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향과의 상록 활엽 소교목인 귤
학명Citrus unshiu S.Marcov.
영명Unishiu Orange, Satsuma Orange, Mandarin Orange
원산지 일본
이명 귤나무,밀감나무,참귤나무.
우리나라에서는 운향과의 귤(Citrus unshiuu Markovich)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귤(Citrus unshiu Markovich)과 병감(Citrus reticulata Blanco:椪柑)을 진피로, 귤감(Citrus tachibana (Makino) Tanaka:橘柑)을 귤피(橘皮)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병감(Citrus reticulata Blanco:椪柑) 및 그 재배변종을 진피로
규정하고 있다.
진피는 오래될수록 좋다고 하였으며 색이 붉을수록 좋기 때문에 홍피(紅皮), 진피(陳皮)라는 이름이 생겼다.
그 열매를 귤(橘)이라 하고 잎을 귤엽(橘葉), 열매껍질의 속을 제거한 노란 부분을 귤홍(橘紅), 종자를 귤핵(橘核)이라 하고
덜 익은 열매껍질을 청피(靑皮)라고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약간 자극성이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辛苦溫]
진피는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트림,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헛배가 부르고 나른한
증상, 대변이 묽은 증상을 치료한다. 해수, 가래를 없애주며 이뇨작용을 한다. 낭독, 마황, 진피, 오수유, 반하, 지실과 함께
오래될수록 약효가 증가하는 약이다.
약리작용은 정유 성분이 소화기자극, 소화촉진, 거담, 항궤양, 항위액분비, 강심, 혈압상승, 항알레르기, 담즙분비촉진,
자궁평활근억제, 항균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껍질로 바깥 면은 황적색이나 어두운 황갈색이고 유실에 의한 작은 오목한 자국이 많다.
안쪽은 흰색 또는 엷은 회갈색이며, 질은 가볍고 부스러지기 쉽다.
다른 이름으로 광귤피(廣橘皮), 귀노(貴老), 귤자피(橘子皮), 귤피(橘皮), 홍피(紅皮), 황귤피(黃橘皮), 광진피(廣陳皮) 등이 있다.
귤나무의 열매 껍질을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비위가 허약하여 일어나는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등에 쓰인다.
진피(귤껍질)

습관적으로 오래된 것이 좋은 것으로 여겨 진피라고 부른다. 대개 10~11월에 채취하여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精油), 헤스페리딘(플라본배당체), 구연산, 비타민 B1 등을 함유하고 있다.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고 맛은 맵고 쓰다.
주로 비경·폐경(肺經)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간경·위경(胃經)에도 작용한다.
이기건비(理氣健脾)·조습화담(燥濕化痰) 등의 효능이 있다.
진피는 소화불량에서 나타나는 복창완민(腹脹脘悶:배가 그득해 편하지 못한 것)·
식욕부진·오심·구토 등 비위기체(脾胃氣滯)의 증상에 활용된다.
복부팽만이나 복통이 심할 때는 창출(瘡朮)·후박(厚朴)을 배합하는데 예를 들어 평위산(平胃散)을 사용한다.
구토나 딸꾹질이 심한 경우에는 죽여(竹茹)나 인삼을 배합한다. 비위기허(脾胃氣虛)할 때는 인삼·황기·백출 등을 배합하면
보익(補益)해서 기체(氣滯)가 생기지 않는다. 가래가 많은 기침에도 쓰는데, 진한 백담(白痰)이 많이 나오고 흉복부가 편하지
못한 습담증상에는 진피로 이기화담(理氣化痰:기를 순조롭게 통하게 하여 담음을 없앰)하고 반하(半夏)를 배합하여
조습화담(燥濕化痰:습을 없애서 가래가 생기지 못하게 함)의 효능을 증강시킨다. 기관지염이나 상기도염에 쓰면 가래를
없애주고 기도(氣道)를 확장시키므로 호흡이 편해진다.
귤껍질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 하기도 하고 구연산이 들어 있어서 피로 회복이나 신진대사를 아주 활발하게 해 주기도 하고
콜레스테롤을 씨어내고 동맥경화를 예방해 주면 혈압을 안정시키는 작용도 굉장히 크다. 귤껍질을 불에 태워보면 파란 불꽃이
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있는데 이는 테라빈유라는 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성분이다.
귤 껍질을 좌훈제로 사용하는 이유는 귤껍질에 헤스페리딘이라는 성부분이 들어 있어 혈관벽을 튼튼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혈관벽이 튼튼해지면 출형를 예방할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혈핵순환도 촉진되므로 자궁이나 질에 장애가 있을 때도 도움이 되고,
피부를 곱게해주기 때문에 여성에게 매우 유용하다.
1. 감귤의 10대 기능효과
1) 암예방, 면역증강, 항균작용 등 건강한 삶 증진
- 감귤에 함유된 "베타-클립토키산틴"은 암예방 및 면역을 증강시키며, 플라보노이드,
구마린은 악성종양의 성장억제, 항균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
2) 식욕증진
- 감귤에 함유된 구연산은 식욕증진에 효과적이며, 후식으로 감귤은 합리적인 영양식품임
3) 임산부
- 감귤은 칼슘과 비타민류가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임산부의 건강관리에 절대 필요함
4) 피부 미용
- 감귤은 여성의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혈색을 좋게하며, 빈혈증상의 예방과 치료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
5) 피로회복
- 피로는 혈액의 산화에서 오는 것이라 합니다. 감귤은 어떤 과실보다 이를 중화시켜 주는
알카리성 과실로서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작용을 해준다.
6) 고혈압 예방
- 과일류 중 감귤에만 함유된 비타민 P는 모세혈관을 보호하여 고혈압에 다시 없는 좋은 식품
7) 발육기의 어린이에게
- 감귤은 발육기의 어린이에게 절대 필요한 칼슘을 보급하여 주고, 공부하는 수험생에게
산뜻한 향기와 새콤한 맛은 머리를 상쾌하게 하여 학업 능률을 오르게 함.
8) 감기예방
- 모든 병은 감기로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다량의 비타민C의 덩어리인 감귤은
감기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작용을 해준다.
9) 체질개선
-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약 알카리성 체질이 좋다고 합니다. 곡류중심의
식생활은 산성체질로 기울기 쉬운데 산성화되는 체질개선을 위하여 감귤은 꼭
필요한 영양소.
10) 멀미약
- 여행중 차멀미로 고생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감귤의 향기와 산뜻한 맛은 불쾌한
기분을 곧 상쾌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