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Thailand Approves The Use of Herbal Medicine To Treat Early Stages Of Covid-19
Published 2 days ago on January 4, 2021
By Puteri Sophea
태국 정부, 코로나19 치료에 ‘천심련’ 추출물 사용 승인
입력 : 2021.01.04 18:20 수정 : 2021.01.05 08:53
Andrographis Paniculata, commonly known as green chiretta is a herbaceous annual used in herbal medicines in some Asian countries. Picture: 123RF/slertwit
태국 정부가 코로나19 치료에 ‘천심련’ 추출물을 활용하기로 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태국 보건부는 약용식물인 ‘천심련’ 추출물을 코로나19 치료제로 사용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천심련(Andrographis Paniculata) 추출물은 국립병원 5곳에서 코로나19 초기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시범 적용된다. 태국 보건부는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18세~60세 사이 코로나19 환자 중 지원자를 대상으로 천심련 추출물을 사용하기로 했다. 적용 시점은 확진 판정 후 72시간 이내로 제한했다.
According to a report from Bloomberg, Thailand’s Health Ministry said the herbaceous plant, Andrographis Paniculata (green chireta), has been test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to reduce the effects of this viral infection.
It is said that the initial treatment can reduce costs and provide relief to patients. The herbal extract will be primarily available in five government hospitals before being further expanded.
The herbal treatment will be offered to those aged 18 to 60 years who have mild symptoms of Covid-19 and want to take it voluntarily. This should be done within 72 hours after the infection is confirmed.
태국 보건부는 천심련 추출물이 바이러스를 억제하고 염증의 심각성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인체 실험 결과 양성 반응 72시간 이내에 천심련 추출물을 투여한 환자의 상태가 3일 안에 부작용 없이 개선됐다고도 덧붙였다.
미얀마, 인도 등 아시아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천심련은 그 종류만 약 20개에 달한다. 주성분은 디테르펜락톤과 플라보노이드다.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해열, 항염, 면역 증진 작용을 한다는 약리학적 연구 결과가 있다. 한의학에서는 해독 등의 효능이 있다고 본다.
According to Thailand’s Health Ministry, the plant extract known as, Fah Talai Jone, is believed to prevent infection and reduce inflammation among the population.
태국에서는 처방전 없이 편의점에서도 구할 수 있는 상비약으로 인기가 많다. 다만 천심련 추출물의 코로나19 치료 효과는 태국 보건부의 주장 외에 확인된 바가 없다.
#천심련
穿心蓮,
Common Andrographis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Andrographis paniculata (Burm. f.) Nees
꿀풀과 (Lamiales)
과명 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약전 CP
중약명
천심련(穿心蓮) - 천심련(穿心蓮, Andrographis paniculata (Burm. f.) Nees)의 지상부를 말린 것
학명 Andrographis paniculata (Burm. f.) Nees
개요
천심련속(Andrographis)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0종이 있으며, 아시아의 열대 지역의 미얀마, 인도, 인도차이나 반도, 말레이반도에서 칼리만탄 섬에 분포한다. 그중에서도 인도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중국에는 2종(야생 1종, 재배 1종)이 발견되며, 모두 약재로 사용된다. 남부 아시아에서 유래된 이 종은 중국의 복건성, 광동성, 해남성, 광서성, 운남성, 강소성, 산서성 및 홍콩에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다.
천심련은 중국 영남 지방의 ≪영남채약록(嶺南釆藥錄)≫에서 약으로 처음 기술되었다. 1950년대에 중국의 광동성과 남부 복건성에 도입되어 재배되었으며, 이곳에서 감염병 및 사교상(蛇咬傷)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종은 중국약전(2015)에 천심련(Andrographitis Herba)의 공식적인 기원식물 내원종으로서 등재되어 있다. 약재는 주로 중국의 광동성과 복건성에서 생산되며, 강서성, 호남성, 광서성, 사천성 및 상해에서 생산된다.
천심련의 주성분은 디테르펜락톤과 플라보노이드이다. 중국약전에는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따라 시험할 때 안드로그라폴라이드와 데하이드로안드로그라폴라이드의 총 함량이 0.80%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천심련에는 항균, 소염, 진통, 해열, 간 보호 및 면역 증진 작용이 있음을 확인했다.
한의학에서 천심련(穿心蓮)은 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凉血),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다.
