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사과의 특징

청송군은 산림이 82%를 차지하는 산간지로서, 전국에서 가장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을 지닌 고장입니다.
주생산지가 해발 250m 이상, 생육기간중의 일교차가 평균 13℃로 매우 크며,
해양성 기후와 내륙성 기후가 교차하는 천혜의 자연조건으로 사과재배의 최
적지입니다.
또한 청송군은 고품질의 사과를 생산할 수 있는 키낮은 사과대목(M9)을 처음
으로 도입하였고, 현재 전국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고품질 사과생산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객토 및 퇴비를 많이 사용한 건강한 토양에서 만들어진 청송사과는 농약을 최
소화할 수 있는 개인 농가별 처방에 의한 저농약 재배로 껍질째 먹는 사과를
처음으로 개발 한바 있습니다.
그리고 사과의 고른 착과를 위한 수분용 머리뿔가위벌 방사·반사필름 피복 등
의 앞선 재배기술과 천혜의 자연조건으로 생산되어 전국 어느 고장 사과보다
육질이 단단하고 저장성이 뛰어나며 당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적당한 산미가
사과의 맛을 높여주며, 과즙이 많아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어 명품사과로 알려
져 있습니다.
유래
청송사과는 1924년 독립운동가이며 농촌운동가이자 종교인인 밀양인 박치환
장로가 현서면 덕계리에 사과 묘목을 들여와 재배를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었
다고 하며,
청송지역에 본격적으로 사과를 재배하고 보급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안덕
면 복리에 살았던 신인수라는 라는 사람으로 일찍이 일본 아오모리현의 어느 레
코드 회사에 취직하고 있을 때 회사 근처 과수원을 지나다가 처음으로 사과를
접하게 되었으며, 이후 사과에 매료되어 사과재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927년 귀국할 때 600여주의 묘목을 구입하여 안덕면 복1동 교회터 인근 5,000평
규모의 밭에 사과를 재배하면서 부터라고 전해집니다.
생산현황(2013)
청송군전역(1읍, 7면) 2,700농가에서 생산
생상면적 및 생산량 : 2,676ha, 41,626톤(1,061억원)
청송사과의 도내 점유율 : 14.2% 4위
브랜드화 지정
"청송사과" 상표등록 : 1994. 12. 1(등록번호 4003031500000)
"청송사과" 지리적표시제등록 : 2007. 8. 27(등록번호 제34호)
"애플송" 상표등록 : 2011. 5. 23(등록번호 410210696000)
"하이크린"상표등록 : 2013. 9. 3 (등록번호 4006268960000)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
수고하셨음니다 잘알았읍니다,