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각종 사업을 시행하기 전에 벌이는 각종 용역 사업이 수의 계약에 편중되는 등 용역을 남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업을 제때 시행하지 못해 남는 불용액이 과다하고, 예산 전용 사례도 적지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포항시의회 예산결산위원회가 지난해 포항시 예산 결산(일반 및 특별회계)을 심사한 결과 드러났다.
19일 포항시의회 예산결산위원회에 따르면 시는 지난한해 총 444건(131억2천만원)의 각종 용역을 실시했으며, 이중 70%에 해당하는 308건을 수의계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101건을 타 지역업체에 용역을 실시했고, 예산 규모가 큰 1천만원이상 용역도 44건이나 수의계약 했다는 것.
또 일반회계 세출 예산 중 불용액이 전체 예산의 6.5%에 해당하는 566억1천여만원으로 2005년도 비해 209억원6천만원이 증가했다.
사고이월 역시 전년도에 비해 10.8%가 증가한 740억6천여만원으로 예산편성과 집행이 비 효율적인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국비 지원사업인 연안어업구조 조정사업(10억여원), 태풍피해복구 및 어선용 연료절감기 사업(7억여원), 쓰레기 수매사업(8억여원), 어선구조조정사업, 어업용 유류지원 사업 등에 집행 잔액이 발생함에 따라 사업의 실효성이나 사업성에 대한 사전 검토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도시교통사업 특별회계인 노선별 이면도로 정비사업 중 문덕교 세계 사거리외 2개소 차선도색 공사 등 4건(2억2천만원)은 예산이 전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장복덕 시의원은 "결산 검사 결과 예산 집행과 편성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노출됐다"며 "정확한 예산 예측과 면밀한 예산 집행으로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