함유성분
지상부에는 디테르페노이드 락톤 성분으로 andrographolide[참고문헌:1], neoandrographolide, deoxyandrographolide[참고문헌:2], bis-andrographolide ether, andrograpanin[참고문헌:1], 14-epi-andrographolide, isoandrographolide, 14-deoxy-12-methoxy andrographolide, 12-epi-14-deoxy-12-methoxyandrographolide, 14-deoxy-11-hydroxyandrographolide, 14-deoxy-11,12-didehydroandrographiside, 6’-acetyl neoandrographolide, bis-andrograpolides A, B, C, D[참고문헌:3], andrographiside, 14-deoxyandrographiside[참고문헌:4], homoandrographolide, panicolide, andrographon, 14-deoxy-11-oxoandrographolide[참고문헌:5], 14-deoxy-15-isopropylidene-11,12-didehydroandrographolide[참고문헌:6]가 함유되어 있고, 디테르펜산염 성분으로 magnesium andrographate, disodium andrographate, dipotassium andrographate 19-O-β-D-glucoside[참고문헌:7],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5-hydroxy-7,2’,3’-trimethoxyflavone, 5,7,2’,3’-tetramethoxyflavone, andrographin, apigenin-7, 4’-dimethylether[참고문헌:8-9], oroxylin A, wogonin[참고문헌:10], violanthin, apigenin-7-O-glucoside[참고문헌:7], 5-hydroxy-7, 2’6’-trimethoxyflavone[참고문헌:6]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andrographidines A, B, C, D, E, F[참고문헌:11], 1,8-di-hydroxy-3,7-dimethoxyxanthone, 4,8-dihydroxy-2,7-dimethoxyxanthone, 1,2-dihydroxy-6,8-dimethoxyxanthone, 3,7,8-trimethoxy-1-hydroxyxanthone[참고문헌:12]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항균 및 항바이러스
In vitro에서 약재의 추출물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α- 및 β-용혈성 연쇄상구균[참고문헌:13], 렙토스피라 및 폐렴구균을 억제했다. 또한 약재의 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고아 바이러스 ECHO11에 의한 인간 배아 신장 세포의 퇴행을 지연시켰다. 안드로그라폴라이드는 HIV 환자에서 CD4+ 림프구의 수준을 향상시켰다[참고문헌:15].
2. 해열 및 항염 작용
안드로그라폴라이드는 폐렴구균 및 β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한 열을 억제하고 연장시켰다. 또한 염증의 초기 단계에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를 억제하고, 염증성 삼출과 부종을 감소시켰다[참고문헌:14].
3. 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1) 혈소판 응집 억제
In vitro에서 약재의 추출물은 아데노신 2 인산염(ADP)과 아드레날린에 의해 유도된 인간 혈소판 응집을 유의하게 억제하고, ADP에 의한 혈소판에서의 5-하이드록시트립타민(5-HT)의 방출을 억제했다. In vitro 및 in vitro에서 약재의 추출물은 ADP에 의한 고밀도 과립 및 α 과립의 방출뿐만 아니라 혈소판의 소낭 모양 기관 확장을 억제했다. 이 기전은 아데닐 시클라아제의 활성화와 혈소판에서 cAMP 수준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참고문헌:16]. 약재 성분인 API0134(주로 플라보노이드로 구성됨)는 ADP로 유발된 인간 혈소판 응집을 억제했다. 이 기전은 칼모둘린과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참고문헌:17].
(2) 항죽상 경화증
실험 동맥경화증을 동반한 토끼에서 천심련 추출물 및 천심련 유래 물질과 API0134를 예방적 경구 투여하면 대동맥 내막에서 지질플라그의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혈장 일산화질소(NO) 및 혈장 사이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cGMP)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혈장 내 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OD)의 활성을 증강시켰으며, 혈장에서 엔도텔린(ET)과 지질과산화물(LPO)의 수치를 감소시켰다[참고문헌:18-19].
(3) 혈관신생 억제 작용
In vitro에서 API0134는 돼지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고지혈증 혈청으로 유도된 DNA 합성, 증식 및 형태학적 변화를 길항했다[참고문헌:20].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에서 API0134를 경구 투여하면 간세포와 기질의 증식을 억제했다. 그 기전은 항산화 특성과 관련이 있다[참고문헌:21].
(4) 항고혈압 효과
약재의 물 추출물을 복강 내 투여하면 자발적 고혈압과 정상 혈압의 래트 모두에서 수축기 혈압이 감소되었다. 또한 자발적 고혈압 래트에서 혈장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의 활성과 신장 치오바르비투르산(TBA)의 농도를 감소시켰다[참고문헌:22].
