD) | 특징 |
철도 | 1,216km 표준궤철도(SGR) | 2017-2020 | 7600 | AfDB 차관 |
도로 | Njombe-Morogoro 도로 | 2018-2021 | 46.5 | 53.9km |
다레살람 간선급행버스(BRT) 인프라 | 2016-2021 | 160 | 3구간 |
공항 | Msalato 신공항 | 2020-2023 | 165 | AfDB 차관 |
Pemba 공항 개선 및 확장 | 2021-2022 | 80 | AfDB 차관 |
자료: 다레살람무역관 종합
다. 진출전략
□ SWOT 분석
Strengths | Weakness |
- 건설업은 2018년 GDP의 13퍼센트를 차지하는 경제성장 선도 산업분야임. - 탄자니아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높은 관심도 및 건설 부문의 높은 수요 - 마구풀리 정부의 "Tanzania Vision 2025"에 따른 산업화 경제 형성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촉진 - 마구풀리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Hapa Kazi Tu'* | - 최신 건설 기술의 부재 - 인적 노동력에 대한 과한 의존성 - 단기간에 구축하기 어려운 인프라 시스템 - 대부분의 건설업은 소수 기업체에서 장악 중 |
Opportunities | Threats |
- Dodoma 이전 및 도시화로 인한 성장에 대한 잠재력 보유 - 건설에 필요한 목재 및 시멘트 등 자재에 조달 가능한 원료 풍부 - 세계은행 기업 환경평가에서 동아프리카 4위 차지 (2019년 10월 기준)* | - EACOP(East African Crude Oil Pipeline) 원유파이프라인 건설 등 다수 프로젝트 도입 지연 - 현지 엔지니어 및 인재들이 더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해외로 빠져나가 탄자니아 내 두뇌유출 - 환경파괴 우려로 댐 건설 등에 반대하는 입장과 경제개발을 우선시하는 이해관계자들 사이 마찰 |
* Hapa kazi Tu (하파카지투)는 '열심히 일하자' (Work here only, but nothing else) 는 의미의 스와힐리어로 국가발전을 위해 대통령이 주창하고 있는 슬로건. 정부 서비스를 대폭 개선하여 기존 부처 통폐합을 통한 슬림화, 관료주의 및 부정부패 척결 등 강도높은 공공개혁을 진행함.
* 세계은행에서 연간 발표하는 기업 환경평가에서 르완다, 우간다, 브룬디가 동아프리카 1~3위를 차지함.
□ 진출 시 참고사항
ㅇ 정부의 핵심사업이 인프라 건설에 집중해 있으므로 정책에 관심을 갖고 주목할 필요가 있음.
- 미래 시장에 투자하는 민관합작투자(PPP형)* 프로젝트에 관심이 요구됨.
* 민관협력투자란 공공부문이 아닌 민간부문이 인프라 및 사회간접자본을 공급하는 것으로 정부의 재정능력이 한계가 있고, 거버넌스가 취약한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시행됨.
ㅇ 낮은 가격을 무기로 하는 중국기업과의 경쟁에 대비하여, 합리적인 가격을 설정해야 함.
- 한국기업은 탄자니아 건설시장 약40퍼센트를 장악한 중국기업과의 경쟁이 불가피함.
- 탄자니아는 인건비가 저렴하여 기계보다는 노동력이 시공에 주로 활용됨.
ㅇ 탄자니아 건설 시공업체 등록청(Contractors Registration Board) 등록을 통해 시공 자격을 받아야 함.
- 법인의 지분 구성 비율에 따라 Foreign과 Local로 구분되며, 외국계 시공사의 경우 특정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Temporary 등록도 가능함.
- 건물의 경우 공사종류 및 규모별로 Class1에서 7까지 구분되어 등록되며, Class 1은 시공계약 최대 액수 제한이 없으나, Class 7은 단층만 가능한 식으로 Class가 커질수록 점차 계약 최대 액수가 작아짐.
□ 탄자니아 개발비전 (TDV 2025)으로 살펴보는 유망 건설업 분야
ㅇ 천연가스: 천연가스를 활용한 에너지 정책으로 중소득국가 진입기반 구축
- 전기발전량 2015년기준 1,501MW에서 2020년까지 4,915MW로 확대를 목표함.
- 전기공급지역 2015년 기준 36%에서 2021년까지 60%로 확장을 목표함.
- 천연가스 개발에 예상되는 FDI는 300억 달러임. (TIC, Tanzania Investment Centre)
- 천연가스 보유량은 동아프리카 2위이며, 인도양 연안 4개 광구에서 추가로 개발중임.
* 린디(Lindi)지역 LNG플랜트 (투자규모 150억 달러)에서 2021년경 천연가스 생산 예정
ㅇ 교통: 교통 인프라 개선 및 확장으로 동아프리카 무역 중심지로서의 입지 극대화
- 국가 발전계획에 따라 철도, 항만, 도로, 공항 관련 다수 프로젝트가 추진됨.
-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들의 발주 지속이 예상됨.
* 음퇴라(Mtwara)항에 100억달러, 표준궤철도(SGR)에 70억 달러의 FDI유입 예상 (TIC, Tanzania Investment Centre)
자료: 탄자니아 교통정책전략, 한 아프리카재단, EDCF, AfDB, NBS, TANESCO, TRC, TANROADS, TPA, CRB, TIC, WEF 및 KOTRA 다레살람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