4. 간 보호
안드로그라폴라이드, 안드로그라피사이드, 네오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복강 내 투여하면 마우스의 CCl4 및 테르트 부틸하이드로퍼 옥사이드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보였고, 말론디 알데하이드(MDA), 글루탐산 피루브산 아미노기전달효소(GPT) 및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KP)의 수준을 감소시켰다[참고문헌:23]. 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경구 투여하면 래트의 간세포에서 파라세타몰에 의해 유발된 독성을 길항했다[참고문헌:24].
5. 혈당강하 작용
약재의 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고혈당증이 있는 래트에서 혈당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참고문헌:25]. 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경구 투여하면 스트렙토조토신(SZT)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을 가진 래트에서 혈당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참고문헌:26].
6. 면역증강
마우스에서 약재를 복강 내 주사하면 식균 작용 지수와 대식세포 비율이 증가하고, T 림프구의 적혈구 생성 비율가 증가했다[참고문헌:27-28].
7. 기타
전초에는 또한 항종양[참고문헌:29-30]과 항정자 형성 효과[참고문헌:31]가 있다. 또한 중추신경계를 억제하고[참고문헌:32], 항뱀독 특성이 있다[참고문헌:33].
용도
1. 열, 기침, 기관지염, 편도선염, 인후염, 치주염, 구내염
2. 비뇨기 감염
3. 위장염, 세균성 이질
4. 자궁 내막염, 골반 염증
5. 상처, 사교상(蛇咬傷)
해설
천심련은 아시아의 남동부와 남부에서 전통 민속약이다. 여러 가지 현저한 효능을 갖고 있어서 “동양의 에키나세아(자주루드베키아)”로 알려져 있다. 현재, 가루, 정제, 캡슐 및 주사제와 같은 다양한 투여 형태로 임상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안드로그라폴라이드와 데하이드로안드로그라폴라이드의 함량이 잎에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줄기와 열매에서 함량이 많다. 약재로는 잎이 많고 줄기가 거의 없으며, 개화된 상태에서 아직 열매가 맺히지 않았을 때 수확하는 것이 좋다[참고문헌:34].
참고문헌>34확장영역 접기
1. VL Reddy, SM Reddy, V Ravikanth, P Krishnaiah, TV Goud, TP Rao, TS Ram, RG Gonnade, M Bhadbhade, Y Venkateswarlu. A new bisandrographolide ether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Nees and evaluation of anti-HIV activity. Natural Product Research. 2005, 19(3): 223-230
2. HY Cheung, CS Cheung, CK Kong. Determination of bioactive diterpenoids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by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2001, 930(1-2): 171-176
3. T Matsuda, M Kuroyanagi, S Sugiyama, K Umehara, A Ueno, K Nishi. Cell differentiation-inducing diterpenes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Nees.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994, 42(6): 1216-1225
4. CQ Hu, BN Zhou. Isol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two new diterpene lactones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Acta Pharmaceutica Sinica. 1982, 17(6): 435-440
5. S Lala, AK Nandy, SB Mahato, MK Basu. Delivery in vivo of 14-deoxy-11-oxoandrographolide, an anti-leishmanial agent, by different drug carriers. Indian Journal of Biochemistry & Biophysics. 2003, 40(3): 169-174
6. MK Reddy, MV Reddy, D Gunasekar, MM Murthy, C Caux, B Bodo. A flavone and an unusual 23-carbon terpenoid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Phytochemistry. 2003, 62(8): 1271-1275
7. DX Zhong, LJ Xuan, YM Xu, DL Bai. Three salts of labdanic acids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Acanthaceae). Acta Botanica Sinica. 2001, 43(1) : 1077-1080
8. YK Rao, G Vimalamma, CV Rao, YM Tzeng. Flavonoids and andrographolides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Phytochemistry. 2004, 65(16): 2317-2321
9. S Viswanathan, P Kulanthaivel, SK Nazimudeen, T Vinayakam, C Gopalakrishnan, L Kameswaran. The effect of apigenin 7,4’-di-O-methyl ether, a flavone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on experimentally induced ulcers. Ind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981, 43(5): 159-161
10. PY Zhu, GQ Liu.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 compounds in the leaf of Andrographis paniculata. Chinese Traditional and Herbal Drugs. 1984, 15(8): 375-376
11. M Kuroyanagi, M Sato, A Ueno, K Nishi. Flavonoids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987, 35(11): 4429-4435
12. VK Dua, VP Ojha, R Roy, BC Joshi, N Valecha, CU Devi, MC Bhatnagar, VP Sharma, SK Subbarao. Anti-malarial activity of some xanthon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Andrographis paniculat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4, 95(2-3): 247-251
13. W Lu, SC Qiu, ZQ Wang, DL Di, ZL Gong. The in vitro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Andrographis paniculata (Burm. f.) Nees (APN) on bacteria. Lishizhen Medicine and Materia Medica Research. 2002, 13(7): 392-393
14. T Zhang. Research progress of Andrographis paniculata. Journal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2000, 23(6): 366-368
15. C Calabrese, SH Berman, JG Babish, X Ma, L Shinto, M Dorr, K Wells, CA Wenner, LJ Standish. A phase I trial of andrographolide in HIV positive patients and normal volunteers. Phytotherapy Research. 2000, 14(5): 333-338
16. YJ Zhang, JZ Tang, YZ Zhang, ZL Zhao, XQ Shan. A laboratory and clinical study of the effects of APN extracts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cta Universitatis Medicinae Tongji. 1993, 22(4): 245-248
17. L Nie, SH Zhou, JW Xu, LW Fu. A study of the anti-clotting mechanism of the active component API0134 extracted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Academic Journal of Sun Yat-se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1994, 15(2): 100-103
18. HW Wang, HY Zhao, YL Xiong. Effects of API0134 on expression of PDGF-B chain protein, c-sis and c-myc gene in aortic wall of atherosclerotic rabbits. Acta Universitatis Medicinae Tongji. 1998, 27(1): 46-48, 51
19. HW Wang, HY Zhao, SQ Xiang. Effects of Andrographis paniculata components on nitric oxide, endothelin and lipid peroxidation in experimental atherosclerotic rabbits.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1997, 17(9): 547-549
20. YL Xiong, HY Zhao. Inhibitory effects of API0134 extracted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on pig aortic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Chinese Journal of Cardiology. 1995, 23(3): 214-216
21. HS Wu, HW Wang, QR Xu, TL Liu, YJ Kuang.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API0134 extracted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on preventing rabbit mesangial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Acta Universitatis Medicinae Tongji. 1997, 26(5): 384-386
22. CY Zhang, BKH Tan. Hypotensive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Andrographis paniculata in rats. Clinical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and Physiology. 1996, 23(8): 675-678
23. A Kapil, IB Koul, SK Banerjee, BD Gupta. Anti-hepatotoxic effects of major diterpenoid constituents of Andrographis paniculata. Biochemical Pharmacology. 1993, 46(1): 182-185
24. PK Visen, B Shukla, GK Patnaik, BN Dhawan. Andrographolide protects rat hepatocytes against paracetamol-induced damag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993, 40(2): 131-136
25. R Husen, AH Pihie, M Nallappan. Screening for anti-hyperglycemic activity in several local herbs of Malaysi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4, 95(2-3): 205-208
26. BC Yu, CR Hung, WC Chen, JT Cheng. Anti-hyperglycemic effect of andrographolid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lanta Medica. 2003, 69(12): 1075-1079
27. AK Chen, QS Huang, GF Liang, LS Gao. Study on the effect of Andrographis paniculata on peritoneal macrophage function in mice. Chinese Journal of Information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98, 5(8): 23-24
28. AK Chen, QS Huang, GF Liang, LS Gao. Study on the effect of Andrographis paniculata on erythrocyte rosette-forming rate in mice. Chinese Journal of Information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99, 6(7): 21
29. YX Li, H Fan, JS Zhang, YX Chen. W Reutter. In vitro evaluation of anti-cancer activity of extracts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Journal of China Pharmaceutical University. 1999, 30(1): 37-42
30. RA Kumar, K Sridevi, NV Kumar, S Nanduri, S Rajagopal. Anti-cancer and immunostimulatory compounds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4, 92(2-3): 291-295
31. MA Akbarsha, B Manivannan, KS Hamid, B Vijayan. Anti-fertility effect of Andrographis paniculata (Nees) in male albino rat. 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1990, 28(5): 421-426
32. SC Mandal, AK Dhara, BC Maiti. Studies on psychopharmacological activity of Andrographis paniculata extract. Phytotherapy Research. 2001, 15(3): 253-256
33. SK Nazimudeen, S Ramaswamy, L Kameswaran. Effect of Andrographis paniculata on snake venom induced death and its mechanism. Ind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978, 40(4): 132-133
34. SY Zhang, LP Wu, JL Guo, WL Bai. Determination of andrographolide and dehydroandrographolide in the stem, leaf and fruit of Andrographis paniculata by RP-HPLC. Chinese Journal of Pharmaceutical Analysis. 2002, 22(6): 480-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